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길항제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의 임신초기에 있어서 PAF(Platelet-Activating Factor)가 착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elet-Activating Factor (PAF) on the Initiation of Implantation in Rat)

  • 박경식;권종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6-55
    • /
    • 1991
  • 본연구의 목적은 흰쥐의 임신 초기에 있어서 착상의 유발에 PAF의 관련여부를 PAF의 수용체 길항제인 BN-52021d의 작용과 비교하여 결정하기 위함이다. 임신초기 각일에 점증하는 용량의 BN-52021 (체중 200g당 10$\mu$g 내지 1.25mg)이 근육내로 주사되었을때 10$\mu$g내지 250$\mu$g 용량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착상부위의 수 혹은 이것을 가진 흰쥐의 수에 대하여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으나 1.25mg투여 경우에는 현저히 감소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PAF(1$\mu$g) 경우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임신 초기 각일에 BN-52021(1.25mg)과 검증하는 용량의 PAF(0.04$\mu$g 내지 1.0$\mu$g)가 동시에 투여된 경우에는 PAF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착상 부위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현저하지는 아니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PAF는 흰쥐의 임신 초기 반응에 관련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NMDA 수용체의 길항제인 Ketamine를 이용한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Neuropathic Pain Management with NMDA Receptor Antagonist (Ketamine) in Pain Clinic -A case report-)

  • 안미정;김혜자;이원형;신용섭;이정은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2호
    • /
    • pp.294-298
    • /
    • 1998
  • The feature of neuropathic pain may occur in the absence of any apparent stimulus and be exaggerated in either amplitude or duration. Peripheral nerve injury may produce neuropathic pain and opioids have been shown to be relatively unsatisfactory for the treatment of most cases of neuropathic pain. The NMDA receptor system is involved in transmission and modulat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We treated patients with severe pain, hyperaesthesia and allodynia with epidural injection of NMDA receptor antagonist, ketamine (10 mg) and morphine (0.5 mg) or other opioid. The combinations provided effective pain management in 23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 PDF

유전자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를 이용한 임신 1례 (A Case of Pregnancy Using Recombinant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 남윤성;김남근;김은경;정형민;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73-77
    • /
    • 2001
  • Objective: To report the pregnancy which was made by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recombinant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Material and Method: Case report. Results: Six oocytes were retrieved and all were fertilized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Six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the pregnancy was confirmed. Conclusion: It is envisaged that the availability of recombinant gonadotropins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will ultimately lead to shorter, cheaper and safer treatments, using reduced dosages.

  • PDF

수종의 생약으로부터 혈소판 활성화인자 길항제 검색 (Screening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PAF) Antagonist from Medicinal Plants)

  • 손건호;김소희;정근영;장현욱
    • 생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7-170
    • /
    • 1994
  • The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is a newly discovered chemical mediator, the chemical structure of which is 1-O-alkyl-2-acetyl-sn-glycero-3-phosphocholine. Since PAF has potent and broad activities, its pathophysiological rol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To develope a new PAF antagonist from medicinal plants, extracts of twenty medicinal herb were screened using PAF receptor binding, $[^{14}C]$ serotonin release and platelet aggregation.

  • PDF

외상성 뇌손상환자에서 Amantadine의 사용 (The use of Amantadin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 정한용;김양래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55-63
    • /
    • 2000
  • Avariety of symptoms can occur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TBI) or other types of acquired brain injury. These symptoms can include problems with short-term memory, attention, planning, problem solving, impulsivity, disinhibition, poor motivation, and other behavioral and cognitive deficit. These symptoms may respond to certain drugs, such as dopaminergic agents. Amantadine may protect patients from secondary neuronal damage after brain injury as a effect of NMDA receptor antagonists and may improve functioning of brain-injured patients as a dopaminergic agonist. Clinically, based on current evidence, amantadine may provide a potentially effective, safe, and inexpensive option for treating the cognitive, mood, and behavioral disorders of individuals with brain injury. The rationales for using amantadine are discussed, and pertinent literatures are reviewed.

  • PDF

Affinity column과 베타수용체 정제조건

  • 고광호;신찬영;강현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45-145
    • /
    • 1993
  •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정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affinity chromatography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수용체의 순수정제를 위한 효과적인 affinity matrix를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수용체 정제를 위한 기초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Bisoxirane reagent인 1,4-butanediol diglycydyl ether를 Sepharose CL-4B gel과 반응시켜 탄노원자 10개 길이의 spacer arm을 부착시켰다. 여기에 sodium persulfate, dithiothreitol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SH기를 도입시긴 추 free radical 반응을 이용하여 베타수용체 길항제인 alprenolol을 부착시킴으로써 affinity gel을 제조하였다. alprenolol치 부착반응을 위한 최적온도는 4$0^{\circ}C$로 나타났으며, semimicro Kjeldahl 질소 분석법을 적용하여 gel을 분석한 결과 ml당 0.4-0.6 $\mu$ mol의 alprenolol이 결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시상하부의 is vitro LHRH 분비와 adenylase cyclase 활성에 미치는 opiate의 작용 (Action of Opiates on LHRH Release in vitro and Adenylate Cyelase Activity by Rat Hypothalamus)

  • 김경진;이병주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1-350
    • /
    • 1987
  • LHRH분비와 환denylate cyclase활성에 미치는 PGE2, Opioid, 그리고 Ca2+의 영향을 흰쥐의 시상하부 조직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K+(30mM)에 의한 LHR광분비촉진은 Ca2+의존적인데 반하여, PGE2에 의해 촉진되는 LHR노 분비는 세포의 Ca2+농도에 의존하지 않았다. PGE2에 의한 LHR기 분비와 CAMP합성은 PGE2농도(1$\times$10-7M-1$\times$10-4M)에 비례하여 촉진되었으며, $\beta$-endorphin (1x10-3M)은 PGEa에 의한 LHRH 분비촉진과 CAMP합성을 공히 억제하였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길항제인 Naloxone(Ix10-"M)은 $\beta$-endorphin에 의한 저해효과를 극복시켜서, LHR광 분비와 CAMP합성은 각각 회복되었으나, CAMP합성은 부분적인 회복을 보인 반면에, LHRH분비는 PGE2에 의한 촉진효과보다도 더 활성화되었다. 결론적으로 LHRH분비에 미치는 오퍼오이드의 억제작용은 PGE2-cAMP의 세포내 전달과정을 저해함으로써 유발되는것으로 추정 된다.정 된다.

  • PDF

PAF 길항제가 일과성 뇌허혈에 의한 뇌혈류역학 변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AF Antagonists on the Alterations in Cerebral Hemodynamics in Transient Cerebral Ischemia)

  • 이원석;고수연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3호
    • /
    • pp.234-241
    • /
    • 1999
  •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cerebroprotective effect of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antagonists in transient cerebral ischemia of rats.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MCA) of Sprague-Dawley rats was occluded for 2 hours using an intraluminal filament technique, and was reperfused for 6 hours following cerebral ischemia. The infarct area of seven coronal brain slices was measured morphometrically following stain ing in the 2%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olution. The changes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pial arteriolar diameter were measured by laser-Doppler flowmetry and by a videomicroscopy, respectively. The infarct siz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PAF antagonists, BN 52021 and CV-6209, which were administered i.p. 10 min before MCA occlusion. Pretreatment with PAF antagonists significantly restored the changes in pial arterial diameter as well as those in rCBF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PAF antagonis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in the pial arteries ipsilateral to isch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F antagonists exert a cerebroprotective effect against ischemic brain damage through an improvement of postocclusive cerebral blood flow.

  • PDF

가축분뇨액비의 길항미생물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 (Inhibition of in Vitro Growth of Three Soil-borne Turfgrass Diseases by Antagonistic Bacteria from Composted Liquid Manure)

  • 류주현;심규열;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79-886
    • /
    • 2014
  • 가축분뇨액비의 토양전염성 잔디병해들의 억제능력을 알아보고자 군위, 논산, 무안, 여주, 이천, 익산, 합천, 횡성 등 8개 지역의 가축분뇨액비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액비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수행하였다. 가축분뇨액비와 병원균주들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총 110종의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으며, 각 병원균주별로 길항능력이 우수한 한 종씩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각각의 미생물은 16s rRNA 서열분석을 통해 brown patch에 길항력을 보인 ICIIIB60은 Alcaligenes sp., large patch에 길항력을 나타낸 GWIV70은 Bacillus licheniformis Ab2, dollar spot에 길항력을 보인 ISSH20은 B. subtilis C7-3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최적배양조건은 NB 배지(ICIIIB60)와 TSB 배지(GWIV70, ISSH20)에서 온도는 $29.5^{\circ}C-31.4^{\circ}C$의 범위에서, pH는 6.5-7.3의 범위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균주를 5종의 살균제와 혼용한 결과, ICIIIB60 균주는 테부코나졸 제제, GWIV70와 ISSH20 균주는 토클로포스메틸 제제에서 생존율이 높아 혼용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축분뇨액비는 비료로서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잔디 병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개구리 좌골신경에 대한 Buprenorphine의 작용 양상 (Agonist-Antagonist Effects of Buprenorphine on Action Potentials of Frog Sciatic Nerve Fibers)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0
    • /
    • 1989
  • 함께 투여되는 마약성진통제에 따라 효능제 또는 길항제(mixed agonist-antagonist)로 작용하는 buprenorphine을 사용하여 개구리 좌골신경에 존재하는 아편수용체의 성질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sucrose-gap apparatus를 사용하여 활동전압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약물의 상호작용을 검토하고자 meperidine 또는 naloxone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uprenorphine은 현저하게 개구리 좌골신경의 활동전압을 저하시켰다. 2) 두 개의 최고작용농도를 보였는데 저농도에서는 $10^{-8}\;M$, 또 고농도에서는 $10^{-4}\;M$에서 현저하게 작용을 나타내었다. 3) Buprenorphine은 meperidine의 활동전압 저하작용을 의의있게 억제하였다. 4) Naloxone에 의하여 Buprenorphine의 저하 작용이 억제되었다. 위의 실험결과로 Buprenorphine은 순수 마약성진통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차단제로 작용하는 한편 또한 효능제로 활동전압을 의의있게 억제하였다. 이로써 개구리 좌골신경에 있는 아편수용체는 세포막에 또는 세포막 주위에서 $Na^+-Channel$이 활성화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 수용체는 또한 Naloxone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