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 변동

Search Result 3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rojection of future hydrometeorological change scenarios over Republic of Korea using a dynamical downscaling technique (역학적 상세화 기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미래 수문기상변화 시나리오 전망)

  • 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58-262
    • /
    • 2010
  • 지역기후모델 RegCM3 이용하여 역학적 상세화 이중둥지격자체계를 구축하고 관측, ECHO-G/S의 20C3M 및 SRES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동아시아(60km 분해능)와 한반도(20km 분해능)에 대한 현재 및 미래 (1971-2100, 130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생산하여 구축하였다. 현재 1971-2000년 기간 동안 상세화된 기온은 관측에 대해 저온 편의와 여름 강수는 건조 편의가 나타나는 계통오차가 있으나, 상세화된 자료는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이 잘 반영되었고 관측의 월별, 계절별 변동성을 유사하게 모의하는 등 재분석 자료를 성공적으로 상세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100년(2001-2100년)에 대해 전반기(2021-2050) 및 후반기(2070-2099)의 시나리오기후변동을 분석한 결과, 상세화된 지역별, 계절별, 연도별 기온 상승의 시 공간적 분포를 잘 보여주며, 기온상승(전반기: 동아시아지역~$1.8^{\circ}C$, 남한~$1.6^{\circ}C$, 후반기: 동아시아지역~$4.7^{\circ}C$, 남한~$4.6^{\circ}C$)에 의한 대기 중 수증기 함유량 증가와 여름 몬순의 강화로 전계절에 대해 강수량(전반기: 동아시아~10.5%, 남한~6.7%, 후반기: 동아시아~20.1%, 남한~31.9%)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문기상 변화를 살펴보면, 미래 후반기에 남한은 $4.6^{\circ}C$가 상승하여 적설깊이는 5.3mm(-92.3%)가 감소할 것이고, 강수량의 연변동성을 크나 전체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토양수분, 증발산 또한 강수량 증가와 연관되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렇게 ECHO-G/S SRES A2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역학적으로 상세화된 시나리오는 통계적으로 상세화된 시나리오 결과와 비교 검증함으로써 다중모델기법에 의해 불확실성을 제시함으로써 수문기상변화 예측을 위한 신뢰성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ing the Sensitivity of Runoff Projections Under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Variability Using IHACRES and GR4J Lumped Runoff-Rainfall Models (집중형 모형 IHACRES와 GR4J를 이용한 강수 및 기온 변동성에 대한 유출 해석 민감도 평가)

  • Woo, Dong Kook;Jo, Jihyeon;Kang, Boosik;Lee, Songhee;Lee, Garim;Noh, Seong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1
    • /
    • pp.43-54
    • /
    • 2023
  • Due to climate change, drought and flood occurrences have been increasing. Accurate projections of watershed discharges are imperative to effectively manage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However, climate change and hydrological model uncertainty can lead to imprecise analysis. To address this issues, we used two lumped models, IHACRES and GR4J,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discharges under climate stress scenarios. The Hapcheon and Seomjingang dam basins were the study site, and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and the Kling-Gupta efficiency (KGE) were used for parameter optimizations. Twenty years of discharg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1995-2014) data were used and divided into training and testing data sets with a 70/30 split. The accuracies of the modeled results were relatively high during the training and testing periods (NSE>0.74, KGE>0.75), indicating that both models could reproduce the previously observed discharges. To explor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modeled discharges, we developed climate stress scenarios by changing precipitation from -50 % to +50 % by 1 % and temperature from 0 ℃ to 8 ℃ by 0.1 ℃ based on two decades of weather data, which resulted in 8,181 climate stress scenarios. We analyzed the yearly maximum, abundant, and ordinary discharges projected by the two lumped models. We found that the trends of the maximum and abundant discharges modeled by IHACRES and GR4J became pronounced as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The opposite was true for the case of ordinary water level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quantitative evaluations of the model uncertainty were important to reduc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Seawater Temperature Identified by Time Series Analysi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한국 남해안에서 시계열 분석을 통한 수온 변동 특성)

  • Jang, Chan-Il;Kim, D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893-901
    • /
    • 201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temperature in August, water temperature, tide level, air temperature and win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ower spectrum and coherence analysis for a region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pectrum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temperature and tide level in Wando, Goheung, Yeosu, Tongyeong and Masan have peaks over a semi-diurnal period. Coherence showed that water temperature was affected by tide in Wando, Goheung, Yeosu and Tongyeong where tidal range is relatively high. In Masan and Busan, where tidal range is relatively low, however, the tide did not affect water temperature significantly. In particular, win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lation to water temperature in Masan. Time lags were calculated from phase. In Wando, water temperature decreased 1.5 hrs after a flood tide began. Water temperature decreased 0.3 hrs after a flood tide began in Goheung and Tongyeong. In Masan, water temperature increased 3 hrs after a south wind began. Water temperature in Yeosu was affected by tide, but air temperature, tide and wind in Busan affected water temperature very littl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rra/Aqua MODIS LST and Air Temperature: Mainly on the Occurrence Period of Heat and Cold Waves (Terra/Aqua MODIS LST와 기온과의 상관성 분석: 한파 및 폭염 발생 기간을 중심으로)

  • CHUNG, Jee-Hun;LEE, Yong-Gwan;LEE, Ji-Wa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197-214
    • /
    • 2019
  •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observed air temperature (maximum, minimum, and mean air temperature) and the daytime and nighttime data of Terra/Aqua MODIS LST(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and Surface Temperature) for 86 weather stations. All the data of the recent 11 years from 2008 to 2018 were prepared with daily base.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and heat waves incidence period in 2018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R) and root mean square error(RMSE). As a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the trend between observed air temperature and MODIS LST were similar, showing the correlation above 0.9 in maximum temperature, above 0.8 in mean and minimum temperature. Especially, the maximum temperatur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accuracy with Terra MODIS LST daytim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erra MODIS LST nighttime. During the cold wave period, both Terra and Aqua MODIS LST showed higher correlations with nighttime data than daytime data. For the heat wave period, the Aqua MODIS LST daytime data was good, but the overall R was below 0.5. Additional analysis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y considering such as land cover and elevation characteristics.

Climate Change during the recent 10 years in Korea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 Kwon, Won-Tae;Boo, Kyung-On;Heo, I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8-280
    • /
    • 2007
  • 우리나라는 지난 94년간 1.5도 상승하여 전지구 온난화추세를 상회하였다. 기온뿐만 아니라 강수량 역시 변화하였는데 변동폭이 크기는 하나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20세기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은 특성을 보인다. 평균적인 기후변화추이와 더불어 특히 최근 10년($1996{\sim}2005$년)은 1850년 이후 지구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기간으로, 세계적으로 열파, 홍수, 가뭄, 태풍 등 기상이변에 의한 인명과 재산 피해, 생물종의 멸종 등 사회경제적 피해가 막대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폭염, 호우등의 빈번한 출현으로 급격해지는 온난화추세 영향을 반영하였는데 이러한 기후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기후 특성과 계절별 현상일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1996-2005년)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15개 관측지점자료)는 평균기온이 과거 30년$(1971{\sim}2000)$ 평균대비 $0.6^{\circ}C$ 상승하였다. 계절별로 봄은 평년대비 $0.7^{\circ}C$, 여름은 $0.4^{\circ}C$, 가을은 $0.6^{\circ}C$, 겨울은 $0.7^{\circ}C$ 상승하여 봄과 겨울의 상승폭이 가장 크다. 연강수량은 30년 평균대비 최근 10년 강수량은 11% 증가하였고 특히 여름은 증가폭이 가장 커서 18%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다양한 기상현상의 변화도 나타났다. 3월 이후에 나타나는 늦서리의 종료일은 평균적으로 3월 말경에 나타났는데 최근 10년에는 3월 중순으로 2주 앞당겨졌고 이 추세는 특히 1993년 이후 뚜렷하다. 늦서리의 발생일수도 평균 4일 정도 줄었다. 일평균기온 $20^{\circ}C$이상인 날은 평년에 비해 최근 10년 동안 약 2일 증가하여 여름 시작시기가 빨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는 평년대비 최근 10년간 연간발생일수가 1.3일 증가하였으나 일최고기온 $35^{\circ}C$ 이상인 날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고, 호우발생빈도, 특히 8월의 강수일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름과 가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수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으나,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로 인하여 각각 6조원, 4조원 이상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태풍에 의한 피해액은 GDP 대비 약 0.9%(태풍 루사)로 최근 경제상장률과 비교해 보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연근해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세기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폭설과 한파일수도 평년대비 최근 10년 감소하였고 일최저기온이 영하 $10^{\circ}C$ 이하인 날도 연간 발생일수가 감소하였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기후의 변화특성은 기온상승과 더불어 서리종료일이 앞당겨지고 열대야가 증가하고 폭설, 한파, 겨울철 일최저기온 영하 10도 이하인 날의 감소 등이 나타나고, 여름철 재해의 원인인 호우일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한 피해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추이를 감안할 때, 기후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대비책을 마련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PDF

Projections of Future Summer Weather in Seoul and Their Impacts on Urban Agriculture (미래 서울의 여름날씨 전망과 도시농업에의 영향)

  • Kim, Jin-Hee;Yun, Jin 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2
    • /
    • pp.182-189
    • /
    • 2015
  • Climate departure from the past variability was projected to start in 2042 for Seoul.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climate departure in Seoul for urban agriculture, we evaluated the daily temperature for the June-September period from 2041 to 2070, which were projected by the RCP8.5 climate scenario.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climate extremes and their effects on growth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one of the major crops in urban farming. The mean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in 2041-2070 approached to the $90^{th}$ percentile in the past 30 years (1951-1980). However, the frequency of extreme events such as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appeared to exceed the past variability. While the departure of mean temperature might begin in or after 2040, the climate departure in the sense of extreme weather events seems already in progress. When the climate scenario data were appli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ot pepper, the departures of both planting date and harvest date are expected to follow those of temperature. However, the maximum duration for hot pepper cultivation, which is the number of days between the first planting and the last harvest, seems to have already deviated from the past variability.

Future Projections of Köppen Climate Shifts in the Asia Regions Using A2 Scenario (A2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기후대의 변화 전망)

  • Shin, Sang Hoon;Bae, Deg 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53-265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climate zone applied by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the future climate zone projected by the A2 scenario in Asia region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ere also analyzed. As regards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variation of climate facto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ill be increasing $4.0^{\circ}C$ and 12% respectively in the 2080s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period (1991~2010). Spatially, the range of temperature increase on the high latitude area is higher than that on the low latitude area. The precipitation will be increasing averagely in the overall area, but the spatial unequ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ill be intensified. At the result of the future climate zone, the area of warm climates will be increasing while the area of cold climates will be decreasing. In 2080s, the temperature will be increasing as much as 7.2% and 1.9% on the Tropical climates and Arid climates respectively, but it will be decreasing as -2.4%, -4.9% and -1.8% on the Warm temperate climates, Cold climates and Polar climat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part of Savannah climates and Desert climates will be mostly increasing. It is mainly caused by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desertification impact according to global warming.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기후변화와 국가별 총요소생산성의 관계)

  • Choi, Young Jun;Park, Hyun Y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4 no.2
    • /
    • pp.343-363
    • /
    • 2015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national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s in temperature and rainfall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climate variables are used as main factors to measure climate change. Not only average values of the variables but those highest values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pattern of recent climate change, the high volatilities. The OLS results are corresponding to previous literature that average temperatur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oductivities while average rainfall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However, the results of panel analysis contradict the argumen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temperature and productivities since human beings can adapt the climate change. Therefore adaptation capacity is important to forecas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s on economies.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Water Temperature, Salinity in the West Sea of Korea (한국 서해에서 수온 및 염분에 미치는 기상 인자의 영향)

  • Lee, Chung-Il;Lee, Jong-Hee;Kim, Dons-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1 s.28
    • /
    • pp.29-37
    • /
    • 2007
  •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AT), wind speed (WS), precipitation (Pre) on the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WT) and salinity (Sal) in the West Sea of Korea for the period 1971 to 2001 was illustr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T-AT, WT-Pre, and Sal-WS had positive correlation, reversely WT-WS, Sal-AT and Sal- Pre had negative correlation. In the surface layer, time lag between atmospheric factors and oceanographic factors was 0 to 4 months, on the other hand in the bottom layer, it was delayed 0 to 4 months compared to the surface. WT was affected by AT in the same year, but Sal was affected by precipitation in the previous year. The variation of WT and Sal was in harmony with change of wind speed.

  • PDF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ias Correction Method for Hydrologic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 편의보정 기법 개발)

  • 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8-158
    • /
    • 2012
  • 기후시나리오는 시 공간 해상도가 낮아 결과를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지역기후모형(RCM)을 통해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여 각 분야의 영향평가 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모형이 갖는 한계로 인하여 시나리오는 관측자료에 비해 과소모의되는 경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수 있는 편의보정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외적으로 여러 편의보정기법이 존재하며, 편의보정기법 선정에 따라 최종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수문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기후시나리오 중 가장 중요한 요건은 일단 관측치의 월 및 계절별 변동성이 잘 반영되는 가이며, 두 번째는 극한 사상(high, low)을 얼마나 잘 모의하여 홍수와 가뭄을 평가하는데 용이한 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편의보정 기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의 편의 보정 기법을 제안 및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기존 편의보정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Change factor method, Quantile mapping, Weather Generator 등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역학적으로 상세화된 기후시나리오와 기상청 관할의 기상관측소의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평가를 위해 선정한 관측소 지점은 1951년부터 강수 및 기온 자료가 존재하는 기상청 관할 기상관측소를 토대로, 지역적인 평가를 위해 최종적으로 서울, 강릉, 대구, 부산, 목포, 광주, 전주, 울산, 추풍령을 선정하였다. 이 중 1956~1980년을 과거기간으로 1981~2005년를 미래기간으로 가정하고, 편의 보정 기법 적용하여 기온과 강수량의 통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평가결과, 편의보정 기법의 따른 한계점들을 도출하였다. 한계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편의 보정기법은 강수량을 크게 3단계(극한 호우사상, 강수일수, 평균 표준편차 보정)로 나누어 편의보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극한 호우사상을 위해서는 연최대치 계열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비초과확률을 이용하여 RCM 결과값의 강수일수를 보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나머지 강수시나리오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보정하여 최종시나리오를 생산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편의보정기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수문학 분야에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제안한 편의보정 기법 및 평가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발표 시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