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길항제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1초

Cinosulfuron과 Dymron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수도(水稻)(Oryza sativa L.)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ixed Application of Cinosulfuron with Dymron on Rice)

  • 최용석;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123
    • /
    • 1992
  • 제초제(除草劑) cinosulfuron에 대(對)한 수도(水稻)의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을 검정(檢定)하고 여러 가지 제초제(除草劑)에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ymron을 대상(對象)으로 cinosulfuron에 대(對)한 약해경감효과( 藥害輕減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한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cinosulfuron에 대한 수도(水稻) 104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의 반응(反應)은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에 따라 반응(反應)이 달랐는데 cinosulfuron 1ppm 처리(處理)에서 Daeseongbyeo, Iri 371, Jaseongbyeo, Taebaegbyeo, IR 74 등(等)은 높은 내성(耐性)을 보인 반면(反面)에 Calrose, Dasukei, Hwajinbyeo, Kwangmyungbyeo, Milyang 105 등(等)은 상당한 감수성(感受性)을 보여 대체로 indica type과 indica ${\times}$ japonica 교잡종(交雜種)이 japonica type보다 cinosulfuron에 내성(耐性)을 보였다. 2. Cinosulfuron 48g 및 96g ai/ha를 dymron 450g ai/ha와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 광명벼에서 처리량(處理量)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에 있어서 상당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발휘(發揮)하였다. 반면에 IR 74는 초장(草長)에 대(對)한 억제(抑制) 그다지 크지 않아 경감효과(輕減效果)가 뚜렷하지 않았다. 3. Dymron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광명 벼 및 IR 74 두 품종(品種)에 모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Cinosulfuron과 dymron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초장(草長)에 있어서 품종(品種) 및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보였다. 생체중(生體重)에 있어서는 dymron과 cinosulfuron 24g ai/ha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를 제외(除外)한 모든 처리(處理)에서 拮抗作用(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실내(室內) 샤레 검정(檢定)에서는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신초보다 뿌리의 억제(抑制)가 심했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japonica type의 광명벼 및 화진벼가 indica type의 IR 74 보다 신초 및 뿌리의 억제(抑制)가 심하였다. Cinosulfuron과 dymron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품종(品種) 및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신초, 뿌리 및 생체중(生體重)에 대해 cinosulfuron의 약해(藥害)를 상당히 경감(輕減)시키는 효과(效果)를 보였다. 4. Cinosulfuron과 brassinolide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초장(草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inosulfuron 24g ai/ha에서는 brassinolide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두 품종(品種)이 비슷하였으나 cinosulfuron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광명벼가 IR 74보다 더 억제(抑制)되었다. 5. Cinosulfuron과 ABA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초장(草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cinosulfuron 96g ai/ha에서 AB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광명벼와 두 품종(品種) 모두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보였다. 그러니 생체중(生體重)에 대해서는 96g ai/ha에서 광명벼는 상승적(相乘的), IR 74는 길항적(拮抗的)으나 ABA 처리(處理) brassinolide와 마찬가지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쥐 해마에서 M1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GluA2 세포내이입 연구 (Activation of the M1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Induces GluA2 Internalization in the Hippocampus)

  • 류근오;석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03-1109
    • /
    • 2015
  • 뇌 해마의 콜린성 신경분포는 학습과 기역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작용제인 carbachol 투여 시 장기기억 저하가 유도됨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콜린성 자극에 의한 해마 신경세포의 시냅스 내 변화기작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하여 유도되는 장기기억 저하 현상에 있어 alpha-amino-3-hydroxy-5-methylisoxazole-4-propionate (AMPA) 수용체가 후시냅스 표면으로부터 사라지는 현상과 이의 조절기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쥐 해마의 일차세포를 추출하고 체외에서 배양한 성숙 신경세포에 carbachol 을 투여하여 장기기억 저하를 유도 하였으며, 후시냅스의 표면으로부 터 AMPA 수용체의 아단위체인 GluA2가 M1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에 의하여 저해 되었다. 또한 콜린성 자극 에 의한 GluA2의 내재화 현상의 작용기작 연구를 위하여 쥐 해마 절편에 carbachol 투여 후 GluA2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Glutam내재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 과 clathrine 단백질이 매개하는 세포내이입 작용을 하는 adaptin-α 단백질의 결합 변화를 관찰하였다. GluA2는 carbachol 자극에 의해 세포내이입 과정에서 adaptin-α 와의 결합이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GRIP1과는 해리되었다. 이는 아세틸콜린의 수용체의 자극에 의하여 GluA2의 내제화 작용이 수반되며, 이의 작용기작으로 GluA2의 후시 냅스 표면 발현시에 결합하고 있는 GRIP1과 해리 되면서 장기기억 저하 현상이 유도됨을 의미한다.

난자공여를 통한 체외수정 시술에서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효능제 장기요법과 길항제 단기요법 사이의 임상 결과 비교 (The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GnRH Agonist Long Protocol and GnRH Antagonist Short Protocol in Oocyte Donation Cycles)

  • 이정호;박준철;김종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95-103
    • /
    • 2003
  • Objective : To assess and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GnRH agonist long protocol and GnRH antagonist short protocol in oocyte donation program. Materials and Methods: Of total 18 oocyte donation cycles,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ere performed with GnRH agonist long protocol and GnRH antagonist short protocol in initial 9 cycles and later 9 cycles, respectively. Oral estradiol valerate and progesterone in oil we re administrated to all recipients for endometrial preparation. Oral estradiol administration was started from donor cycle day 1 after full shut down of gonadal axis with GnRH agonist in patients with ovarian function. Progesterone was injected from oocyte retrieval day of donor initially, then continuously till pregnancy 12 weeks if pregnancy was ongoing. We compared the parameters of clinical outcomes, such as number of the retrieved oocytes, fertilization rate, high grade embryo production rate, clinical pregnancy rate, implantation rate, ongoing pregnancy rate, COH duration, total gonadotropin dose for COH between GnRH agonist long protocol group and GnRH antagonist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ann-Whitney test, p<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fertilization rate, high grade embryo production rate, clinical pregnancy rate, implantation rate, ongoing pregnancy rate were $14.89{\pm}7.83$, 81%, 64%, 78%, 31%, 78%, respectively in GnRHa long protocol group and $11.22{\pm}8.50$, 79%, 64%, 67%, 34%, 56%, respectively in GnRH antagonis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ameters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2 groups (all p value >0.05). Duration and total gonadotropin dose for COH were $10.94{\pm}1.70$ days and $43.78{\pm}6.8$ vials in 18 cycles, $12.00{\pm}1.73$ days and $48.00{\pm}6.93$ vials in agonist group, $9.88{\pm}0.78$ days and $39.55{\pm}3.13$ vials in antagonist group, respectively. In GnRH agonist long protocol group,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and higher gonadotropin dose for COH were needed (p=0.012). Conclusion: In oocyte donation program, clinical outcomes from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GnRH antagonist were comparable to those from GnRH agonist long protocol group, s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GnRH antagonist may be effective as GnRH agonist long protocol. At least there may not be harmful effects of GnRH antagonist on oocyte development and quality.

Haloperidol 장기 투여된 Mouse Striatum에서 cAMP양에 미치는 Opiates의 영향 (The Changes of Cyclic AMP Content by Opiates in Chronic Haloperidol Treated Mouse Striatum)

  • 김수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8
    • /
    • 1994
  • Opioid수용체는 adenylate cyclase의 활성을 억제하므로써 cyclic AMP의 양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striatum에서 dopamine과 opioid 신경전달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haloperidol(750ug/kg)을 10일간 복강내 투여하여 dopaminergic pathway를 차단시킨후 mouse striatum에서 선택적 opioid ${\mu},\;{\gamma}\;{\kappa}$ 수용체 agonist들에 의해 축적되는 cAMP양을 측정하여 본 결과, haloperidol단독투여에 의해서 cAMP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haloperidol 장기투여된 mouse striatum 에서 morphine(20mg/kg), DAGO(5Oug/kg), DPDPE(50ug/kg), U5O,488H (500ug/kg)투여에 의해서 haloperidol에 의한 cAMP 증가는 억제되었으며, 정상 mouse에 투여된 morphine, DAGO, DPDPE, U5O,488H에 비해서는 DAGO, DPDPE 투여군에서 증가를 나타내었다. Haloperidol장기투여로 인한 morphine, DAGO, DPDPE, U5O,488H의 영향은 naloxone에 의해서 morphine과 U5O, 488H투여군에서 길항되었으며 정상 mouse에 투여된 morphine, DAGO, DPDPE, U5O,488H에 의한 cAMP의 감소는 naloxone에 의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길항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opaminergic denervation시 mouse striatum에서 ${\mu},\;{\gamma},\;{\kappa}$효현제에 의하여 축적되는 cAMP양은 ${\kappa}$수용체 효현제인 U5O,488H에서 가장 현저한 감소를 보여 각 수용체의 활성화정도는 변화되며, 그중에서 ${\kappa}$수용체는 그 기능이 가장 보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토 신장기능에 미치는 뇌실내 Domperidone의 영향 (Influence of Intracerebroventricular Domperidone on Rabbit Renal Function)

  • 김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5-145
    • /
    • 1988
  • Dopamine(DA)은 뇌실내 투여시에 항이뇨와 함께 Na 배설증가 경향을 보이며, $D_1$, 및 $D_2$ 두 종류의 중추 Dopamine수용체가 신장기능에 서로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 $D_2$ 길항제인 Comperidone(DOM)을 이용하여 중추 $D_2$ 수용체의 역할을 구명코자 하였다. DOM은 측뇌실내로 (icv)투여시 항이뇨 및 Na 배설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신혈류 및 사구체여과율도 감소하였다. 전신혈압은 약간 증가하였다. 정맥내투여시에는 Na 배설에 변동이 없었다. 신경을 제거한 신장에서는 icv DOM에 의한 신혈류역학적 변동은 제거되었으나 Na 배설은 제신경신장측에서도 정상신장측에서와 같이 감소하였다. DA icv의 항이뇨작용은 DOM 전처치에 의하여 영향받지 아니하였다. $D_2$ 수용체 agonist인 Bromocriptine은 뇌실내 투여시 현저한 이뇨 및 Na 이뇨를 나타냈으나 이 작용은 DOM 전처치로 완전히 차단되었다. 또 다른 형의 $D_2-agonist$인 Apomorphine의 icv 투여는 일과성으로 신혈류역학의 증가와 함께 이뇨 및 Na 배설증가를 초래하였으며, DOM 전처치는 신혈류역학변동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뇨량 및 Na배설증가는 DOM 전처치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약시켰다. 본 연구는 중추 $D_2$ 수용체가 어떤 체액성 natriuretic factor를 퉁하여 신장에 이뇨 및 Na 배설증가작용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중추 $D_1$, 수용체는 신경경로를 통하여 항이뇨적 영향을 미치고 중추 $D_2$ 수용체는 Na 배설증가작용을 매개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 PDF

최적의 luminescence 신호 분석을 위한 유전자 전달 방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various transfection processes for the optimal luminescence signal analysis)

  • 박서현;이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640-647
    • /
    • 2016
  • 형광 간섭 현상을 최소화시켜 상대적으로 민감한 측정이 가능한 aequorin기반 luminescence기술은 $G_{{\alpha}16}$ 단백질 도입을 통해 세포 내부의 칼슘 이동 신호를 감지하여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의 기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세포 기반 분석 기술로 수용체 및 G 단백질 유전자 전달의 최적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receptor subtype 2(CRF2) 수용체를 모델 시스템으로 CRF2와 $G_{{\alpha}16}$ 단백질이 구축된 세 가지 안정화 세포주를 제작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서로 다른 세 가지 조건의 임시 발현 세포주에서 작용제(sauvagine)와 길항제(K41498)의 반응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유전자 전달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auvagine 및 K41498의 농도에 따른 반응에서 CRF2-$G_{{\alpha}16}$ 안정화 세포주가 임시 발현 세포주보다 10배 이상의 유효신호 비율을 나타내었고(z'=0.77) 임시 발현 세포주의 경우 $G_{{\alpha}16}$의 안정화 발현 이후에 CRF2를 전달하는 경우가 다른 임시 발현 조건보다 2배 이상 높은 효율을 보였다(z'=0.84). 따라서 임시 유전자 전달 기술을 GPCR 세포 기능 분석 시스템에 활용할 경우 $G_{{\alpha}16}$ 단백질에 대한 안정화 세포주를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목표하는 다양한 수용체들을 단계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판단된다.

In Vitro에서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에 대한 케타민의 효과 (Effect of Ketamine on the Oxidative Burst Activ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In Vitro)

  • 김민준;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393-399
    • /
    • 2006
  • 전신마취제인 케타민은 흥분성 아미노산의 활성을 방해하는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의 비경쟁적인 길항제이다. 본 연구는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Oxidative burst activity; OBA)에 있어서 케타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세포의 OBA는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케타민을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와 monocyte-rich cells에 직접처리 하였을 때는 OBA가 감소하였으며, 또한 케타민을 처리한 말초혈액 단핵구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도 PMN과 monocyte-rich cells의 OBA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케타민을 처리한 PMN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는 탐식세포의 OBA에 있어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OBA의 감소는 latex beads를 넣어 탐식반응이 일어날 때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탐식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케타민은 호중구와 단핵구와 같은 개 말초혈액 탐식구의 OBA에 있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약물성 치은비대로 인한 병적인 치아 이동이 있는 환자에서 치주치료 이후 자발적 치아 이동을 보인 증례 (Spontaneous teeth migration after periodontal treatment in the patients with drug-induced gingival enlargement)

  • 최윤경;정경화;김소연;전혜미;최점일;이주연;주지영;권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34-41
    • /
    • 2017
  • 치은비대와 연관된 대표적인 3가지 약물은 항경련제, 칼슘 길항제, 면역 억제재 등이다. 약물성 치은 비대를 위한 치료에서 근본적인 원인인 약물 대체가 선행되면 재발의 위험 등은 훨씬 낮아지는 이점이 있으나, 대체가 어려울 때는 치주치료와 철저한 유지관리가 병행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성 치은비대로 병적인 치아 이동이 일어난 경우, 약물 교체 없이 치주 치료로 염증이 해소 되면서 자발적으로 치아 이동이 함께 일어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의 환자들도 치주치료 이후 적극적인 정기 점검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었다.

(${\Delta}^{12}PGJ_2$ 및 PPAR 감마 길항체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lta}^{12}PGJ2$ and $PPAR{\Gamma}$ Agonist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 허정미;김경화;정경욱;이혜준;류인철;구영;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133-152
    • /
    • 2005
  • 1. 목적 Prostaglandin은 치주질환과 관련된 국소적 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lta}^{12}PGJ_2$는 생체 내에서 혈장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천연 $PGD_2$ 대사산물이며 peroxisome- proliferator에 의해 활성화되는 감마 수용체 (PPAR ${\Gamma}$)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갖는 리간드로서 핵 수용체군에 속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화 과정에서 ${\Delta}^{12}PGJ_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조골세포주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련된 세포기전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2. 방법 인간 골육종세포주인 Saos-2 (ATCC.HTB 85)와 쥐의 조골세포주 (MC3T3-E1)를 배양한 후 실험군에 농도가 각각 $10^{-5}$, $10^{-6}$, $10^{-7}$, $10^{-8}$, $10^{-9}$ 몰인 ${\Delta}^{12}PGJ_2$와 ciglitazone (합성 PPAR 감마 길항체)를 첨가하였다. 조골세포에서 PPAR 감마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특정한 prim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세포 증식은 1일, 2일, 3 일째에 MI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고, 2 일째에 알칼리성 인산효소 (ALPase) 생산을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얻은 적정한 농도에서 다양한 조골세포 분화의 표지자들-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및 bone sialoprotein-에 대한 간이 정량적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골결절 형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석회화 분석도 시행하였다. 3. 결과 ${\Delta}^{12}PGJ_2$와 ciglitazone 모두 Saos-2 세포주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10^{-8}$ 몰의 ${\Delta}^{12}PGJ_2$$10^{-6}$몰의 ciglitazone을 첨가한 실험군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률이 증가되었다. 알칼리성 인산효소의 활성화 검사에서도 증식률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간이 정량적 RT-PCR에서는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의 경우 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그리고 bone sialoprotein의 상대적 mRNA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석회화 분석에서는 MC3T3-E1 세포를 $10^{-6}$ 몰의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과 $10^{-5}$ 몰의 ciglitazone으로 처리한 군에서 현저한 골결절 형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elta}^{12}PGJ_2$가 유용한 골 유도물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이 PPAR 감마-의존형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개에서 Halothane 마취시 전마취제로서 xylazine/fentanyl/azaperone과 medetomidine/midazolam 및 이들 길항제와의 병용이 마취효과 및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Anesthetic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xylazine/fentanyl/azaperone and medetomidine/midazolam as preanesthetics and combinations with their antagonists in halothane-anesthetized dogs)

  • 양한석;권오경;우흥명;남치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16-627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esthetic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xylazine/fentanyl/azaperone and medetomidine/midazolam as preanesthetics and their combinations with antagonists in halothane-anesthetized dogs. Eight clinically healthy dogs($4.54{\pm}2.16kg$) were used at the interval of more than 14 days between experiments in turn for propionyl promazine(PP 0.3mg/kg, IM), xylazine/fentanyl/azaperone(XFA 2mg/kg, 0.0137mg/kg, 0.11mg/kg, IM), medetomidine/midazolam(MM 0.02mg/kg, 0.3mg/kg, IM), combination of XFA and their antagonists (yohimbine 0.05mg/kg, naloxon 0.0005mg/kg, IV) and combination of MM and their antagonist(atipamezole 0.08mg/kg IM). The sedation induction times in XFA($2.56{\pm}1.01min$) and MM($5.44{\pm}2.07min$) group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PP group($10.75{\pm}2.38min$)(p < 0.05). The thiopental sodium dose required for tracheal intubation in XFA($2.38{\pm}3.38mg/kg$) and MM($3.91{\pm}3.47mg/kg$) group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PP group($12.57{\pm}2.13mg/kg$)(p < 0.05). All time indices expressing the recovery(pedal reflex recurrence time, extubation time, arousal time, standing time and walking time) were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ombination groups of XFA or MM with their antagonists than in PP, XFA and MM groups(p < 0.05). The suppressions of cardiovascular function of XFA and MM were more than that of PP. Heart rate and cardiac output were recovered by the antagonists of XFA and MM, but mean arterial pressure were not recovered by the antagonists. PP induced apnea in 4 out of 8 dogs, but XFA in none and MM in on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for rapid sedation, prevention of apnea after intubation and rapid recovery after halothane cessation, combinations of xylazine/fentanyl/azaperone or medetomidine/midazolam with their antagonists are recommendable as preanesthetic method in gas anesthetised dogs with normal cardiovascular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