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 요인

Search Result 85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Quantitative separation of discharge impacted by human activities and climate change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변화되는 유량의 정량적 분리)

  • Kim, Sang Ug;Kim, Hyeo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5-165
    • /
    • 2016
  • 장기적인 수자원 계획의 수립이나 수공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수문학적 순환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문학적 순환은 인간활동과 기후변화의 요인으로 인하여 시간 및 공간에 따라 항상 변화되기 때문에 특정지점에서의 유량도 수문학적 순환의 변동으로 인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점에서 취득된 과거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법을 개발하였다. 인간활동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인간활동 유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 증가, 토지이용 변화 등을 들 수 있고, 기후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기후변화 유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온난화로 인한 강수, 기온, 습도 등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한 유량의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측된 자료가 가지고 있는 변동점을 분석하여 변동점 이전 구간을 비영향구간(non-impacted period), 이후 구간을 영향구간(impacted period) 로 나누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이중누가곡선, 선형회귀분석, Mann-Kendall 검정, Pettitt 검정을 이용하였다.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정량적으로 분리함에 있어서는 두 가지 분석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먼저 분석한 이후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반대로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한 이후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산정할 수도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기법을 모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비영향구간에 대해 SWAT-CUP을 활용하여 보정된 SWAT 모형을 구축하여 결과의 산정에 활용하였으며,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영향구간에 대해 민감도 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Budyko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두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비교함에 있어 한강 유역의 소양강댐 상류유역과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과거 관측자료를 취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양강댐 상류유역과 섬강유역의 변화된 유량에 대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의 비율이 높은지 인간활동으로 인한 영향의 비율이 높은지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두 유역에서의 인간활동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된 유량의 변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를 활용하여 수문학적 순환 관계에 있어 앞으로 어떠한 요인이 유량변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미래에 변화하는 유량에 대해 계획하고 수공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는 설계지침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Livestock Productivity - For bullocks, dairy, pigs, laying hens, and broilers - (기후변화가 축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거세우, 낙농, 양돈, 산란계, 육계를 대상으로-)

  • Lee, H.K.;Park, H.M.;Shin, Y.K.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1
    • /
    • pp.107-123
    • /
    • 2018
  • The glob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is now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livestock productivity. The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limate change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pert surveys. We also used the actual productivity data of livestock farme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In order to evaluate the climate for changes in livestock productivity, national representative data (such as bullocks, dairy, pigs, laying hens, and broilers) were surveyed in Korea. Also, to select and classify evaluation indexes, we selected climate change factor variables as prior studies and studied the weighting factor of climate variable factor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of industry, academia, and farmers in the livestock sector conducted questionnaires on the indicators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experts, and then weighed the selected indicators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 (AHP).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ex, was examined using domestic climate data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etc.).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livestock productivity was examined through this study. As a result, we used data with high reliability of statistical analysis and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variables.

Climate and Land Cover Controls over MODIS-derived Water Use Efficiency in a Korean Peninsula (기후 및 토지 피복에 따른 한반도 지역의 수분 이용효율)

  • Kim, Jeong Bin;Um, Myoung-J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0-140
    • /
    • 2016
  • 수분 이용효율(Water Use Efficiency, WUE)은 식생이 흡수한 수분 중 증발산에 이용한 비율로, 육상생태계의 수문학적 순환 및 탄소 순환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이는 특정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토지 피복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후 요인(강수, 기온)과 토지 피복에 따른 WUE의 변화를 살펴본다.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기반 총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 ET), 잎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Willmot의 기상자료 등 대상지역에 대한 격자 자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숲, 초원, 농지와 같이 다양한 토지 피복 조건에 대한 월간 및 연간 WUE(=GPP/ET)를 산정하고, 이의 LAI나 기후 조건(강수, 기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상관성 및 요인 분석을 진행한다. 기후 조건 및 토지 피복 조건을 고려한 15년간 한반도에서의 WUE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앞으로의 수자원 관리 및 산림 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nts of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Climate Change (세계화.기후변화시대의 지역 경쟁력 요인 분석)

  • Roh, Young Sik;Lee, Hee 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601-614
    • /
    • 2012
  •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that affect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The panel model was set by a balanced panel data for 7 metropolitan areas & 9 provinces and for the period of 2001~2010. Gross regional income per capita i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mpetitiveness-based factors, economic production factor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factors a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In this study, Model 1(typical regional competitiveness model) and Model 2 (adde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factors) were compared. The important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s on regional competitiveness are the ratio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human capital and energy inefficiencies de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Compared to Model 1, Model 2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regional openness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capital a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in Model 2.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of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 PDF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the Age of Response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시대의 도시개발방향과 시사점)

  • Oh, Eun-Yeol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33-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urb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climate risk factors and environment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through a qualitative data survey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limate risk fac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conditions for urban development by establishing a damage prevention system for natural disasters and analyzing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by conducting analysis of the impact and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in urban planning.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side suggested the need for the promotion of public transport oriented development (TOD) in the form of urban planning to realize sustainable and practical urban developm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more quantitative and empirical findings.

Estima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Transport by the Tier 2-3 Method (Tier 2-3 수준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2000))

  • 최상진;김호정;홍영실;장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17-218
    • /
    • 2003
  • 지구의 기후변화는 자연, 인위적인 요인 모두에 의해서 발생되지만 UN IPCC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온실가스가 자연적인 기후변화에 단독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현재보다 휠 씬 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하여 인위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부분은 에너지산업, 제조/건설업, 수송 등의 연료연소부문에서 기인하고 있다. (중략)

  • PDF

A Process Study on Korean Peninsula Karst by Climatic Alterations (기후변화(氣候變化)에 의한 한반도(韓半島) Karst의 발달과정(發達過程)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4
    • /
    • pp.53-66
    • /
    • 2008
  • 오늘날 기후지형학은 지형학자들에게 가장 큰 논점이 되고 있다. 기후적인 외인적인 요인이 제1차적인 형성요인이며, 2차적으로 육수와 해수에 의한 내인적인 발달요인이 된다. 카르스트의 기후 적 접근은 1950년대부터 활발하게 주장되어 현대 진화의 광대한 연구에 가담하였다. 기후적인 작용에 의한 카르스트의 발달은 지대한 영향을 가져오지만 기온에 대한 카르스트의 발달에 대한 논쟁은 기존의 우 열대 저 한대 편향에서 많은 논쟁을 야기시키고 있다. 왜냐하면 한대와 온대, 열대와 중위도 카르스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지 않다고 규정짓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도 제4기 동안에 형성된 해수면의 승강작용과 태백산맥의 융기작용에 따른 카르스트의 발달은 지형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과 다수의 지표면 카르스트(카렌)와 지하 동공(동굴)의 발달이 형성되었다.

Measuring the Corporate Readiness to Address Climate Challenges : Developing an Index of Climate Competitiveness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 : 경쟁력 결정요인과 측정지표 개발)

  • Lee, Myung-Kyoon;Kim, Hose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2
    • /
    • pp.383-411
    • /
    • 2010
  • Climate change and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firms in various ways. Climate change influences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physical impacts, GHG regulations, changes in asset values, demand shift, etc. Therefore, corporate competitiveness could be maintained by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adapting to new circumstances. Without effective responses to the challenges, the firms would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nd the cost of national economy will significantly increase as well. Even though it seems fairly eas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petitiveness, deriving the driving forces of and measuring changes in competitiveness are complicated and disputable processes. A common way to overcome it is to develop a 'competitiveness index'.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develop 'competitiveness index' reflecting those factors. The index will make contribution to enhance the response capacity of the firms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limate change policies for the industry by providing a quantitative tool to measure the changes in corporate competitiveness related to climate change.

  • PDF

Analy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in Korea (산림의 임상구조 결정요인 분석과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구조 변화 예측)

  • Lee, Honglim;Kwon, Oh Sa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6 no.2
    • /
    • pp.229-255
    • /
    • 2017
  •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in Korea using a fractional data regression model, and forecasts the change in forest composition in the 2040s and 2090s based on the IPCC climate change scenarios. Unlike the forest science studies that incorporate mostly only ecological variables as the determinants of forest composition, we take into account regional level socio-economic and forest management variables as well. Our estimation results found that not only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socio-economic and forest management related factors strongly affect the composition of Korean forest.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and IPCC scenarios on climate change, we predict that the share of currently dominant coniferous forest will decline in the future under all scenarios. About 10% of total forest area is likely to be converted from coniferous forest into broadleaved forest until 2090s under the scenario RCP 8.5. It is also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 substantial regional variation i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and the coniferous forests in the inland regions will decline more dramatically.

Performance comparison of INM-CM5 and INM-CM4 for monthly precipitation in historical period (INM-CM5 및 INM-CM4의 과거기간 월 강수량에 대한 성능 비교)

  • Song, Young Hoon;Chung, Eun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7-197
    • /
    • 2020
  • 기후변화 연구의 주요 요소 중 하나는 온도, 강수량 및 증발과 같은 기후 요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General Circulation Model(GCM)은 다양한 기후 요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CMIP)는 전 세계의 30여 개 이상의 기관에서 개발한 GCM의 모의 결과를 연구 및 공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기후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CMIP5의 GCM은 미래 시나리오인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를 기반으로 전망 기간의 기후요소를 예측한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CMIP6의 미래 시나리오인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SSP)는 인구, 경제개발, 생태계, 자원, 제도 및 사회적 요인에 대한 미래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포함하고 있으며, CMIP6의 미래 시나리오는 사회적 및 경제적 결합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 영향에 대한 증진된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IP5의 INM-CM4와 CMIP6의 INM-CM5를 사용하여 대한민국의 과거 기간(1970-2005)의 월 강수량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다. 격자형 자료인 GCM을 Inverse distance weight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22개 관측소로 거리 보간을 수행하였으며, 편이보정 방법으로는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 방법 중 Smoothing Spline 방법을 사용하여 관측소와의 오차를 수정하였다. 산정된 강수량을 토대로 6개의 평가지표(NRMSE, Pbias, NSE, PRCP100, PRCP200, PRCP300)를 사용하여 GCM의 성능을 평가하여 INM-CM4와 INM-CM5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