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나노 독성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9초

고로쇠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항암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of Acer mono Aqueous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 김지선;정명훈;최운용;서용창;조정섭;이현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4-24
    • /
    • 2011
  • 고로쇠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하여 항암활성 증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세포독성 측정결과 인간 정상 폐 세포(HEL299)에 대하여 일반 열수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23.51%로 나노입자에 비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결과 고로쇠 추출물 나노입자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 결과에서도 1.0 mg/mL의 농도에서 32.33%로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위암세포,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그리고 폐암세포에 대하여 암세포 억제 활성 측정결과 고로쇠 추출물 나노입자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9-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나노입자의 경우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약 5-10% 이상 증진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여러 인간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실험 결과, 소화기계통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71-73%의 암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암세포주에 비하여 높은 암세포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인간 위암세포인 AGS로의 나노입자 침투를 confocal microscope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고로쇠 추출물을 나노입자화 공정을 통하여 활성 증진을 확인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항암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상된 광열 효과를 갖는 카르복실화된 환원 그래핀옥사이드-골드나노막대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 with Carboxyl Groups-Gold Nanorod Nanocomposite with Improved Photothermal Effect)

  • 이승화;김소연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312-319
    • /
    • 2021
  • 광열 치료(photothermal therapy)란 빛을 조사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정상세포보다 열에 약한 비정상 세포, 특히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치료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열 치료를 위한 카르복실화된 환원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with carboxyl groups, CRGO)-골드나노막대(gold nanorod, AuNR) 나노복합체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를 고온에서 선택적으로 환원, 박리하여 CRGO를 합성하였고, AgNO3의 양에 따라 AuNR의 길이를 조절하여 880 nm에서 강한 흡광 특성을 나타내는 AuNR를 합성하여 광열 인자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환원된 RGO에 비해 CRGO에 상대적으로 많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음을 FT-IR, 열 중량 분석 및 형광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RGO에 비해 많은 carboxyl group이 결합된 CRGO는 수용액상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합성된 CRGO-AuNR 나노복합체는 약 317 nm의 균일한 크기와 좁은 크기 분포를 보였다. CRGO-AuNR 나노복합체는 두 가지 광열 인자인 CRGO와 AuNR의 synergistic effect로 인하여 조직 투과도가 우수한 근적외선 880 nm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광열 효과가 AuNR보다 2배 이상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열 효과에 의한 암세포 독성 분석 결과, CRGO-AuNR 나노복합체가 가장 우수한 세포 독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RGO-AuNR 나노복합체는 안정된 분산성과 향상된 광열 효과를 기반으로 항암 광열 요법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 물질 및 제품의 안전 관리: 윤리적 원리 및 행위지침 고찰 (Safety Management of Nanomaterials and Nanoproducts: Thinking of Ethical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It)

  • 이중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5-422
    • /
    • 2010
  • 최근 나노 물질의 독성에 대한 보고와 나노 물질을 함유한 제품들의 급속한 증가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의 나노 물질의 폭 넓은 응용으로 인해, 나노 물질 및 제품의 안전 관리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작업장에서의 안전,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안전 그리고 환경 보호 등 나노 물질 및 제품의 전주기 과정에 걸친 안전 확보가 문제다. 하지만 나노 물질 및 제품의 위험이 잠재적이고 불확정적이기에, 이것들을 대상으로 하는 엄격한 안전 관련 규제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쟁점들과 관련하여 나노 물질을 연구 개발하고 나노 제품을 생산하는 각 기관들이 안전에 관한 책임 있는 거버넌스(governance)를 구현하기 위해 현재 최선의 것으로 취할 수 있는(엄밀히 말해 취해야 하는) 윤리적인 행위 조치들과 이에 바탕이 되는 윤리적인 원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이 법적.제도적인 차원의 견고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iO2 나노입자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의 분해 제거 및 독성 저감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Bisphenol A Using TiO2 Nanoparticles)

  • 조아영;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330-336
    • /
    • 2015
  • 본 논문은 수용액에서 $TiO_2$ 나노입자 (Degussa P25)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 (BPA)의 분해 제거를 연구하였다. 3시간의 광촉매 반응 (자외선 파장 = 365 nm, 자외선 강도 = $3mW\;cm^{-2}$, $TiO_2$ 농도 = $2.0g\;L^{-1}$)에 의하여 98%의 BPA ($1.0{\times}10^{-5}M$)와 89%의 총유기탄소가 제거되었다. 그리고 광분해, 가수분해와 흡착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각각 2%, 5%와 13%로 나타났다.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수산화 라디칼의 소광제인 메탄올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BPA와 수산화 라디칼의 반응이 BPA 분해 제거의 주요한 기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반응의 초기 유사 1차 속도 상수는 $7.94{\times}10^{-4}min^{-1}$로 계산되었으며, BPA 90%를 분해 제거하는 시간은 25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독성 저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벼룩 (Daphnia magna, 생후 24시간 미만)을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벼룩에 대한 BPA의 급성독성 (48시간)은 초기 2.93 TU (독성 단위)였으며, 3시간의 광촉매 반응 후에는 무독성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BPA의 광촉매 반응에서 독성 분해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다는 것을 제시한다.

나노 독성의 개념 및 나노입자에 대한 위해성 평가의 필요성 (The Concepts of Nanotoxicology and Risk Assessment of the Nanoparticles)

  • 맹승희;유일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7-98
    • /
    • 2005
  • Human exposure to nano-sized particles (NSP) has increased over the last century with anthropogenic source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becomes an another source of such exposure. Information regarding the safety of nanotechnology and its product, nanoparticles, is urgently needed when assuming exposure through inhalation, oral intake, and penetration across skin is ever increasing as growing nanotechnology rapidly. The recent advancement of biokinetic studies with NSP and newer epidemiologic and toxicologic studies with ultrafine particles can be the basis for the nanotoxicology. Some concepts of nanotoxicology can be known from the results of these results. Specific small size of NSP, when inhaled, facilitates deposition by difusional mechanism in all regions of the respiratory tract and uptake into cells, ranscytosis across epithelial and endothelial cells into the blood and lymph circulation to reach target sites. Translocation along axons and dendrites of neuron makes an access to CNS and ganglia. These biokinetics are dependent on NSP surface chemistry. Risk assessments of NSP include appropriate and relevant doses/concentration selections, the increase effects in the organism and the benefits of possible desirable effects. An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is desirable for nanotoxicology research and an appropriate risk assessment.

독성 나노물질 검출 센서 동향 (Trend of Toxic Nanomaterial Detecting Sensors)

  • 장규환;나성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977-984
    • /
    • 2014
  • Nanomaterial have grown from scientific interest to commercial products and the nanomaterial market has grown 19.1 % each year. As the nanomaterial market size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nanomaterial production will increase and its contamination of outdoor environmental system will also increase in the form of industrial waste. Since most of nanomaterials are known as biologically non-degradable materials, nanomaterials will accumulate in the environment, and this will increase the potential threats to human health along the food chain.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toxicity effect of nanomaterials due to their size, chemical composition and shape. For the development of nanomaterial while taking human health into consideration, a nanomaterial detecting sensor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have observed the trend of nanomaterial detecting sensor of mechanical, electrochemical, optical and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 sensors and we believe that this trend will shed the light on the development of real-life nanomaterial detecting sensors.

천연 항균물질 루틴을 함유하는 PHBV 나노섬유의 제조 및 생체적합성 (Fabrication and Biocompatibility of Rutin-containing PHBV Nanofibrous Scaffolds)

  • 채원표;싱즐챠이;김영진;상희선;허만우;강인규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10-215
    • /
    • 2011
  • 루틴은 항발암, 소염제, 항바이러스성 기능을 갖는 물질이다. 미생물이 만들어낸 폴리에스테르인 PHBV와 루틴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나노섬유 부직포의 항균성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KB 셀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루틴을 3 wt% 함유할 때 지지체는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KB 셀을 이용한 실험결과로부터 루틴을 함유하는 PHBV 지지체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나노 크기의 마그네타이트 입자를 이용한 자성 키토산 미소구체의 제조 (Preparation of Magnetic Chitosan Microsphere Particles)

  • 고상길;조준희;안양규;송기창;최은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6-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음향화학법을 적용한 공침 기술을 이용, 균일한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산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키토산 미소구체를 제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분해성, 저독성, 생체친화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키토산과 균일한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자기공명 영상의 조영제와 혈관 폐색을 위한 혈관 색전물질 등에 활용 가능성 있는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우리는 $1\%$ 아세트산 용액을 사용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들을 분산시켰다. 키토산이 알칼리 수용액에서 겔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들이 분산된 키토산 용액을 알칼리 용액에 분무하여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자성 키토산 미소구체를 제조하였다.

결정성에 따른 TiO2 나노입자의 포토루미네선스 영향 (The Effect of Crystallinity on the Photoluminescence of TiO2 Nanoparticles)

  • 한우제;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8
    • /
    • 2019
  • 타이타니아 ($TiO_2$)는 독성이 없고 매우 높은 굴절률, 촉매 활성 및 생체 적합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이 있고 높은 이방성을 갖는 저렴한 재료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세라믹 소재이다. 이러한 $TiO_2$를 sol-gel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화 하였다. 나노입자 형성중에 pH를 조절하여 $TiO_2$의 결정성을 제어하였다. 합성된 나노입자는 엑스선 회절분석법, 퓨리에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합성된 $TiO_2$ 나노입자는 5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의 결정성이 증가됨에 따라 550 nm 영역의 발광세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TiO_2$ 나노입자의 결정성 조절을 통한 발광 특성 조절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