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준소요량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cross sectional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area for using the lower space in TBM road tunnels (TBM 도로터널의 단면특성 및 하부공간 활용을 위한 유효면적 검토)

  • Kim, Hyun-Soo;Kim, Hong-Mo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4 no.2
    • /
    • pp.141-157
    • /
    • 2012
  • For the application TBM tunneling method, Both tunnel design standard and case study designed & constructed in domestic and foreign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number of lane and inner shape (single or duplex) vary depending on the volume of traffic. Also extra space located in the top and bottom of tunnel is used for a multipurpose such as ventilation, disaster prevention,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To find area ratio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road TBM tunnel, a standard section was considered as a two-lane road. Then, the analysis of area ratio of this section which consists of components for clearance, extra space in upper and lower tunnel was carried on two widths of shoulder. In addition, after a structural analysis, a thickness requirement of lower slab which is essential for road tunnel was derived on a few supporting typ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ranges of availabl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slab thickness and lower extra space of the tunnel was presented.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Hyperspectral Image Based on UAV (드론 기반 초분광 영상의 수집과 활용)

  • You, Ho Jun;Kim, Dong Su;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6-76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퇴적 및 세굴이 심화되었고,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급격한 하천 지형 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4대강 사업 이후 하상변동 모니터링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정된 하천법에 따르면 하상변동조사를 기본 10년 주기로 정기적으로 실시하되, 퇴적 및 세굴 발생 구간에 대해서는 기본 2년을 기준으로 하상변동이 큰 곳에 대해서는 1년 주기로, 하상변동이 작은 곳에 대해서는 5년 주기로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기술 및 예산의 한계로 인해 하상변동조사의 경우 현장 유사량 및 하상토 입도 측정과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통해 하상변동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상변동은 기본적으로 하천 수심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사람이 직접 투입하여 임의의 지점에 대한 수심 계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직접 수심 계측의 경우 낮은 자료의 밀도로 인해 많은 인력과 예산, 시간이 소요되며 무엇보다도 관측 대상인 물이라는 작업환경에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가 탑재된 이동식 보트를 활용하여 경로형 수심 계측을 실시하고 있으나, 초음파 센서가 가지는 기기적 한계로 인해 약 50cm 이하에 대한 수심은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국내 하천의 경우는 홍수기를 제외하면 수심이 얕기 때문에 얕은 수심에 대한 자료 확보가 어려워 공간적 정밀도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하천계측의 패러다임을 지점, 선형 계측이 아닌 면 측량을 실시를 통해 높은 밀도의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측량이 가능한 기술로 하천원격탐사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천원격탐사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대상체의 광학적 특성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기술로서 적은 시간에 높은 밀도의 자료의 확보와 저예산의 고효율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원격탐사에서 활용한 고비용, 저해상도의 시공간 스케일에 해당하는 위성 및 유인항공기가 아닌 하천의 흐름방향으로 비행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비용, 고해상도의 시공간 스케일의 측정이 가능한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원격탐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특히,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는 청색, 녹색, 적색에 해당하는 RGB 영상을 활용한 하천원격탐사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초분광 영상을 수집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생산스케쥴링에서의 시뮬레이션 응용

  • 서대석;박흥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2.10a
    • /
    • pp.4-4
    • /
    • 1992
  • 본 프로젝트는 수주 오더에 대한 납기 예측과 가공사 Delivery 체계의 전반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른 목표로는 로트 편성의 자동화, 월간, 주간 및 일간 단위의 생산 스케쥴 자동 작성, 원자재 소요량과 재공 및 재고 예측, 설비 부하 분석, 생산 사이클 타임 분석 및 단축이다. 상기의 목표 달성을 위한 가공사 Delivery Scheduling 시스템은 계획용 로트 편성 모델, 실행용 로트 편성 모델, 그리고 가공사 생산 스케쥴 작성을 위한 Simulation 모델로 구성된다. 계획용 로트 편성 모델은 현행의 로트 편성 기준에 따라 미가공 생산의뢰서 전체 물량을 대상으로 로트를 편성하여 이 로트를 염색기에 할당하는 모델이며, 실행용 로트 편성 모델에서는 일일 원사재고, 염색기 고장 등과 같은 실제 조업여건을 고려하여, 작업지시서 발행이 가능한 생산의뢰서 물량에 대하여만 로트 편성을 행한다. 가공사 생산 스케쥴 작성을 위한 Simulation 모델은 계획용 혹은 실행용 로트 편성 모델로부터 얻어지는 로트 편성 결과 또는 로트 번호가 부여된 최종 로트 편성 결과 (재공 로트 포함)를 입력으로 하여 이들 로트가 가공사 생산공정에서 처리되는 상세한 조업을 모의 생산하는 모델이다. 본 시스템은 영업부 및 기획부와 가공부의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영업부 및 기획부에서는 계획용 로트 편성 모델과 Simulation 모델을 사용하여 수주 오더에 대한 납기 예측 및 원사 수급 계획의 작성에 의사결정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가공부에서는 실행용 로트 편성 모델 및 Simulation 모델을 사용하여 상세 가공사 생산 스케쥴의 작성 및 긴급 오더의 처리 등에 관한 의사결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본 프로젝트를 통한 효과로는 정확한 생산 스케쥴의 자동 작성 및 스케쥴 작성시간 단축, 납기 예측 및 납기 준수율 향상, 실적관리 향상, 그리고 설비 가동율 분석, 현장관리 등을 위한 기타 유용한 정보제공 등이다.

  • PDF

Real Time SW Sizing Model for FP-Based Fintech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FP 기반의 핀테크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실시간 규모 산정 모델)

  • Koo, Kyung-Mo;Yoon, Byung-Un;Kim, Dong-Hy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0
    • /
    • pp.36-44
    • /
    • 2021
  • Estimation on SW Sizing applied to fintech is very difficult, a task requiring long time, it is difficult for client companies and developer companies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ize of software development. The size is generally estim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roject managers and the general functional scoring method. In this paper, propose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fintech development projects by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required function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easuring the scale, and calculating the scale in real time. Through the proposed model, the amount of work can be estimated prior to development and the size can be measured, and the M/M and the estimated quotation amoun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rogram list by each layer. In future studies, by securing size computation data on existing the Fintech Project in mass, research on accurate size computation would be required.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flooded area in rural watershed using runoff characteristics and inundation DB (농촌유역에 대한 SWMM모형의 유출특성과 침수DB를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Sung-Hwan;Chun, Soo-Bi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는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면적 예측을 위하여 1차원 유출모형의 유출특성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예측방법의 최적화이다. 2017년 강우의 초기강우와 첨두강우 특성을 적용한 경우에 정확한 침수면적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한 바가 있다. 이러한, 결과에 추가적으로 SWMM 모형의 유출결과 자료의 특성인자를 이용하여 침수DB를 선택한 경우에 침수면적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유출결과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SWMM 모형의 노드별 유출결과의 특성인자 변화를 분석하여 침수DB에서 실제 침수면적 선정방법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방법을 이용하여 유출결과 자료 특성인자를 이용한 최적의 침수DB 선정방법을 돌출하였다. 강우 특성 인자에서 침수DB를 선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강우유출모형의 모의결과를 이용한 경우에 약 6,000여개 노드를 기준으로 5~10분의 모의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실시간 침수 DB 선정에는 어렵지만, 준실시간 실제 유출량을 고려한 침수DB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강우특성 도출에 따라 1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하고, 강우유출모형의 유출 특성에 따라서 2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한다면, 예경보 시스템에서 대응시간 확보와 예측 정확도 유지에 긍정적인 방안으로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침수DB 구축은 많은 침수면적 산정연구에 이용하였던 TUFLOW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DB를 구축하였다. SWMM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을 모의하고, 침수면적을 TUFLOW를 이용하여 구축한 다양한 호우사상에 대한 침수DB를 이용하여 준실시간 침수면적 예측하는 방법은 향후, 예경보 시스템 구축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DF

The Quality Properties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Industrial By-products for Carbon Neutrality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부산물 활용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 Yong-Jic, Kim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10 no.4
    • /
    • pp.506-513
    • /
    • 2022
  • In this paper, as part of a study for carbon neutrality, the quality properties of quaternary component high-fluidity concrete, which significantly replaced up to 80 % of the cement usage by using three industrial by-product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even if a large amount of industrial by-products were replaced by more than 80 % of the amount of cement used, it was possible to obtain quality that satisfies the target performance in all concrete mix. In the case of flow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standard concrete mix, the performance tends to decrease, but it is judged that the performance above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 can be satisfied. When considered comprehensively, the quaternary component High-Fluidity Concrete with a large mixing amount of fine powder of blast furnace slag showed relatively good performance.

Determination of Sowing Date for Silage Corn Based on Growing Degree Days and Soil Temperature (유효적산온도에 의한 싸이리지옥수수의 파종기결정)

  • Choe, Zhin-Ryong;Joo, Young-Kuk;Song, Moon-Tae;Oh, Ho-Sang;Ann, Dong-W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5 no.3
    • /
    • pp.254-258
    • /
    • 199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some agronomical characters and yield of corn in southern part of Korea.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Gyeongnam Provincial Livestock Breeding Station in chinju. Single cross hybrid corn (cv. Suwon #19) was sown from April 13 to June 2 with five-day interval in 1984 and 1984. The relationship between herbage and grain yield and various meterological measurements was evaluated. As the sowing dates were delayed. the days from sowing to seedling emergence were shortened, as more closely affected by the soil temperature at seedling emergence. growth period and was dependent o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uring the growth perio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rbege dry matter yield of corn and soil temperature at seedling emergence, the estimated critical sowing date for corn in the southern Korea was March 23${\pm}$3.6 days.

  • PDF

A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Estimation the Optimal Size of Rainwater Storage (빗물저류조의 적정 규모 산정에 있어서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연구)

  • Gankhuyag Uugantsetseg;Dong Jun Kim;Jung H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7-477
    • /
    • 2023
  • 빗물이용시설은 집수면적에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시설이며, 일정 면적 이상의 건축물에는 법적으로 빗물이용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조 용량은 간편식과 시뮬레이션, 수문모형으로 산정가능하며, 설계계획 수립시 대상지역의 강우 특성, 사용수량 등 지역 특성과 목적을 고려하여 저류조 용량이 결정된다. 저류조 용량 산정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문모형 사용에 비하여 용이하지만, 일단위 물수지분석을 구현하는데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간편식은 집수면적에 규모계수 0.05를 곱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지만, 지역 특성과 목적이 고려되어있지 않으며 초기 계획수립 및 개략 평가를 제외하고는 활용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빗물저류조의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해 개선된 간편식을 개발하였다. 빗물이용시설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해당 물수지분석 결과에 상수대체율 효율을 기준으로 지역별 적정 저류조 규모 산정을 위한 규모계수를 도출하였다. 빗물사용 용도로써 폭염저감, 미세먼지저감, 조경, 화장실을 채택하였으며, 용도별 1일 사용수량을 산정 및 적용하였다. 7개의 연구대상지역 물수지분석을 위해 연구지역의 최근 10년 강우·미세먼지·기온데이터를 기상청으로부터 적용하였으며, 집수면적은 500-2500m2까지 500m2씩 증분, 저류조용량은 5-700m3까지 5m3씩 증분하여 지역별 적정 저류조 용량 규모계수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지역의 적정 저류조 용량산정시 완도군의 규모계수는 평균 0.058이었으며, 보령시의 규모계수는 평균 0.040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용도의 빗물사용처에 따른 지역별 저류조 용량 선정을 위한 지원도구로써 사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Construction of hydraulic flood prediction model for Hyeongsan river (형산강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 구축)

  • Lee, Jae Yeong;Kim, Ji Sung;Kim, Tae Hyung;Choi, Kyu Hy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3-393
    • /
    • 2020
  • 최근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2019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가을 태풍은 링링, 타파, 미탁 등 3개로 근대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가을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했다. 특히, 경주시는 태풍 미탁으로 인해 97억원의 재산피해와 수해복구에 22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다. 이러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환경부에서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홍수통제소를 설립하여 강우 및 수위관측소를 이용한 홍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홍수특보 발령 등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홍수에 의한 침수피해를 방지하고자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홍수예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지역인 경주시 형산강 유역에는 현재 14개의 강우관측소와 9개의 수위관측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홍수특보 대상 지점으로 경주시(강동대교)와 포항시(형산교) 2개 지점이 있다. 형산강 유역은 현재 수문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운영하고 있으나 수위관측소 기준으로만 예측이 가능하여 정확한 예보를 위해서는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이 필요하다.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의 구축을 위해서는 현 상황의 하천단면, 횡단구조물 및 변화된 유역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기 때문에 2013년에 수립된 형산강 하천기본계획을 참고하였으며, 모형은 홍수통제소에서 운영중인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FLDWAV를 이용하였다. 또한, 2019년 태풍 미탁 사상을 대상으로 검보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류단 경계조건으로는 경주시(서천교) 수위관측소의 유량,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포항항 조위관측소의 조위를 이용하였고 7개의 유역 유출량을 측방유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통해 기존 형산강 유역에 대한 홍수 예보 업무를 보완하여 효과적인 방재대책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the Required Number of Fan Coil Unit for Surplus Solar Energy Recovery of Greenhouse (온실의 잉여 태양에너지 회수용 FCU 소요대수 검토)

  • Yun, Sung-Wook;Choi, Man Kwon;Kim, Ha Neul;Kang, Donghyeon;Lee, Siyoung;Son, Jinkwan;Yoon, Yong Cheol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5 no.2
    • /
    • pp.83-88
    • /
    • 2016
  • In this study, previously reported surplus solar energy-related study result and current status of fan coil unit (FCU) for cooling and heating installed in the current sites were briefly examined and then a method to determine the number of FCUs required to recover surplus solar energy was schematically propos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ers and technical engineers in this field. The maximum, mean, and minimum outside temperature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about $28.2^{\circ}C$, $4.4^{\circ}C$, and $-11.5^{\circ}C$, respectively. The horizontal surface solar radiation level outside the greenhouse was in a range of $0.8-20.5MJ{\cdot}m^{-2}$ and mean and total solar radiation were $10.8MJ{\cdot}m^{-2}$ and $1,187.5MJ{\cdot}m^{-2}$. The mea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greenhouse during the daytime were in a range of 18.8-45.5 and 53.5-77.5%. The total surplus solar energy recovered from the greenhous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approximately 6,613.4MJ, which could supplement about 6.7% of the total heating energy 98,600.2 MJ. In addition, the number of FCUs installed for heating varies case to case, although similar FCUs are used.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stallation height, orientation and installation distance as well as the appropriate number of FCUs from the efficient and economical viewpoints. The required numbers of FCUs for surplus solar energy recovery were 8.4-10.9units and 6.1-8.0units based on air mass and circular flow rate that passed through the FCUs. Considering calculation methods and the risks such as efficiency and use environments of FCUs, it was found that about nine units (one unit per $24m^3$ approximately) needed to be installed. The required number of FCUs for surplus solar energy recovery was around one unit per $24m^3$ approxim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