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긴장성두통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9초

긴장성 두통과 이갈이 습관의 상호관계 (Interrelationship of Tension-type Headache and Oral Parafunction)

  • 허기회;김진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79-85
    • /
    • 2005
  • 긴장성두통환자의 통증이 구강악습관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일정기간 내원한 긴장성두통환자 58명 중 구강악습관(이갈이, 이악물기, 이갈이와 이악물기) 환자 20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나머지 3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국제두통학회의 긴장성두통 진단기준안에 근거하여 설문조사 후 통계처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성별(p=0.91) 및 나이(p=0.73)는 유의성이 없었다. 2. 통증의 종류에서 두 군 공히 둔통이 많았으며, 유의성은 없었고(p=0.69), 비둔통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다. 3. 통증의 강도에서 두 군 공히 비심도가 많았으며, 유의성은 없었고(p=0.40), 심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다. 4. 통증의 양측성 유무에서 두 군 공히 편측성이 많았으며, 유의성은 없었고(p=0.52), 양측성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다. 5. 통증의 일상생활시 악화유무에서 두 군 공히 악화가 많았으며, 유의성은 없었고(p=0.74), 악화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다. 구강악습관이 있는 긴장성 두통환자의 통증은 구강악습관이 없는 환자에 비해서 양측성이며 심도의 비둔통이 많았고 일상생활에 의해서 더 쉽게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구강악습관은 국제 두통학회에서 제시한 기준으로는 긴장성두통환자의 통증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의해서 더 쉽게 악화되므로 향후 저작이나 대화 등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조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치과임상에서의 두통의 진단 (Diagnosis of headaches in dental clinic)

  • 이혜진;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02-108
    • /
    • 2016
  • 두통은 전체 인구중 상당수가 일생에 한번 이상 겪게되는 질환으로, 계속하여 논의되고 개정되어 현재까지 국제적인 분류법이 마련되어 왔다. 원발두통은, 다른 원인질환에 의하지 않은 통증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편두통 2) 긴장형두통 3) 군발두통과 기타 삼차자율신경두통 4) 기타 원발두통. 한편 턱관절장애에 기인한 두통 및 약물 과용 두통은 두통의 원인이 기질적인 경우로 이차성 두통에 분류된다. 본 종설에서는 국제두통질환분류 제3판의 베타판(ICHD-3 beta)에 근거한 두통의 진단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침치료에 대한 환자진료 평가 프로그램-독일 보험회사들의 침효과에 대한 검증-

  • Melchart, Diete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34
    • /
    • 2003
  • 배경: 독일 의사와 보험회사 위원회 (The German Board of Physicians and Insurance Companie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가 앞으로 일부 적응증에 대한 침치료에 대해 공적 보험회사가 보험료를 지급해야 할 지에 대한 추가 결정을 하기 위해 침의 효과를 평가하기로 했다. 목적: 1)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치료에 대조군 침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 검증 2)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적 치료에 표준 약물 치료와 비슷하게 효과가 있는지 검증 3) 보건의료 서비스체계 안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한 일상적 침치료의 질적인 부분을 서술하고, 안전성을 평가하며, 다른 침술학파간의 임상결과의 차이와 비용의 효용적 활용부분을 평가한다. 4) 위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모든 임상실험연구를 찾아내어 기존의 고찰내용을 갱신한다. 방법: 1)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거짓침 치료, 대기자 명단 대조군, 출발시점 4주, 28주 관찰 2)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표준약물치료 대조군, 츨발시점 4주, 28주 관찰 3) 전향적 다중 의료기관 관찰 연구, 두 가지 다른 자료를 활용하여서, 치료 결과를 침 시술자에 의한 모든 환자 평가 자료와, 열 두 명의 환자 가운데 한 명의 환자로부터 직접 받은 평가 자료 (관찰 출발시점, 치료 출발 시점, 치료 시작 후 6 개월) 실험공간: 1) and 2) 높은 수준의 수련을 한 침 시술 의사가 시술하는 병원이나 일차 진료기관의 외래. 3) 보건 의료 서비스내 저급의 침 시술 의사 (140 시간 수강, 학점 이수 필수) 참가자: 1) $4{\times}320$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 환자 2) 480 편두통 환자(긴장성 두통 환자 추가적) 3) 약 500,000 환자, 2년 반 동안: 대략 한 적응증 당 10,000 환자 치료법: 모든 침치료 자리는 체침만 허용함. 1) 진짜 침은 학파의 지침에 따른 심자, 거짓 침은 비특이적 자리의 표피만 찌르는 자침 (12-15회, 8주): 대기자 대조군은 12주 동안에 아무 치료도 받지 않는다. 2) Group 1(N=240): 최대 15회 치료, 12주 동안: Group II (N=240) 투약 Proponolol (80-240mg), Metoprolol (100-200mg) or Flunarizin (5-10mg) 하루, 16주 이상 3) 치료회수와 침자리의 선정은 참가자가 결정 주된 임상 결과 지표: 1) 군 간의 치료 전 및 치료 진행 도중 4주 마다의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 (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2) 요통환자 군간의 기능을 측정하는 FFbH-R (Funktionsfragebogen Hannover) 비교 3) 관절염 환자의 군간 WOMAC 지표 비교 4) 군 간의 24주 동안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5) 적응증, 부작용, 성공율에 대한 거시적 평가, 사용한 침수, 환자의 만족도, SES(?). ADS(?) 통증 장애 지표(PDI), 삶의 질 지표(SF36). 예비 결과 위의 결과가 큰 관찰 연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개될 것임.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Comparison of Alexithymia among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 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2권1호
    • /
    • pp.59-68
    • /
    • 1994
  • 본 연구는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에 alexithymia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 하였거나 타과에서 정신과에 자문의뢰된 정신신체장애 환자 100명(긴장성 두통환자 47명 포함), 불안장애환자 52명, 우울장애환자 50명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반체계적 면담용 평가도구인 Alexithymia provoked Response Questionnaire(APRQ)를 사용하였다.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은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환자들보다 alexithymia의 정도가 더 낮았으나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긴장성 두통환자들은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alexithymia의 정도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우울장애환자들이 불안장애환자들보다 aluithymia의 정도가 더 높았으나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 및 직업유무와 같은 인구학적 특징들은 조사대상 모든 군에서 alexithymia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이 결과들은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이 alexithymia를 보인다는 기존 보고와 다르게 정신신체장애 중 긴장성 두통과 같은 특정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서 alexithymia가 현저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긴장성 두통환자들에서의 치료전략으로 감정표현을 유도하는 특수한 형태의 면담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PDF

머릿 속에 날아든 딱따구리 편두통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제36권12호통권424호
    • /
    • pp.10-11
    • /
    • 2003
  • 편두통은 머릿 속에 딱다구리가 들어와 있는 것처럼 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병입니다. 특히, 20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편두통은 뚜렷한 원인도 없고 완치도 쉽지 않습니다. 두통이 심하면 혹시 '뇌에 종양이 생긴 게 아닐까' 두려워하는 사람도 있는데 대부분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성 두통이나 편두통입니다. 그러나 무작정 진통제로 해결하려는 것은 무모한 일이며 진통제를 남용하면 병이 만성화돼 치료가 더욱 어려울 수 있습니다.

  • PDF

두통의 약물학적 치료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Headache)

  • 나은진;박종일;양종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20-27
    • /
    • 2016
  • 두통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생 한번씩은 경험하는 가장 흔한 신체증상이다. 심각한 상황을 야기하는 뇌종양과 같은 일부의 원인을 제외하고, 두통의 대부분은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과 같은 일차성 두통으로 알려져 있다. 두통의 정확한 진단은 임상의들의 자세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로부터 시작된다. 본 종설에서는 두통의 세부진단과 진단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효과적인 약물치료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두통에 대한 Sham/Placebo 침술 대조군 연구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ham/Placebo Acupuncture Controlled Trials for Headache)

  • 정수형;서정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9-109
    • /
    • 2009
  • 목적 : 두통의 침술효과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에서 서로 상충되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에 저자는 대조군 집단 시술의 역할과 시험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유형의 두통, 특히 긴장성 두통(Tension-type headache, TTH)과 편두통에 대한 침술의 대조군 시험에서 나타나는 일관성 없는 발견 사항들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려고 하였다. 방법 : 두통의 침술효과에 대해 보고하고 있는 11개의 임의대조군 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을 대상으로 하여 위약 침술과 방법론적 특성 범주 III과 IV를 중심으로 위약 시술 분석,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임상적 유효성과의 상관관계에 있어 범주 III과 IV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본 크기 계산, 표본 전체 크기, 진짜 집단과 위약 집단에 속한 피험자의 수에는 긍정적 결과와 중립적 결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두통의 임의대조군 시험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위약 대조군과 침술의 방법론적 특성이 임상적 효과를 예측해 주는지의 여부에 대해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