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업의 사회공헌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Childcare Culture for Women's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Corporate's Social Contribution)

  • 서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8
  • 기존의 기업문화를 고려하면, 여성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워 국가나 기업의 측면에서 인력손실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조직내 가족친화적 문화의 하나로 육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갖게 된다면 전통적 육아의 방식을 탈피하고, 노동시장 내의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통한 경쟁력제고와 더불어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분업의 문화가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가족중심의 가족친화적 문화로 변화를 이루어야 함을 피력하고, 직장보육시설의 확대를 위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정부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을 적절하게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추구와 더불어 사회적 공헌을 하여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밝힌다.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 분석 연구 -혁신도시내 공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Contribution A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in Wonju Innovation City-)

  • 이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1-370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공헌에 대한 기존 연구자료를 통해 사회공헌의 중요성과 그동안의 진전과정을 살펴보고 강원원주혁신 도시내에 입주해 있는 공공기관들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총 14개의 공공기관 중에서 9개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근의 경향은 단순 기부나 후원 형태의 사회공헌보다는 공익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 협력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둘째, 일회성 단발성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사회와 파트너쉽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여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일방적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시민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경제를 창출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벤처 기업가의 정치적 기술,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기업가적 성과 간의 매개모형 (The Mediating Model among Entrepreneur's Political Skill,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 정대용;김춘광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16-720
    • /
    • 2010
  •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에서 성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기업가를 대상으로 기업가의 정치적 기술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기업가적 성과와 어떤 영향관계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 탐색적 성격의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기업가의 사회적 역량인 정치적 기술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기업가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네트워크는 일부 하위 요소만이 기업가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약한 유대의 네트워크 원천은 정치적 기술과 기업가적 성과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중소 벤처기업에서 성과 창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기업가를 대상으로 역량과 성과의 관계를 고찰했다는 점, 그리고 기업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역량인 정치적 기술과 기업가적 성과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정치적 기술이라는 구체적이고도 새로운 선행변수의 도입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수립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성과 창출 이전 단계에 해당하는 기업가의 역량 개발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을 찾을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