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전체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9초

수용체의 다형성 48-hp반복배열의 PCR을 위한 효과적 방법 : 제한효소로 절단된 GC-rich목표배열의 중합효소연쇄반응 (Improved PCR Amplification of Human DRD4 Polymorphic 48-bp Repeats : PCR of Digested Template for GC-rich Targets)

  • 신준호;김영태;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248-251
    • /
    • 1995
  •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파민의 기전은 지금까지 5종류의 수용체들이 발견되고 클론되면서, 새롭고 보다 근본적인 유전학적 접근을 통해 규명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도파민 수용체 D4 (DRD4)는 막단백질의 세포질쪽 세번째굴곡에 48-bp반복 다형성배열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다형성 반복배열이 신호전달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막단백질의 세포질쪽 굴곡에 있다는것은, 각 개인의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민감성의 차이를 포함하여 정신분열병에 대한 개개인의 유전적 차이를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로 손쉽고 빠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사용하여 DRD4의 아형들을 분류하게 되는데, DRD4의 PCR은 그 반복배열과 그 주변배열의 높은 GC함량(78% G+C) 때문에 일반적인 PCR 방법을 변형시켜 사용해야한다. DRD4의 아형을 분류하기 위해 변형된 PCR은 통상적으로 7-deaza dGTP와 10% DMSO를 사용하게된다. 이러한 DRD4 PCR은 대부분의 경우 성공하지만, 항상 모든 시료에서 PCR이 성공되는것은 아니었으며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증폭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대부분이 template DNA에 문제가 있을것으로 의심되며 DNA정제 또는 template DNA를 제한효소로 적절하게 무작위절단하여 성공율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자기펄스압축성형법 및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의 연속공정을 이용한 $95%Bi_2Te_3-5%Bi_2Se_3$ 소결체제조 및 열전특성평가

  • 이철희;김효섭;김택수;구자명;홍순직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2-48.2
    • /
    • 2011
  • 열전재료는 열과 전기에너지의 상호 변환이 가능한 재료로 이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개발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Bi_2Te_3$계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지수를 가지는 재료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Bi_2Te_3$계 합금은 일방향응고법으로 제조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특히 C축의 Van der Waals 결합으로 인해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분말야금법을 이용하여 기계적강도를 높이고, 격자산란에 의한 열전도도의 감소로 성능지수를 높일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응고공정인 가스분무법을 이용하여 n-type의 $95%Bi_2Te_3-5%Bi_2Se_3$분말을 제조하였고, 이 재료의 경우 성형조건에 따라 조직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 단시간동안 고압으로 성형가능한 자기펄스압축성형법(Magnetic Pulsed Compaction)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성형체는 밀도를 증가시키고 결정립성장을 억제시킬수 있는 방전플라즈마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을 이용하여 소결체로 제조되었으며, 각각의 공정이 열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OM (Optical Microscope) 및 SEM (Scaning Electric Microscope)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고 XRD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상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상온에서 경도를 측정함으로서 공정조건에 따른 기계적강도를 비교하였다. Seebeck계수는 시편의 양단에 온도차를 주어 발생하는 기전압을 측정하여 계산하였고, 전기비저항은 4point probe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전하이동도 및 전하농도는 Hall측정으로부터 구하였고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종합적인 열전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Phenyldiazenylphenylpicolinamide 유도체들의 방향성탄화수소 수용체의 길항 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ntagonistic Activity on Arylhydrocarbon Receptor of Phenyldiazenylphenylpicolinamides)

  • 윤완영;이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43-447
    • /
    • 2019
  • 방향성탄화수소 수용체(Arylhydrocarbon Receptor, AhR)은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되어 체내 외래물질의 대사를 조절하는 전사인자다. 생체 내에서 AhR의 생리학적 역할은 오랜 기간 연구되어 왔으나 활성화를 유발하지 않는 길항제를 비롯하여 유효한 화학적 도구가 아직 개발되지 않아 기능 연구가 제한적이다. AhR이 다양한 질병의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 보고됨에 따라 약물 표적으로서 유효하다고 판단되나 치료나 예방을 위한 유효한 약물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길항제로 알려진 화합물들은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이 있어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방향성 탄화수소를 활성화하는 부분적 agonist로 작용한다. 이에 AhR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는 순수한 길항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AhR 길항제의 골격인 phenyldiazenylphenylpicolinamide의 세 고리구조 중 두 고리구조에 존재하는 메틸 기들을 변형하여 활성을 평가하는 구조-활성 관계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길항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이 흰쥐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and Their Antagonists on the Uterine Motility in the Rat)

  • 유규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1988
  • 평골근(平滑筋)으로 된 자궁근(子宮筋)은 자동성(自動性)을 가지고 있어서 신경지배(神徑支配)와 관계(關係)없이 근자체(筋自體)로 운동(運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궁근(子宮筋)의 형태적(形態的) 및 기능적(機能的) 정상상태유지(正常狀態維持)에는 estrogen의 작용(作用)이 불가결(不可缺)한 요소(要素)로 되어 있으며 이 estrogen의 작용(作用)에 의하여 histamine의 자궁근(子宮筋)에 대한 (작용)作用이 수용체(受容體)의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를 알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는 histamine과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들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대한 수축(收縮) 및 이완작용(弛緩作用)을 조사(調査)하였다. 자궁근(子宮筋)의 운동성(運動性)은 physiograph를 통(通)해 자궁수축(子宮收縮)의 빈도(頻度)와 크기를 기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5-hydroxytryptamine에 대한 phenoxybenzamine의 억제작용(抑制作用)은 phenoxybenzamine의 길항성(拮抗性)의 결과(結果)이다. 2. histamine은 $H_1$-receptor를 통해서 흰쥐의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은 증가(增加)한다. 3. 반면 histamine은 $H_2$-receptor를 통해서는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을 이완(弛緩)시켰다. 4. 흰쥐의 자궁근(子官筋)에서 $H_2$-receptor 차단제(遮斷劑)가 $H_1$-receptor 차단제(遮斷劑)의 작용(作用)보다 더욱 강하였다.

  • PDF

Haemophilus K-12균주로부터 황산전이효소의 분리정제

  • 김동현;김병택;이남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57-257
    • /
    • 1994
  • 생쥐의 장내세균으로 부터 황산전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인 sulfotransfer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동정결과 Haemophilus속 균주로 확인되어 Haemophilus K-12라 명명하였다. 균의 성장과 효소활성과의 관계를 보면 균은 10시간에서 완전히 성장하였으며 효소활성도 이와 비례하였다. Haemophilus K-12의 배지조성에 따른 sulfotransferase의 생산성을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의 생산성과 비교해보면 탄소원으로는 sucrose가 0.2%농도에서 584%로 가장 좋았으며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266%로 가장 좋았다. 공여체로 PNS를 최종농도 1mM로 하여 배지에 첨가하였을때 212%로 가장 높은 효소증가를 보였다. 2가금속이온에 의한 효소증가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Mn^{2+}$이 107%로 가장 높았고$Zn^{2+}$와 EDTA에 의해서는 저해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균배양을 위한 이상적인 배지조성을 sucrose 0.2%, yeast extract 1%, $Na_2$HPO$_4$ 0.25%, NaCl 0.5%로 결정하였다. 결정된 최적배지에 균을 10L 배양하여 초음파 처리, 원심분리한 것을 70 %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2회,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chromatdfocusing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PAE column chromatography, Sephacryl S-300 superfine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한결과 specific activity가 6.76 umoie/min/mg protein인 효소액을 얻었으며 homogeneous enzyme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효소를 이용하여 수용체 기질 특이성을 측정한 결과 1-naphthol이 phenol을 100%로 하였을 때 233%로 가장 좋았으며 Eubacterium A-44 sulfotransferase의 좋은 기질이었던 p-acetaminophenol, tyramine, 9-phenanthrol은 좋은 기질이 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Haemophilus K-12 sulfotransferase는 지금까지 보고된 bacterial sulfotrasferase와는 다른 효소로 사려되며 효소반응기전의 규명이 이루어지면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담자균류의 약효 성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병각;권지연;복진우;최웅칠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41-141
    • /
    • 1993
  • 말징버섯 Calvatia craniformis의 culture broth 40 liter를 여과하여 얻은 균사채를 열수 추출하여 진한 갈색 건조분말(Fr. A) 13.1g을 분리하였다. Fr. A에 대하여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중성분획인 흰색 분말 (Fr. B) 2.50g을, 산성분획인 갈색 분말 (Fr. C) 3.50g을 각각 분리하였다. Fr. B 500mg에 대하여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흰색분말 Fr. D(Calvatan) 350mg을 분리하였다. Calvatan 350mg에 대하여 Con A-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를 적용하여 미흡착 분획인 Fr. F($\alpha$-form)와 흡착 분획인 Fr. E ($\beta$-form)로 정제하였다. 항암작용의 기전을 구명하고자 마우스에 대하여 면역학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macrophage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투여군의 활성화된 macrophage에 의해 유리되는 superoxide anion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1.4배 증가하였고 Calvatan 투여군의 용혈반 형성세포(PFC)는 대조군에 비해 3.1배 증가하였다. 화학 분석에 의해, Calvatan은 다당체 87.2%, 단백질 1.8% 및 hexosamine 1.3%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항암성 분획들은 protein-bound polysaccharide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분획의 다당체를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는 glucose, galactose, mannose 및 xylose 였으며 단백질 부분은 16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IR 스펙트럼은 3300-3400 $cm^{-1}$에서 0-H stretching frequency, 2900 $cm^{-1}$ 에서 C-H stretching frequency, 1630 $cm^{-1}$ 에서 C-0 stretching frequency. 1000-1100 $cm^{-1}$에서 C-H 및 C-0 bending frequency를 나타내는 다당체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을 보여주었다.

  • PDF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R 64766)의 산화대사 과정에 관한 연구

  • 신상구;장인진;이경훈;정원석;임동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93-93
    • /
    • 1993
  • 도파민 D 수용체 및 5-HT 수용체 차단기전을 지닌 새로운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은 활성형 대사물로 9-OH risperidone을 체내에서 생성하는 바, 이 대사과정의 유전적 다형성의 여부 즉 hydroxylation 과정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코자 하였다. Metoprolol 100 mg 경구투여로 CYPIID6의 대사능의 표현형을 결정한 12명의 정상 피험자(11명: extensive metabolizer, 1명: poor metabolizer)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는 risperidone 1 또는 2 mg 경구투여후 혈중 risperidone 및 9-OH risperidone 농도를 경시적으로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피험자중 6명의 extensive metabolizer는 quinidine 600 mg/day의 용량 투여로 CYPIID6의 활성도를 완전 억제시킨 후 risperidone 1 mg 경구투여에 따른 약동학적 성상을 재검토하여 risperidone hydroxylation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하였다. 1) 1명의 poor metabolizer는 extensive metabolizer에 비해 현저히 긴 risperidone 반감기를 보였다. 2) 12명의 피험자에서 관찰된 metoprolol metabolic ratio는 risperidone 혈장 반감기 및 log(risperidone AUC/9-OH-risperidone AUC)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Quinidine 투여는 risperidone의 반감기의 유의한 증가와 9OH risperidone AUC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9-hydroxylation 대사과정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 PDF

전침이 흰쥐에서 먹이섭취와 시상하부의 콜레시스토키닌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Food Intake and mRNA Expressions of the Hypothalamic Cholecystokinin in Rats)

  • 우현수;김용석;김창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01-112
    • /
    • 2007
  • 목적 : CCK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식후의 포만신호 전달물질로, 음식섭취를 감소하고, 캡사이신 반응성의 미주신경에 의해 위장운동과 위내의 공복감을 억제시킨다 전침의 진통효과 발현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항아편양 단백물질로서, 내인성 CCK와 그 수용체(CCK-A와 CCK-B)의 역할은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보고되어 왔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만감의 측면에서 전침자극이 내인성 CCK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이용하여, 전침자극 후 30분과 60분 동안, 먹이 섭취량 변화를 측정하고, 먹이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신경전달경로에서 CCK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주신경절제술을 시행한 쥐와 비교하였다. 한편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대상으로하여 침자극 후 시상하부의 CCK mRNA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전침군에서 30분과 60분 뒤의 먹이 섭취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게 관찰되었는데, 포만감에 관련된 침의 이와 같은 효과는 CCK 수용체에 길항작용이 있는 lorglumide와 미주신경절제술에 의해 차단됨을 알 수 있었다. 시상하부의 CCK mRNA의 발현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위의 결과에서, 전침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인성 CCK 메카니즘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PDF

고강도콘크리트 벽체부재에 접합분리 시험체를 활용한 강도관리에 관한 연구 (Compressive Strength Control of High Strength Concrete Structure Using Samples with Isolated Junction Test)

  • 기전도;김학영;김광기;백민수;임남기;정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7-50
    • /
    • 2009
  • The existing techniques used to estimate and manag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do not includ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tself.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asonable yet simple way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at construction sites by considering concrete's mechanical properties and cur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 acrylic form and a junction isolation mold with crack-inducing boards that uses non-destructive methods to create and collect concrete test samples that are cured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actual concrete structures. junction isolation molds were used in high-strength and super high-strength concret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compressive strength evaluation on the test sample.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 PDF

유두체를 떼어버린 흰쥐의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General Activity and Stress Response of Rats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79-88
    • /
    • 1968
  • 유두체가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 기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기 위하여 유두체가 제거된 흰쥐들(유두체군), 유두체군과 마찬가지 수술 조작을 가하였으나 유두체는 제거하지 않은 흰쥐들(수술 대조군) 및 정상 흰쥐들(정상 대조군)을 마련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두체 제거에 있어서는 뇌 정위 고정법에 의하여 동물을 좌우 유두체에 각각 전극(+)을 심고 이와 항문에 넣은 전극(-) 사이에 0.3 ma의 직류 전류를 7초 동안 흘려 유두체를 파괴하였다. 첫째 실험에서는 광선차단 회수 측정 방법에 의하여 유두체군(9마리)의 일반활동을 48시간 동안 측정하여 수술 대조군(13마리)의 그것과 비교하였으며, 둘째 실험에서는 $-10^{\circ}C$의 추위에 한 시간 동안 폭로하는 것을 스트레스로 삼고 추위에 폭로되기 전, 폭로가 끝난 직후, 2시간 후 및 4시간 후에 유두체군(52마리), 수술 대조군(45마리), 및 정상 대조군(37마리)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을 측정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8시간 동안의 일반활동을 총괄한 성적을 비교할 경우에는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체군의 일반활동은 수술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저녁 때와 실험이 시작된 직후의 몇 시간 동안은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 대조군의 값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 스트레스를 받고 난 직후의 유두체군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은 스트레스를 받기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정상 대조군 및 수술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현저하였다. 그러나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은 정상 대조군 보다 스트레스로 부터의 회복과정이 각각 유의하게 또는 다소 촉진되어 있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유두체는 정상시 일반활동에 미약하나마 억제성 영향을 끼치는 경향이 있으며 스트레스 기전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되나 이들 문제를 결정짓기에 앞서 많은 연구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