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무

Search Result 7,1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28-3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화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사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42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세 개의 군집인 신갈나무-당단풍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군집 구상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물들메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거제수나무와 노각나무 물들메나무와 말발도리 거제수나무와 물들메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거제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철쭉과 회나무 주목과 미역줄나무 물갬나무와 노각나무, 잣나무와 마가목, 진달래와 명자순 명자순과 시닥나무,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야도는 1.2389-1.2552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92%가 고사목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3.88이었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Preservation Area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건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추갑철;김갑태;김정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287-295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 천연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식생관리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34개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 결과 조사대상지는 활엽수혼효림군집, 신갈나무-쪽동백나무군집 및 신갈나무-소나무군집으로 나뉘어졌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개옻나무; 까지박달나무와 층층나무; 쪽동백나무와 상수리나무; 비목나무와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느티나무과 고로쇠나무, 참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산딸기나무, 굴참나무 및 소나무; 고추나무와 상수리나무, 산뽕나무; 진달래와 개옻나무; 산철쭉과 굴참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소나무; 상수리나무와 병꽃나무; 고로쇠나무와 산뽕나무; 물푸레나무와 산뽕나무; 바위말발도리와 산뽕나무등의 종들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까지박달나무; 신갈나무와 층층나무; 노린재나무와 쪽동백나무등의 종들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환경인자와 상관에서 쪽동백나무와 진달래는 해발고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사면의 방위와는 산딸기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4592~1.2917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 PDF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백길전;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61-69
    • /
    • 1999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에 위치하는 성황림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개의 조사구를 성황림의 평지림과 사면림에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성황림의 산림군집은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으로 복자기나무 - 졸참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라 판단되며, 사면림의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느릅나무와 으름덩굴.복자기나무.줄딸기, 복자기나무와 으름덩굴, 회잎나무와 졸참나무, 참회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아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질적인 지위(niche)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뽕나무와 쪽동백나무, 복자기나무와 쪽동백나무.당단풍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이질적인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303~1.2741로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 PDF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Forest Community in Mt. Baekun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rdination 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 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 정진철;장규관;송호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44-253
    • /
    • 1999
  • 백운산의 산림군락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TWINSPAN과 CCA Ordination을 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서어나무 군락, 고로쇠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및 굴참나무 군락의 4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군락과 환경 용인과의 상관을 보면 서어나무 군락과 굴참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중간이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주로 분포하고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며 고로쇠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K+$,$Ca{++}$,및 $Mg^{++}$등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P_2O_5$ 많은 곳에 신갈나무, 노리재나무, 물푸레나무, 해발고가 중간기고 양료가 중간인 곳에 서어나무, 비목, 단당풍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해발고가 낮고, 습하며$K+$,$Ca{++}$,및 $Mg^{++}$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타 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나도밤나무 및 산뽕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299-308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명선봉(1.586m)에서 덕평봉(1.521m)에 이르는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천연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26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신갈나무-구상나무 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뽕잎피 나무와 철쭉 마가목과 산벚나무, 층층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잣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간에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종다양도는 1.0572-1.0931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32%가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평균은 9.03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는 해발고와 낙엽퇴의 두께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백길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4
    • /
    • pp.397-406
    • /
    • 1998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45 plots(20m*2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ted. Four groups - Quercus mongol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Avies nephrolepis - Tilia amurens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bies nephrolepis - Taxus cuspidata community, Abies nephrolepis - Qurecusmongolica community -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Abies nephrolepis and Betula ermanii; Abies nephrolepis and Pinus pumila; Aies nephrolepis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Betula ermanii and Pinus pumila; Betula erman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Pinus pumila and Rhododendron mucronulatm var. ciliatum; Quercus mongolic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Quercus mongolica and Qeigela subsessilis; Euonymus macroptera and Syringa reticulata; Euonymus macroptera and Viburnum wrightii; Acer ukurunduense and Euonymus oxyphyllus, and high na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Betula ermanii and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mongolica and Tripterygium regelii;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Tripterygium regelii; Carpinus cord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2.1352~2.8016.

  • PDF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 산림군집구조)

  • 송광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82-391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48개의 조사구(1개 조사구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48개의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하여 2개의 군집(들메나무군집 시날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층위별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들메나무와 신갈나무는 현상태를 계속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군집은 계곡부 토지극상림을 이루고 있었다 연하천계곡의 Shannon 종다양도지수는 들메나무군집은 1.0810 신갈나무군집은 0.2468이었다 들메나무는 함박꽃나무 물참대 참회나무 바위 마발도리 개회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갈나무 생강나무, 조릿대, 노린재 , 당단풍과 부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Yeonaegol,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서영권;이석면;이만용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303-310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 계곡부(해발 170-63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란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계곡 정부를 제외할 때,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의 밀도는 증가하는 반면 아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밀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흉고단면적은 계곡 하부와 중부가 상부에 비하여 높았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산길나무, 팥배나무, 쇠물푸레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산벚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갈참나무, 밤나무 등이었다. 사면 하부에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쇠물푸레 드잉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느티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해발고대별 종다양의 범위는 0.971~1.273이었으며, 종다양도와 종수는 계곡 중부가 계곡하부와 상부에 비하여 다소 낮았으나 균재도는 유사하였다. 계곡 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30.8~63.7%, 사면부위간 유사도지수는 69.8~79.5%로서 사면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상태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한 Cluster 분석 결과 계곡 하부의 사면 상. 중, 하부에 위치한 때죽나무-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에 위치한 굴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상부의 상. 중. 하부에 위치한 물푸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정부에 위치한 소나무-신갈나무군집 등 4개 유형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종상관을 분석한 결과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팽나무, 회나무 등 5개 수종간, 소나무, 쇠물푸레, 산철쭉 등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회나무, 사람주나무 등 4개 수종 모두 소나무와 유의적인 부위 상관을 보였으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졸참나무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물푸레나무, 사람주나무, 회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5 no.1
    • /
    • pp.9-24
    • /
    • 1991
  • To elucidate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phytosoclologically by species composition and phsiognomy. There included 13 forests ranging from temperate-cool zone to sub-cold zone in the surveyed area.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on the basi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ies. The forest communities classified in the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Querus serrata community 2.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3. Q. serrata-C. laxiflora community 4. Stewartia koreana community 5. Acer mono community 6. Carpinus cordata community 7.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8.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9. Pinus densiflora community 10. Querus mongolica Community 1) Rhododendron schlippenachii subcommunity 2) Lenedeza maximowiczii subcommunity 11. Abies nephrolepis community 12. Abies koreana community 1) Querus mongolica subcommunity 2) Pinus koraienis subcommunity 13.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Among above forest communities, Querus serrata community distributed from 700m to 1,000m in the ridges,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valley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rom 1,000m to 1,400m, and Abies koreana community and Abies nephrolepis community from 1,400m to 1,700m.

  • PDF

Realistic 3D tree growth simulation from one image (한 장의 영상을 이용한 사실적 나무 생장표현)

  • Kim, Jae-Hwan;Jeong, Il-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362-3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한 장의 실제 나무 영상이 주어졌을 시, 사실적인 3차원 나무 모델링(modeling) 및 자가생장(self-growth) 표현을 위한 방법을 소개하도록 한다. 스켈레톤기반의 간략화(skeleton-based abstraction)를 이용하여 동일한 나무 몸통(trunk)을 갖는 다양한 나무 모델생성과 함께 나무의 다면체구조(manifold structure)를 고려한 지오데식 커널(geodesic kernel)을 이용하여 나무의 자가생장을 표현한다. 나무의 자가생장은 사전 정의된 나무 굵기, 전체 크기, 그리고 가지증식 순서정보와 같은 상대적 성장정보(allometric information)를 동시 이용하여 상대적인 나무 생장(allometric tree growth)을 표현하도록한다. 한편, 보여지지않는 나무 가지와 잎들에 대해선, 나무구조는 로컬하게 자기유사성(local self-similarity)을 갖는다라는 고전적인 절차적(conventional procedural) 가정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생성토록한다. 실제영상을 이용한 몇몇들의 실험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나무 모델 및 생장 표현이 가능함을 보여주도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