• Title/Summary/Keyword: 낙산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Rebuilding and Patronage of Naksansa Temple in Joseon Royal Family (조선왕실의 낙산사(洛山寺) 중창과 후원)

  • Lee, Sang-Ky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2
    • /
    • pp.116-139
    • /
    • 2017
  • Naksansa Temple was famous for a miracle temple where Lee Haeng-ri(李行里), King Ikjo(翼祖), had prayed for offspring and soon begat King Dojo(度祖). According to the First King's Annals("太祖實錄"), King Dojo was the person who directly received prophecy of founding a Joseon. For these reasons, Naksansa Temple received attention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Joseon. The birth story of King Dojo and his father's prayer 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cave(觀音窟), Naksansa Temple, was well known among the noblemen and royal families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Lee Seoung gye(李成桂)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Naksansa Temple, and King Sejo(世祖) also made people rebuild the temple when he went for a royal tour in Gangwon-do. Naksansa Temple was built during the time when King Sejo made many templ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King Sejo made people extensively rebuild the temple, praying for health and longevity of King Yejong(his son). King Sejo's will of rebuilding the Naksansa Temple was very strong. The residents of the area had to pay a huge cost because the rebuilding of the Naksansa Temple was a big construction. Hak-yeol(學悅), who had a responsibility of rebuilding the Naksansa Temple, forcedly obtained supplies as he received protection from the royal family. Naksansa Temple thrived with the protection of the royal family after rebuilding. King Yejong and Seongjong gave Naksansa Temple slaves and fields(田地). He also bestowed upon the temple the salts which was the tribute paid by Gangwon-do. In order to protect the precincts of the Naksansa Temple, the government closed the Yang Yang Main Street near Naksansa Temple and built a new road. And the signs of preventing fishing(捕漁) was built along the coast of Naksan in four kilometers in order to keep people out. Although the Naksansa Temple declined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still received support under the protection policy and maintained its reputation as an original Buddhist shrine.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Fire Protection System After Naksan Temple Fire in 2005 year(I) - A Study on the change of Fire Fighting System before and after Naksan Temple fire - (2005년 낙산사 화재 후 소방대책의 환경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I) - 낙산사 화재전후 소방시스템 변화에 관한 조사 -)

  • Koo, Won-Hoi;Jung, Hae-June;Shin, Ho-Joon;Bac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38-441
    • /
    • 2011
  • 문화재의 경우 국가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는 중요한 시설로서 매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조 문화재의 화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2005년 낙산사 화재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고 낙산사 화재 이후 약 6년간의 낙산사 복구 과정 중에 소방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Fire Protection System After Naksan Temple Fire in 2005 year(II)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aksan Temple Area and the Change of Disaster Prevention Attitude - (2005년 낙산사 화재 후 소방대책의 환경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II) - 낙산사 주변지역의 영향 및 방재의식 변화에 관한 조사 -)

  • Koo, Won-Hoi;Jung, Hae-June;Shin, Ho-Joon;Bac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42-445
    • /
    • 2011
  • 2005년 4월 강원도 산불로 인해 낙산사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문화재의 손실이 발생하여 문화재에 대한 소중함과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으며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문화재 손실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중요 목조문화재인 낙산사 화재 발생 후 6년이 지난 현 지점에서, 주민 방재의식조사를 통해 낙산사 주변지역의 방재의식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재 방재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Treasure - A Case Study of the Fire Damage of the Naksansa which was due to Yangyang Forest Fire -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 Back, Min-Ho;Lee, Hae-Pye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2 s.62
    • /
    • pp.64-71
    • /
    • 2006
  • After destruction of the Naksansa which was due to Yangyang forest fire, this the fundamental research about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treasure was performed. The present condition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and related laws were investigated and the present damage condition of the Naksansa was surveyed. Also, the fire damage cas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and the fire laws and regulations were investigated, and the survey about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was carried out. This research drew up the basic material about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al buddhist temple.

낙산사 소실과 화재예방을 위한 조계종의 장기 대책

  • Do, Yun-Su
    • 방재와보험
    • /
    • s.108
    • /
    • pp.12-17
    • /
    • 2005
  • 고색창연한 전각들이 거센 불기운에 주저앉고, 천 년 고찰의 역사가 불타버린 낙산사의 참혹한 모습에 안타까움과 함께 각종 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전국의 사찰과 문화유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할 때이다. 이에 일반에 공개되어 늘 화인과 접촉되어 있는 문화재의 특수성을 고려한 소방설비 대안 마련과 새로운 소방개념의 도입을 통해 문화재 보존의 허점을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 PDF

Science Technology - 점 빼는 레이저로 문화재 복원한다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52
    • /
    • pp.52-53
    • /
    • 2014
  • 우리 주변에는 세월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나날이 훼손되어 가는 문화재가 많다.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계수의 차이나 풍화작용 등으로 유물 일부가 떨어져 나가고, 표면의 균열 부분으로 물이 스며들면서 얼어붙었던 부분이 녹아 구조 불균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산성비나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으로 산화 문제가 발생하는가 하면, 비둘기 등 조류 배설물이나 세균류 지의류 이끼류 같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파손되기도 한다. 종교나 예술 활동에 따른 인위적인 훼손(반달리즘, Vandalism)도 일어난다. 자연재해로 어쩔 수 없이 사라지는 문화재도 있다. 불에 타 한 줌의 재로 변한 양양의 낙산사가 그 대표적인 예다. 낙산사는 8년 7개월의 복원 작업을 거쳐 되살아났다. 그래도 '낙산사'하면 '불'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천년고찰의 화재가 우리에게 상처로 남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편 어렵게 발굴했지만 이미 때를 놓쳐 위기에 처한 소중한 문화재도 있다. 2009년에 발굴된 전북 익산시 미륵사지 석탑의 사리장엄구(사리를 봉안하는 일체의 장치)에 들어 있던 유리병은, 오랜 세월 공기 속의 수분이 풍화작용을 일으켜 두께가 얇아진 데다 0.04mm라는 수백 개의 미세한 조각으로 부서져 복원이 어려운 상태이다. 워낙 두께가 얇아진 탓에 살짝만 압력을 받아도 부서지기 쉬워 접합 자체가 불가능하다.

  • PDF

Parameters of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Burnt Mountains, Naksansa (낙산사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인자)

  • Park, Sang-Deog;Cho, Jae-Woong;Shin, Seung-Sook;Lee, Kyu-Song;Kim, Y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03-607
    • /
    • 2006
  • 최근 산불발생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산불 발생지역의 토양침식으로 인한 2차적인 재해위험이 예상됨에 따라 산불 지역의 토양침식과 영향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산사 산불지역의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고 강우에 따른 토사유출량을 조사하였다. 토양침식 매개변수를 강우인자(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에너지), 지형인자(면적, 사면경사, 사면길이, 길이경사인자), 식생인자(전체피복도, 식생지수), 토양인자(투수계수, 유효입경, 유기물함량, 토심)로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침식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침식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강우강도와 강우량이 커짐에 따라 토양침식민감도에 대한 식생피복도의 영향이 더욱 가중되며, 식생 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누적 토양침식량의 변화는 크게 차이를 보였다. 낙산사 산불지역에서의 강우에 따른 토양침식은 강우에너지와 식생피복도의 관계가 가장 높았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utyric Acid Bacterium from Infant Feces (장내 항세균성 낙산균의 분리 및 특성)

  • 곽종휘;이정치;김태한;정필근;이금기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7 no.1
    • /
    • pp.56-62
    • /
    • 1989
  • To find bacteria which can inhibit growth of enteropathogenic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3124, spore forming butyr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26 fecal samples of infants. Fourteen strains were found to be antagonistic to the enteropathogen and five of them produced butyric acid. A strain which produced the highest butyric acid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Clostridium butyricum. This organism sporulated in SM medium in 36 hours with optimum rates at 37$^{\circ}C$ and at pH 5.5. The spores tolerated well at high heat and acidity, and possible application of Clostridium butyricum as intestinal controller was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