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혼직장여성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자녀양육기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A Typology of Work-Family Interaction of Married Employ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 이승미;구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5-591
    • /
    • 2013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of various types of work-family interaction (i.e.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with individual, family,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was explored in a sample of 1000 married employ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By using cluster analysis, we tried to reveal whether specific combinations of the various dimensions of work-family interaction (WFI) exist. Our results showed that employed women did not simply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or work-family enhancement, but that they should be classified in four distinct clusters: (1) 189 employed women experienced primarily work-family enhancement(i.e. positive WFI); (2) 289 employed women experienced primarily work-family conflict(i. e. negative WFI); (3) 338 employed women experienced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simultaneously(i. e. both positive and negative WIF); (4) 184 employed women did not experience either work-family conflict or work-family enhancement(i. e. low WFI). Results further showed that the emerging WFI-clusters appeared to have distinct profiles with respect to individual, family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Job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 박정민;최도림;이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62-273
    • /
    • 2020
  •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 사이에서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제6차 자료를 활용하여 19세-64세에 해당하는 응답자 중 현재 직장에 다니고 있는 기혼여성 근로자 2,01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가정 균형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일·가정 균형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정영역 사이에서의 정서적 연결성을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일·가정 균형을 위한 제도적 접근뿐만 아니라 가족친화문화와 같은 문화적 접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기혼 직장 여성 우울: 사회역할 이론을 중심으로 (Depression of Married and Employed Women Based on Social-Role Theory)

  • 조인숙;안숙희;김숙영;박영숙;김혜원;이선옥;이숙희;정재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96-50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social-role theory, and purposes were to investigate (1) how depression and health determinants vary with married and employed women, and (2) what factors contribute to depression according to family cycle. Methods: A stratified convenience sample of 765 married and employed women was recruited during May to August 2010. Study variables of depression, socio-demographic threatening factors, psycho-stimulating factors, and social-role 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via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Prevalence rate for depression was 18.6%, with highest rate (25.4%) from elementary laborers. Greater levels of depression were related to women's occupation, higher life stress, and poorer health; lower social support and vulnerable personality; higher levels of social-role related stress. From multivariate analysis, women with preadolescents were the most vulnerable to depression affected by occupation, life stress, personality, and parenting stress. These factors (except for occupational class) combined with economic status, social support, and housework unfairness were significant for depression in women with adolescents. Conclusion: Depression among married and employed women differs by psycho-stimulating and social role relevant factors in addition to occupational class and family life cycle. Female elementary laborers and women with children need to have the highest prioritization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모의 심리적 요인 및 지역사회 양육 환경이 출산포기에 미치는 영향 : 현재자녀수에 따른 비교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Community Child-Care Environment on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 Comparison by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 배광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31-53
    • /
    • 2015
  •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2011년(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녀교육비용'과 '육체적인 힘듦'이 추가자녀 출산포기의 가장 중요한 사유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자녀수에 따라 출산포기의 사유가 약간 차이가 있었다. 즉, 현재자녀수 1명인 여성은 '직장과 육아의 병행 힘듦'이 보다 중요한 출산포기의 사유로 나타나고, 현재자녀수 2명인 여성은 '자녀양육비용'이 보다 중요한 출산포기의 사유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도구적 자녀가치'가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재자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 양육 환경인 '여가 및 문화시설 환경'은 현재자녀수 1명인 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고, 모의 심리적 요인인 '부부갈등'은 현재자녀수 2명인 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 박윤경;이주연;임소라;장희란;강효정;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의료서비스조직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 조직 지원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 하은정;권수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areas by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type of work-household conflicts, namely time-based conflict(2.82 points), strain-based conflict(2.81 points) and behavior-based conflict(2.69 points), working women mainly experienced time and strain-based conflicts. The level of work-household conflict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younger groups, highly educated, nurses, and regular workers.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nd to be an above-average. Especially scores were high in the subcategories of customer orientation(3.84), follow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3.42) and job satisfaction(3.19).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older groups, medical technician and administrative job holders, day-time workers, and higher income groups.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work-househol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train-based conflict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organizational support found to have a strong controlling effect for strain-base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bove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family-supportive policies for lessening the work-household conflicts is crucial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

  • PDF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 장한나;이명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25-438
    • /
    • 2013
  • Postponing childbirth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and consequently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among married-working women. It is relatively unknown which factors determine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mographical factors, labor market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n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married-working women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re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a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could be predicted by 1)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age (p <.000), education level (p<.029), parenthood (p<.000) monthly pay (p<.01); 2) husband support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009), time with family (p<.049) influence of family life on work (p<.083); and 3)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such as regular position (p<.015),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husband support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Personal value factors such as traditional family support (p<.05) prov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on the other hand,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 a nutshel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usband suppor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riendly policy and flexible labor market policy will impac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미취학 자녀를 둔 치과위생사의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Quality of Life on the Work-family Balance in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 윤성욱;정미애;오나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27-335
    • /
    • 2019
  • 본 연구는 K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기혼여성인 치과위생사 194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가정 균형 평균 3.36이며, 양육비가 적은 경우(3.43), 가족 도움은 '좋다' 3.54로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82로 가구소득이 적은 경우(2.94), 양육비 많은 경우(3.19), 가족도움은 '나쁘다'(3.66)가 높았다. 가정-일 촉진 평균은 3.47이며, 경력은 10년 초과(3.55)가 높았고. 삶의 질 평균이 3.19, 가족도움은 '좋다'(3.55)가 높았다. 일반적인 특징,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이 일-가정 균형에 미치는 영향력 검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양육비가 적은 집단(p=.037), 직무스트레스 낮은 집단(p=.002), 일-가정 촉진 높은 집단(p=.000), 삶의 질 높은 집단(p=.000)으로 나타났다. 총괄적으로 취업한 기혼치과위생사들의 만족한 직장 및 가정생활을 위해서 가족들의 도움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일-가정의 균형과 일-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족·양육 갈등 및 향상 유형: 다양한 예측 요인과 심리적 결과 (Profiles of Work-Family/Parenting Conflict and Enrichment Among Korean Employed Mothers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Various Antecedents and Psychological Outcomes)

  • 박인숙;이재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19-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1) 초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 일-가족 향상, 일-양육 갈등, 일-양육 향상을 분류지표로 하는 유형을 도출하고, (2) 각 유형을 예측하는 개인, 가족, 직장, 지역사회 특성을 규명하며, (3) 유형별로 심리적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초등학교 3학년 시기) 보호자용과 어머니용 자료 중 기혼이면서 상용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여성 451명의 응답을 사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일-가족·양육 (1) 향상형(11.91%), (2) 중간형(47.85%), (3) 혼재형(40.24%)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자녀의 학교적응, 근무시간, 양육환경 적절성 및 지역사회 서비스인프라 만족도였다. 유형별 심리적 결과는 삶의 만족도, 결혼만족도, 직장만족도의 경우 향상형, 중간형, 혼재형의 순서였고, 세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우울은 혼재형, 중간형, 향상형의 순서였고, 역시 세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일-가족 갈등과 향상, 일-양육 갈등과 향상을 기반으로 발견한 유형별 차이를 알아봄에 있어 다양한 예측요인과 심리적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일-가족·양육 유형화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용행태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레스토랑 선택속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Behaviors, Demographics, an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 양위주;박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92-499
    • /
    • 2002
  • 패스트푸드점을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용행태와 인구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이들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결과 패스트푸드 선택속성간의 관계가 성립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이용행태에 따른 결론으로는 월평균 외식비가 적은 소비자일수록 청결한 실내와 신속한 서비스, 다양한 메뉴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중요시 여겼으며, 월이용 횟수가 많은 응답자일수록 이용편의성과 부가서비스를 중요하게 여겼다.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하는 동반자는 대부분이 친구나 연인이 었으며, 가족과 동반하는 소비자들은 주차와 어린이 서비스요인을 중요시하였다. 둘째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주목할만한 결과는 남성보다 여성이 여러 속성들을 중요시 여기면서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경영자도 여성들이 좋아할 만한 분위기, 독특한 맛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여성 고객층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연령층이 낮을수록 제시한 거의 모든 변수들에 대해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적은 돈으로 많은 것에 대해 만족하기를 원하므로 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혼에 비 해 자녀가 있는 기혼, 특히 주부들에게는 자녀의 관여도가 크기 때문에 어린이 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이용행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스트푸드소비자들의 선택속성 중요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패스트푸드 관련업체들의 경영자와 마케터들에게 소비자들의 욕구파악 이해 및 목표시장 설정에 도움을 주어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테니스 순으로 나타났다. 줄넘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운동비율은 남성들에서 높았으며(p<0.001), 41~50세에서는 산책이, 21~40세에서는 조깅이 높게나타났다(p<0.001). 수면시간조사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시간은 5~8시간이었다. 5대 도시 직장인들이 정기적으로 가장 많이 복용하는 약은 비타민제, 다음으로 보약, 소화제 순이었다. 직장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보약을 더 많이먹었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변비 약을 정 기적으로 복용하였다(p<0.001).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건강관리방법은 ‘규칙적 인 생활을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동, 소식, 보약 순이었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부산이었고, 그 외 지역은 운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0001). 남성들은 운동을 건강관리의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고, 여성들은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다(p<0.001). ‘흡연을 한다’는 41%, ‘하지 않는다’는 59%로 답하였고, 진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남성은 여성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으며 (p<0.001), 20대는 약간 낮았으나 30대 이후에는 흡연비율은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01). 직업별로는 회사원, 공무원, 전문직은 비 흡연율이 높았으며, 자영업, 생산직, 영업직, 서비스직에서는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알코을 섭취조사에서 술을 ‘마신다’고 답한 사람은 대상자의 78%, ‘마시지 않는다’는 22%였으며, 남성은 조사대상자의 85%, 여성은 67%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