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준우량계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Analysis of calibration result used the Standard calibration Facility of rain-gauges (우량계 표준교정시스템을 이용한 우량계 교정결과 분석)

  • Hong, Sung-Taek;Shin, G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302-303
    • /
    • 2007
  • 수문관측용으로 사용되는 강우량계는 측정의 편의성과 강인성의 장점 때문에 대부분 전도형 우량계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약 160여개의 우량국을 관리하고 있으며, 2006년도 교정주기가 도래한 우량계 16개 및 특성 분석이 필요한 우량계 4개 등 총 20개에 대하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에서 개발한 전도형 우량계 표준교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정을 실시하였다. 우량계의 교정결과 버켓의 평균값이 기준값 1 mm에 대하여 0.95$\sim$1.04mm까지 다양하게 측정되었으나, 모두 기준인 $\pm$5 %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도형 우량계는 강우강도가 강할수록 측정되는 강우량이 많아지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tipping-bucket rain gauge by the rainfall intensity (전도형 우량계의 강우강도별 특성분석 실험연구)

  • Yu, Young-Moo;Jang, Bok-Ji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51-1955
    • /
    • 2010
  • 우량관측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우량계는 전도형, 저수형, 로드셀형, 중량식 등이 있으며 이 중 측정과 신호의 처리가 간편한 전도형 우량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량관측은 목적에 따라 기상청은 0.5 mm 급 전도형 우량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에서는 1 mm 급 전도형 우량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 증가 및 강우강도에 따른 0.5 mm 및 1 mm 급 전도형 우량계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실제값과 얼마의 오차를 보이는지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실험은 수문조사기기 검정대행기관인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우량계 검정에 사용하고 있는 강우량 검정용 기준기를 이용하여 10~20 mm 강우량 및 20~100 mm/h의 강우강도 변화에 따라 0.5 mm 및 1 mm 급 전도형 우량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각 우량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실제 강우에 대한 같은 특성 분석 연구를 통해 이 결과를 확인 및 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PDF

A Quality Evaluation of Radar Rain Rate Data (레이더 자료의 품질평가)

  • Yoo, Chul-Sang;Yoon, J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1-1554
    • /
    • 2010
  • 우량계 자료를 참 값이라고 가정할 때 레이더 자료에는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이 나타난다. 평균의 차이로 인한 편의의 문제와 불확실성으로 인한 변동성의 문제가 그것이다.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자료의 품질평가 방안으로 유철상과 윤정수(2009)는 통계학 분야의 분산분석과 유사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은 호우사상에 따라 가용한 레이더 강우와 우량계 강우 쌍의수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비교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 쌍의 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 강우의 품질기준(RRQC, Radar Rain rate Quality Criterion)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에 따르면 우량계 강우와 레이더 강우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 100%의 품질이 되고 레이더 자료가 모두 0이면 0%가 된다. 위 기준은 충주댐 유역에서의 태풍 루사(2002년)와 대류성 강우(2003) 사상의 원자료, G/R 보정된 자료, CoKriging된 자료, G/R 보정 후 CoKriging된 자료에 적용하였다.

  • PDF

Uncertainty of Spacial Variation of Rainfall Measurement by Point Raingauge (지점 강수량계에 의한 강우 공간분포 측정의 불확실성)

  • Kim, Won;Kim, Jong Pil;Kim, Dong Gu;Lee, Cha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30
    • /
    • 2015
  • 유역에 내린 강우의 총량은 홍수나 갈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점 강우량에 의해 측정된 강우량을 이용하여 유역 총강우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에 많은 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량계를 통한 강우관측에서 언더캐치(undercatch)에 의한 계통오차는 일반적으로 5~16%, 우연오차는 약 5%가 발생된다고 보고하였으며, 점 우량계 자료를 내삽하여 공간자료로 변환할 경우 0.1km 규모에서 표준오차가 4~14%, 1km 규모에서는 33~45%, 10km 규모에서는 약 65% 정도 발생된다고 한다. 이러한 우량계 관측오차 및 강우자료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는 유역의 유출량 계산에 영향을 주어 홍수예보 정확도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유역 총강우량 산정 측면에서 지점강우량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도형 우량계를 이용하여 소규모 구역에서 관측되는 강우관측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우량계는 0.5mm 급 표준 전도형 우량계로 정밀도는 시간당 1~100mm 기준으로 ${\pm}1%$를 기록하여 기상검정규격인 ${\pm}3%$를 만족하고 있다. 이 우량계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내에 장애물이 없는 평지에 60m 간격으로 총 6대($2{\times}3$)를 설치하여 2014년 7월 11일부터 9월 2일까지 54일간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기간 동안 2대의 우량계가 수일동안 강우가 기록되지 않아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우량계 상호 간의 누적강우량(54일간)을 비교한 결과 2.5~25.5mm의 차이를 나타냈다. 강우강도별 강우량 합계를 비교한 결과 시간당 1mm 이상에서는 약 1%의 차이가 났으며, 시간당 15mm 이상에서는 7.4%의 차이를 나타내어 강도가 큰 강우사상에서 우량계 간의 관측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우량계 상호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우량계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누적시간이 길수록 상관계수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 우량계 자료를 내삽하거나 유역 또는 계산격자의 대푯값으로 사용하여 1시간 이하 단위로 유출모의를 할 경우 심각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다 신뢰성 있는 홍수예보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점 중심의 강우 관측이 아닌 면적 우량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우량계의 밀도 및 공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 Yoo, Chul-Sang;Kim, In-Bae;Ryoo, So-R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73-181
    • /
    • 2003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by assuming that the rainfall field is homogeneous in space and its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is exponential.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f WMO.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am-Han River Basin is not the mountain area, nor the plain area of the WMO standard. However, the correlation length of the downstream part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stream part, enough to differentiate the rainfall fields in both areas. (2) It seems that th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should be decided to represent upper 50% of correlations derived, when the maximum intervals between neighboring gauges are estimated to be 18.2km for the upstream area and 21.1km for the downstream area. Simply evaluating the raingauge density, the Nam-Han River Basin has enough raingauges exceed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3)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gauges in the Nam-Han River Basin shows that its spatial distribution Is not in a proper level, especially when apply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However, when applying the new standard proposed in this study, only five to six more raingauges are required to be added.

Measurement of Rainfall Intensity Using a Weighting Tipping Bucket Raingauge (중량식 전도형 우량계를 이용한 강우강도 측정)

  • Kim Hyun Chul;Lee Bu 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6 no.4
    • /
    • pp.211-217
    • /
    • 2004
  •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 lkg capacity loadcell and a Imm tipping bucket rain gauge. There are two signals: one is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tipping bucket and the other is the pulse from the reversing mechanism of the tipping bucket. The loadcell measures the weight of water with a 0.0lmm resolution up to 1mm rainfall and the bucket reverses beyond 1mm. From this point, a pulse signal generates and the loadcell starts measuring the weight again. A field 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range of rainfall intensity from 42mm/h to 250mm/h. The result shows an error range from -2.2% to + 2.6% in 12 measurement cases with a rainfall of l00mm or more. This result satisfies the WMO recommendation for rainfall intensity instrumentation which allows a 5% range. In a field experiment during 17 to 19 August, 2004, more than 100mm/h rainfall intensity was observed by this instrument, confirming that our instrument has a sufficient capacity of rainfall intensity measurement under extreme conditions like Jangma (Bai-u season). Compared with existing commercial models which employ a water drop measurement method, our method can give a practical solution for diagnostic check of remote rain gauges using two independent signals.

Calibration of Gauge Rainfall Considering Wind Effect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지상강우의 보정방법 연구)

  • Shin, Hyunseok;Noh, Huiseong;Kim, Yonsoo;Ly, Sidoeun;Kim, Duckhwan;Kim, Hung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19-3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reliable rainfall data for runoff simulation and other hydrological analysis by the calibration of gauge rainfall. The calibrated gauge rainfall could be close to the actual value with rainfall on the ground. In order to analyze the wind effect of ground rain gauge, we selected the rain gauge sites with and without a windshield and standard rain gauge data from Chupungryeong weather station installed by standard of WMO.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re used for the calibration of rainfalls, and we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calibrated rainfalls through the runoff analysis using $Vflo^{TM}$. Rainfall calibrated by linear regression is higher amount of rainfall in 5%~18% than actual rainfall, and the wind remarkably affects the rainfall amount in the range of wind speed of 1.6~3.3m/s. It is hard to apply the linear regression model over 5.5m/s wind speed, because there is an insufficient wind speed data over 5.5m/s and there are also some outliers. On the other hand, rainfall calibrated by neural networks is estimated lower rainfall amount in 10~20% than actual rainfall.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evaluations are that neural networks model is more suitable for relatively big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rainfall. However, the linear regression model shows more suitable for extreme values. For getting more reliable rainfall data, we may need to select the suitable model for rainfall calibration. We expect the reliable hydrologic analysis could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calibration method suggested in this research.

Verifying Applicability of Multi-Timescale Rainfall Data from CHIRPS Satellite (다중시간 규모의 CHIRPS 위성 강우자료에 대한 활용성 검증)

  • Minseok Kim;Kyunghun Kim;Seong Cheol Shin;Soojun Kim;Hung 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2-192
    • /
    • 2023
  • 우량계는 강우 자료를 수집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로, 연속적이고 직접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지형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강우량을 과소 측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지적인 호우, 강우 이동 및 강우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측정이 활용된다. 하지만 레이더 기반 측정 또한 우량계와 마찬가지로 과소 측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측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위성 기반 강우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위성 기반의 강우 자료는 측정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강우량의 수집이 가능하며, 지표 변화를 관측하여 강우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고화질 위성 자료인 CHIRPS (Climate Hazards Group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s) 자료는 미국 국제개발처, 항공우주국, 해양 대기청의 지원으로 1980년부터 현재까지 전 지구적 (50°S-50°N, 180°E-180°W) 0.05° × 0.05°의 해상도를 가진 강우량 데이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54개 ASOS (Automated Synpotic Observing System)에서 관측한 월 단위 및 일 단위 강우 자료를 기준으로 CHIRPS 강우 자료를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위성 강우 자료들 (APHRODITE (Asian Precipitation Highly Resolved Observation Data Integration Towards Evaluation), CMORPH (Climate Prediction Cneter morphing method))과도 비교하여 국내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강우 자료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Box-plot,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등을 산정하였으며, 강우 발생 일을 비교하고자 오차 행렬을 활용하였다. 비교 결과를 통해서 CHIRPS 강우 자료가 다른 위성 강우 자료들에 비해서 국내 적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국내 수문학 연구에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tistical nature of the dry and wet periods defined in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1771-1990) of seoul (서울의 연 강수량)

  • 임규호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5 no.2
    • /
    • pp.123-137
    • /
    • 1992
  • We analyzed a time series composed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of Seoul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a Korean raingage and a modern raingage. The precipitation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771 to 1907 are followed by the precipitations with a moder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908 to 1990. The latter part of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were obtained from a book for annual precipitations of Korea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former from Wada's table 1 for monthly precipitations reproduced from the daily rainfall measurements by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the Yi Dynasty. In our analysis three different precipitation regimes clearly stand out of the entire period. In order to define objectively the period of each precipitation regime we made a time series of 9 year moving averages from the above time seri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hapes of the moving average time series and by using a threshold value of annual precipitation 1050 mm, we defined three precipitation regimes of wet period 1(WP1), dry period (DP), and wet period 2 (WP2). The WP1 and WP2 show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in out statistical analyses. On the other hand, DP is very different from the two periods in many statistical aspects. The strong similarities of the WP1 and WP2 regimes in the magnitudes of statistical parameters and in the shapes of their power spectrum distribution are supporting very positively the soundness of precipitation amount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in spite of numerous conceivable errors which might have been introduced into measurements of precipitation due to changes of observation site and environment, the scale of units employed, and urbanization of Seoul, etc. However,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s are not enough to examine throughly the characteristic of precipitation variations during the two regimes. It is definitely necessarly to recover the daily amounts of precipitation, based on two or three times measurements of rainfall with a Korean raingage, scattered in various ancient documents such as the official diary of 'Seungjeong-weon'

  • PDF

Development of Demonstration Technology for Flash Flood Forecasting using Rainfall Radar in Flood Vulnerable Area of Nakdong River Basin (강우레이더 자료를 활용한 낙동강유역 홍수예보 취약지역 돌발홍수예보 실증 기술 개발)

  • Hwang, Seok Hwan;Shin, Chang Ho;Kim, Keuk Soo;Choi, Kyu Hyun;Cho, Hyo 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0-320
    • /
    • 2021
  • 홍수피해가 빈발하는 도시 및 소규모 산지 유역에서와 같이 지체시간이 짧은 유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우량계와 기존 하천유역 예보시스템만으론 예보가 불가능하다. 동일한 강우에서도 지역에 따라 침수시간이나 침수심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돌발홍수예보를 위해서는 지역에 따른 침수특성과 유속특성을 달리 고려해야 한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유역 시공간 상세 홍수예보기술 개발(환경부)'에서 개발한 '국지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은 지역별 검증된 침수특성과 유속특성의 관계식을 산정하여 돌발홍수예보 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달시간이 짧은 도시 및 산지에서 홍수예보 선행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강우레이더 기반 돌발홍수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범 운영 중이다. 그러나 도시·산지 중소하천유역 등 홍수예보 취약지역에 대한 돌발홍수예보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돌발홍수위험 예보 기준을 정밀하게 평가·검증·개선 할 수 있는 실증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21년부터 3개년 동안 홍수예보 취약지역에 강우레이더와 경제적 IoT 관측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홍수예보 실증기술을 개발하여 전국 돌발홍수예보 실용화 기반 구축하고자 한다. 홍수피해 취약지역인 도심지, 산지·계곡, 해안지역에 실증 테스트베드를 선정하고 강우레이더-IoT 실증 관측망을 구축하여 돌발홍수예보 기술 실증과 돌발홍수 위험기준 설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도시 중소하천유역 홍수예보 활용을 위한 소형강우레이더 강우량 정확도 개선 기술 개발과 홍수기 강우레이더 기반 홍수예보 관-연 협업 시범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며, 최종적으로는 강우레이더와 IoT 정보 기반 돌발홍수 실증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