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껌씹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척추 수술 후 껌씹기가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과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ewing Gum on Abdominal Discomfort, the First Defecation, and Constipation after Spine Surgery)

  • 김형자;김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1호
    • /
    • pp.85-9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wing gum on the reduction of postoperative ileus and recovery after surger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ong 82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between May 2015 and October 2015.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chewed sugarless gum 3 times daily for 30 minutes each time until POD 5. Abdominal discomfort, the first defecation, and CAS scor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were monitored. Results: After the experiment, abdominal discomfor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F=2.46, p=.044). However, the first defecation occurred on postoperative hour 69.6 in the chewing gum group and on hour 60.2 in the control group (t=-1.63, p=.107). C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F=3.51, p=.012). Conclusion: Chewing gum is expected to help patient recover after surgery as safe nurse intervention which can reduce abdominal discomfort and constipation during early postoperative days after spine surgery.

껌씹기가 개복수술 환자의 장운동 회복과 구강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vement and Oral Cavity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 방설영;정금자;정혜연;안소현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25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vement and oral cavity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Metho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ronized repeated treatment design was used. A total of 99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4 pati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hewed gum three times a day until they passed gas. As the patient reported gas-passing, bowel movement time, subjective symptoms of oral cavity, and oral status were recorded precisely. The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t-test were analyzed by SPSS PC 12.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wel movement, gas passing, oral cavity symptoms, and oral status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e fact that gum-chewing helps early recovery from post-operative ileus and thirst. It is because gum chewing stimulates bowel mobility and secretion of saliva. Thus gum-chewing seems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reducing post-operative side effect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y.

  • PDF

껌씹기가 대장.직장암환자의 장 절제술 후 장운동 회복 및 재원일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tility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fter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 김삼숙;이은남;김학선;김민경;이경선;남혜진;김미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1-19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tility and days of hospitalization after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irty-four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were assigned to either gum-chewing group (n=17) or control group (n=17). The patients in the gum-chewing group chewed gum for 10 min three times daily from the first postoperative morning until the day they began oral intake. Outcome variables were time of first flatus, time of first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Gum-chew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first passage of flatus, but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ime of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Conclusion: Gum-chewing can be utilized as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shorten the time of the first flatus of postoperative colectomy.

경기도 지역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증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91-104
    • /
    • 2007
  • 측두하악장애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기여요인들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두하악장애증상의 증상별 빈도, 성별, 연령별 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중 한 가지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주관적 증상을 가진 자는 80.6%였다. 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증상은 두통(45.7%)이고 그 다음이 관절음(43.5%)이었는데 두 가지 모두 남녀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20대 남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 부정교합 증상 비율이 낮았으며, 20대 여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4.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증상으로는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턱 피곤함, 급성 부정교합 증상이 있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기여요인으로는 턱 괴기, 스트레스, 껌씹기, 불면증, 이악물기가 있다. 5. 기여요인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이악물기, 불면증, 편측저작, 턱 괴기, 스트레스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보통 성격과 관련성이 높았다.

껌씹기가 저작근의 경도와 탄성도에 미치는 효과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of Masticatory Muscles on Gum Chewing)

  • 원태희;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21-429
    • /
    • 2007
  • 최근 tactile sensor 를 사용하여 근육의 경도와 탄성도를 조사하는 방법이 저작근의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촉각센서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껌씹기를 시행전, 중, 후의 저작근의 경도와 탄성도를 조사하여 향후 턱관절 장애 환자의 저작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건강한 성인 8명을 대상으로 양측 전측두근(anterior temporalis), 하교근(inferior masseter)의 경도와 탄성도를 촉각센서 (Venustron II, Axion Co., Japan)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피검자들을 unit-chair에 바로 앉힌 상태에서 양측 교근 및 측두근 부위를 촉진을 통해 전 측두근(temporalis anterior), 하 교근(masseter inferior) 두 부위를 펜으로 표시하였다. 실험의 재현성을 위하여 투명한 종이에 ala-tragus line을 표시한 후 두 부위를 투명종이 위에 표시하였다. 편안한 상태에서 촉각센서를 사용하여 양측 하 교근 및 전 측두근의 경도와 탄성도를 측정한 후, 껌(Excellent Breath, Taiyo Co., Japan)을 양측으로 씹게 하여 1초당 2회의 속도로 씹게 하였다. 껌을 40분동안 저작하는 동안 10분, 20분, 30분, 40분에 양측 하 교근 및 전 측두근의 경도와 탄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껌을 뱉게 하고 하악의 안정위 상태에서 10분, 20분, 30분, 40분 후 양측하 교근 및 전 측두근의 경도와 탄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치들을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과 다중비교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측두근과 교근을 비교 시 탄성도, 경도 모두 교근의 변화가 유의하게 크다. 또한 저작하면 서서히 경도는 증가하며 탄성도는 반대로 감소한다. 탄성도 및 경도는 저작 시 신속히 증가하나 저작 종료 후에는 탄성도만 신속히 회복되나 경도는 약 10분 이상의 일정시간이 지나야 회복된다. 이상의 결과들을 보아 임상적으로 좀 더 다양한 연구와 기초자료가 확보된다면, 저작근의 근육 상태를 평가하는데, 근육의 탄성도와 경도를 조사하는 tactile sensor system은 유익한 기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