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care Culture for Women's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Corporate's Social Contribution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 서동희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Considering the existing corporate culture, it's hard to compatible with work for the women and family and it brings a loss of human resources to government and corporate. But if the corporate real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childcare as one of the family-friendly culture, and had an aggressive will, it will be possible to break the way of traditional childcare, raise the competitiveness by expanding the work childcare facilities and laid a foundation for the social contribution. Thus, this study expressed the division of labor by gender culture should be changed to family-based women-friendly culture in the home and the corporate. And also this paper provides that, in the view of the corporate has to fully realize the social responsibility, the government properly supports the corporate which has family-friendly culture and through it, with pursuit of profit the corporate can ensure the social justice from social contribution.

기존의 기업문화를 고려하면, 여성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워 국가나 기업의 측면에서 인력손실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조직내 가족친화적 문화의 하나로 육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갖게 된다면 전통적 육아의 방식을 탈피하고, 노동시장 내의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통한 경쟁력제고와 더불어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분업의 문화가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가족중심의 가족친화적 문화로 변화를 이루어야 함을 피력하고, 직장보육시설의 확대를 위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정부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을 적절하게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추구와 더불어 사회적 공헌을 하여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밝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련, 가족친화 기업모델 및 사례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006.
  2. 김순림, "직장보육시설 설치에 관한 정부지원정책", 월간 노동, 2006(4).
  3. 김태홍, "기업의 가족친화적인 고용제도의 도입 현황과 과제" 여성연구, 제61호, 2001.
  4. 김숙자, "보육정책의 성과 및 향후추진계획", 여성정책포럼, 제3권, pp.24-32, 2003.
  5. 김영미, "여성의 노동복지 현황과 과정", 복지동향, 제99호, pp.19-23, 2007.
  6. 문신용, 윤기찬, "가정친화적 복지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pp.445-473, 2005.
  7. 박명수, "영.유아 보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8. 박찬임, "기업복지활동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협의회, 제167호, pp.71-88, 2005.
  9. 박천오, 김상묵, "한국 정부조직의 여성친화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연구, 제10권, 제3호, pp.190-212, 2001.
  10. 서동희, 김미경, "성별분업의 논리와 재구조화 - mother & worker 관점을 중심으로", 중원지역발전연구, 2002.
  11. 유희정, "보육정책 발전방안", 여성정책포럼, pp.20-26, 2003.
  12. 여성가족부, 보육통계, 2007.
  13. 여성가족부, 육아지원정책 성과연구, 2007.
  14. 여성가족부, 직장보육서비스 제공 실태, 2006.
  15. 여성가족부, 보육사업안내, 2006.
  16. 이금순, "직장보육시설 활성화 방안",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17. 이미화, "보육시설 운영 및 이용현황 과제", 보건 복지포럼, 제107호, pp.19-31, 한국보건보건사회연구원, 2005.
  18. 이정아, "여성공무원의 직장보육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9. 이주희, "고용차별의 실태: 임금과 권위소유 여부를 중심으로",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제12권, 제 4호, 1999.
  20. 임인숙, "한국 기업의가족친화적 제도의 한계", 가족과 문화, 제15권, 제3호, pp.63-86, 2003.
  21. 장지연, "여성경제 활동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제102호, pp.45-56, 2005.
  22. 전길양, 직장보육서비스 정책 사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2006.
  23. 정강자, "평등한 일.출산.양육을 위한 정책제언", 국제포럼 : 평등한일․출산․양육 주제발표문, 9월3일 프레스센터, 2003.
  24. 정병호, "보육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여성정책포럼, 제7호, pp.21-28, 2004.
  25. 조경호, 이선우, "중앙정부의 가정친화적 인사정책에 관한 실태분석, 공무원 후생복지제도 개선참고자료, 2001.
  26. 최은영, "취업여성의 일 - 가족양립지원 정책방향", 보건복지포럼, 제1호, pp.18-32, 2006.
  27. J .Gnyea, and B. Googins, "The Restructuring of Work and Family in the United States: A New Challenge for American Corporations," The Work-Family Challenge: Rethinking Employment, Suzan Lewis and Jeremy Lewis(eds.), Sage Publications.
  28. S. Grover and K. J. Crooker, "Who Appreciates Family-responsive Human Resource Policies," Personnel Psychology, Vol.48, No.2. pp.271-288, 199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5.tb01757.x
  29. T. A. Scandura and M. J .Lankau, "Relationships of Gender, Family Responsibility and Flexible Work Hours to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Job Satisfaction," J. of Organizational Behavior, No.18, pp.377-391, 1997.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707)18:4<377::AID-JOB807>3.0.CO;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