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중소기업의 지역뉴딜 활성화를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방안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Network to Promote for Regional New Deal Project of SMEs)

  • 김은옥;황휘웅;조한진;최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6-83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급변하고 있는 기술과 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주체 간 협력을 통한 혁신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하기 위해서는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 네트워크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협력 네트워크 재정비, 중소기업 맞춤형 정책 수립, 지역사업 연계지원 등을 통한 지역협력 네트워크 기반 조성 전략을 해결방안으로 도출하였으며, 지역 거점 네트워크 구축 및 기업 육성전략, 지역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역혁신 특화 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연구 결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사업과 지역 네트워크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환경 불확실성, 산업인프라, 기업가 정신이 혁신역량 및 경쟁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nvironment uncertainty, industrial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ship on innovative capability and competitive performance - Case on Daegu Kyoung-Buk inno-biz SMEs -)

  • 김장호;주기중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3호
    • /
    • pp.41-60
    • /
    • 2015
  • 기술혁신형 기업은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경영자 특유의 열정과 노하우 그리고 아이디어로 시장을 개척한다. 따라서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한 이들 기업에게 환경의 불확실성은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기술혁신형 기업들은 일반기업에 비해 가용자원의 한계를 지니며, 이들 기업이 입지한 지역의 산업인프라는 가용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 된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불확실성, 산업인프라, 기업가정신이 혁신역량과 경쟁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정하였으며, 본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환경불확실성, 산업인프라, 기업가정신이 혁신역량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론 및 실무적 관점에서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를 통한 추후 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경남지역 산학협력을 통한 IT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 (Competitiveness Enrichment of IT Venture Business through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 Gyeongnam)

  • 박상혁;김창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125-135
    • /
    • 2011
  •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생태계의 구축이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많은 기업들도 개방형 혁신을 통해 외부 협력자들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거나 자신들의 연구개발 성과이기는 하지만 자체적으로 사업화하기 어려운 기술들을 다른 기업에 전수하는 일들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또는 수도권 소재 기업들에 주로 이루어지며, 지방의 중소기업들은 활동이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IT 벤처기업이 지방에서 성공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경남지역의 IT 벤처기업인 T기업은 창업한지 일 년만 G대학과 다양한 산학협력을 통하여 일일 트래픽 10만명 이상인 소셜커머스 메타사이트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기업이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성공적인 IT 벤처기업을 육성한 사례를 발굴하여, 성공적인 산학협력 방안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신기술 개발 역량: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적 역할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xterior Informat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e Mediating Role of Product Planning Capability)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1-127
    • /
    • 2018
  • 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은 기술 융합 및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업 환경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공적인 제품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을 창출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 벤처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이러한 직접 효과에 미치는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모형을 개발한다. 683개의 중소 벤처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소 자승 회귀 분석을 실시한 통계적 연구모형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제공 한다. 첫째,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신기술 개발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 벤처기업의 제품 기획 역량은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완전 매개한다.

혁신형 코스닥기업의 내부자금조달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al Financing on R&D Investment of Innovative Kosdaq Enterprises)

  • 신민식;신찬식;김병수;김지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60-387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내부자금조달과 R&D 투자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스닥시장의 벤처기업은 일반기업보다 R&D투자 비율이 훨씬 높은데도 불구하고, 일반기업과 달리 내부자금조달이 R&D 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코스닥기업이 벤처기업으로 선정되면,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하는 대신에 정책적 금융지원을 통해 R&D투자에 열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자금조달은 비혁신형 코스닥기업보다 혁신형 코스닥기업의 R&D 투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혁신형 코스닥기업은 외부자금조달이 제약되는 상황에서도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하여 R&D 투자를 적극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내부 자금조달은 R&D 투자 항목 중에서 비용처리 R&D 투자보다 자산처리 R&D 투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혁신형 코스닥기업이 무형자산으로 처리되는 사나처리 R&D 투자를 비용으로 처리되는 비용처리 R&D 투자 보다 더 중요시한다는 증거가 된다. 그리고 내부자금조달은 혁신형 코스닥 기업중에서 고-신용평점기업보다 저-신용평점기업의 R&D 투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혁신형 코스닥기업이 비대칭정보 외에 저-신용평점으로 인한 재무적 제약이 클수록 R&D 투자자금을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증거가 된다.

  • PDF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혁신 노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이전경험과 기술협력유형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activities on performance of Korean IT SMEs·Venture: Technology Transfer Experiences and Technological Collaborations)

  • 노두환;황경호;박호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33-46
    • /
    • 2017
  •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8%, 종사자 비중의 87.9%, 전체 생산액의 48.3%를 차지하는 등 국가경제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기술혁신, 고용창출, 산업의 다양성, 지역균형개발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에 있어서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해서 기술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더 필요해졌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자금부담 능력, 연구인력, 연구장비 등 R&D 역량이 대체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중소 중견기업 지원을 위해서 정부 출연(연)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즉, 출연(연)은 산업 전반의 혁신활동을 증진시키고, 기업의 기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R&D)을 통해 창출된 지식과 기술을 꾸준히 시장에 제공하고 있으며, 중소 벤처기업이 견실한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인력지원, 연구시설/장비지원 등을 통해 기업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정부와 정부 출연(연)이 우리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중소 벤처기업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및 전략적 제휴(기술협력)와 관련해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된다.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기술이전경험 및 기술협력유형의 내용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1,10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감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술이전경험과 기술협력유형이 중소 벤처기업의 매출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이전경험의 경우, 기술이전경험'3~5회'와 '기술이전경험 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술협력유형의 경우, '핵심기술 확보 등 기술역량 제고'와 '개발인력확보'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기술이전경험의 유무와 기술협력활동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정부출연(연)과 중소 벤처기업 간 협력 정책 등 중소 벤처기업의 상호협력 촉진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소기업의 흡수역량이 제품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소기업 CEO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bsorptive Capacity in SMEs on Product Competitiveness: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EO's Entrepreneurship)

  • 손인배;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4호
    • /
    • pp.61-72
    • /
    • 2017
  •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과 개방형혁신 등의 중요한 트렌드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하고 제품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흡수역량과 기업가정신과의 관계와 같은 분야의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흡수역량이 제품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기업가정신의 역할을 실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의 22개 중소기업의 조직구성원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중소기업의 흡수역량과 제품경쟁력은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CEO의 기업가정신과 제품경쟁력 또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조절효과와 관련, 독립변수인 흡수역량 중 잠재적 흡수 역량이 종속변수인 제품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인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진취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흡수역량 중 실현된 흡수 역량은 조절변수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에게 외부자원 및 정보를 학습하여 성과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하는 개방형 혁신과 기술적 측면의 기업가정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론 및 시사점을 논의한 후,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벤처인증정책과 이노비즈인증정책의 중복효과에 대한 연구: ICT산업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Overlapping Effect of Certification Policies: Focusing on the ICT Industry)

  • 오승환;심동녘;김규남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8-3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성격을 지닌 정부 혁신 정책의 이중지원으로 발생하는 중복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대표적인 지원정책인 벤처인증정책과 이노비즈인증 정책을 대상으로 중복지원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혁신형 중소기업들이 다수 분포되어 있는 ICT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정부의 정책 지원에 따른 성과 평가를 함에 있어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두 정책을 중복으로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은 하나의 정책만을 지원받는 기업들보다 기업의 성장성, 자금조달능력, 혁신성 등에서 양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인증 정책의 중복 지원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복 효과 개념에서 바라보면 이 결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우선, 기업의 성장성을 보여주는 종업원수 증가율에서 벤처인증과 이노비즈인증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정부로부터의 복수의 지원을 받은 기업들이 고용 시장에 더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반면, 기업의 자금조달능력이나 혁신성 지표에서는 중복 효과는 비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부가 정책을 지원함에 있어서 이미 정책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에게 정책을 중복하여 지원하는 방식보다는 아직 정부로부터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한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방식이 더 큰 정책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벤처인증이나 이노비즈인증은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원 받은 기업의 혁신성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도록 관련 협회 간 기능 조정이나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IT 산업정책 성과와 2008년 추진방향

  • 설정선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1호
    • /
    • pp.5-11
    • /
    • 2008
  •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견인을 위해 2004년 수립한 IT 산업 발전전략이 IT839이다. 신성장동력 핵심기술 개발 등 IT839전략에 힘입어 세계 최초로 WiBro, DMB 기술개발과 국제표준화에 성공하는 등 IT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1년 이상 단축되었으며, 특히, 이동통신 DIV 분야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경쟁력이 향상되는 성과를 보았다. 한편, 최근 IT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IT를 기반으로한 융복합화 진전, 글로벌화 심화, 인터넷 확산과 웹의 진전이다. 2008년에는 이런 환경변화 속에서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무선 융합환경에서 신시장 창출 및 선점, 고부가가치 IT산업의 집중 육성, IT중소기업, 핵심인력 양성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반 구축도 강화한다. IT R&D 정책은 기초 원천기술분야 R&D 투자비중을 확대하고, IT와 비IT융합 등 융합분야 기술개발 투자도 확대할 것이다. 혁신형 IT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민간 정책협력 네트워크인 IT전문협의회 운영을 개선하고, 중소기업의 원가절감을 위한 공통서비스 확대, 대 중소 기업의 상생협력을 제도화는 등 IT정책 인프라도 고도화한다.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후의 글로벌 주력품목군으로 IT SoC, u-센서, IT-BT-NT 융합분야 등 3대 핵심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부품기업간 협업 활성화를 적극 유도할 것이다. 시장이 원하는 글로벌 수준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공학교육인증 확산, IT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R&D 지원도 강화하며, 전공역략을 갖춘 IT 전문인력, 석박사급 핵심 연구개발 인력, IT재직자 교육 등 시장이 원하는 맞춤형 인력양성도 병행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시장 창출을 위해 노력도 강화한다. 조선, 자동차 등 비 IT분야의 SW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틈새분야 중 세계적 시장점유율을 갖춘 중소기업 제품에 임베디드SW를 탑재하여 첨단기능을 구현하는 시범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