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혁신 정책

Search Result 1,79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National R&D Commercialization Policy: An Out-bound Open Innovation Perspective (유출-개방형 기술혁신으로서의 기술사업화 정책 분석)

  • Ahn, Joon M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8 no.4
    • /
    • pp.561-589
    • /
    • 2015
  • Up to present science and technology (S&T) policy in Korea has focused on producing academic papers and patents through the increase of investment 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However, as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boosting national economy has been emphasized and the current government has established 'creative economy' as a main policy agend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as been moving onto the center of S&T polic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olicy encourages R&D outcomes of public R&D institutions to be utilized in private firms for their new business development, and this concept is in line with out-bound open innovation, in the sense that it involves the flow of technological knowledge from public R&D institutions to private firm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analyses governme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grams and attempt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futu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olicy (1) be specialized in a way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ministry, (2) strongly support technology licensing-out, (3)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each programs, and (4) nurture expert groups, such as accelerators who can help and foster technology start-ups.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Innovation Patterns of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 Considering the Demand Factors (수요 요인을 고려한 첨단재료기술의 혁신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Chae Jae-Woo;Cho Kyu-Kab;Kim Jeong-Hum;Lee Yong-Tai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1
    • /
    • pp.103-130
    • /
    • 2006
  • This paper is to categorize the innovation patterns of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Many existing taxonomies of innovation pattern consider the whole of industries and the system sector rather than a specific sector. On the ba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aterials sector and user sectors, this paper suggests four innovation patterns, push-type material innovation, needs-type materials innovation, push-type process innovation and needs-type process innovation. This categorization of innovation pattern not only provides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materials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es but also has many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Suggestions for policymakers of the materials technology are presented.

  • PDF

기술혁신분포, 기술모방분포 그리고 신 국제무역이론에 대한 실증연구

  • Jo, Sang-Seop;Jo, Byeong-Seon;Hwang, Ho-Yeong;Min, Gyeong-S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9-249
    • /
    • 2017
  • 본 연구는 신 국제무역이론(Meltzer, 2012, 2014, 2015)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신국제무역이론은 기술혁신역량에 대한 이질적 기업분포가 국제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새로운 국제무역이론은 기술혁신분포형태가 국제무역효과를 결정한다는 핵심가정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실증적으로 우리나라 제조 기업 기술혁신분포를 추정하고, 기술혁신분포형태 즉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술모방분포에 대한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신 국제무역이론기반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정책 및 산업정책 방향을 간단하게 제언하였다.

  • PDF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A Case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Major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8-2011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간의 상호관계연구: 2008~2011년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Choi, Hyund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763-785
    • /
    • 2014
  •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STI policy)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al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of the STI policy between the social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can throw some light on designing better policies and enhancing the social value of academic research. Thus,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actions of the STI policy between the social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major newspaper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We have three major findings. First, on the one hand, academic research rose after uprising changes in the STI policy issues in the society. Second, on the other hand, social issues on STI policy were influenced by academic research reflecting the fundamental changes in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and the nature of technology. Third, there are strong policy demands regarding the role of the STI policy for society and for traditional economic domains, but relevant research is scarce up to now.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uncovering the potential policy domains and agendas for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Policy Integration as A New Approach of Policy Coordination: The Case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정책 조정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정책 통합: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중심으로)

  • Seong, Ji-Eun;Song, Wi-Ch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352-375
    • /
    • 2008
  • Recently policy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have emerged as core challenges as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policy. Especially as innovation and environment policy is expanding and its position is being further elevated within policy hierarchy, policy integration has emerged as core governance challenges for nation states. OECD countries emphasized the need of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policy by introducing concepts such as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the Third generation innovation policy', 'integrated innovation policy'. This study analysed the background, concepts, objects, mechanisms, and major issues of integrated innovation policy and various attempts for integrate innovation policy by policy level and cycle. Developing integrated innovation polici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EU and OECD countries in recent years. OECD countries including Finland have developed broader policy agendas for balancing policy objectives and aims of other policy sectors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with other policy sectors. Policy integration helps to reorient policies where related policies are in conflict and to ensure coherence across different policy areas. Policy integration emphasizes long-term policy adjustment and adaptation based on social agreement and common vision.

  • PDF

Three Trends in Research on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RRI) 연구의 배경과 동향)

  • Bak, Hee-Je;Seong, Ji-Eu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8 no.3
    • /
    • pp.101-152
    • /
    • 2018
  • This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trends in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which recently emerged as the central concept among international innovation policy circles. In particular, we attend to the conceptual diversity of RRI, showing that each trend emphasizes different elements of RRI and reflects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has emerged. The first trend centers on research on governing emerging technologies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tradi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ELSI. The second trend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innovation policy efforts to take up the social challenge driven innovation as a new driving force for innovations. The third involves the attempts to operationalize the concept of RRI to evaluate whether the vision of RRI has been successfully incorporated in the actual innovation practices. We also insist that recent Korean R&D policies which emphasiz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e essential elements of RRI, although they do not use the term RRI. Finally, we discuss policy implications of discourse over RRI on such innovation policies.

The Directions of IT-based Convergence Policy (IT 기반 융합정책 방향)

  • Hyeon, Chang-Hu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2 s.110
    • /
    • pp.1-12
    • /
    • 2008
  • 최근 급격한 기술혁신으로 기술간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융합정책이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연구결과와 정책과제들을 보면 '융합' 이라는 현상 전반에 대한 이해와 통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개별기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을 종합하여 '융합정책' 이라는 이름으로 제시되고 있는 듯하여 우려된다. '융합기술' 이란 현재만이 아니라 기술의 진화와 혁신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늘 존재하였다. 단지 최근 들어 '융합' 이라는 용어가 더욱 강조되고 주목을 받는 이유는 기존에 발생하였던 '점진적 융합' 과는 달리 발생속도가 급격하고 그 영역이 대단히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혁신적.광역적 융합' 의 성격을 띄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혁신적.광역적 융합' 의 공통점은 어느 분야에서 발생하든 IT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IT는 융합의 실체가 IT로 나타나든 타 분야에 내재화되어 나타나든 모든 분야의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본 고에서는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는 IT 기반 융합의 의미와 현상을 살펴 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국민소득 3만 달러, 4만 달러 달성을 위한 IT 기반 융합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n Evaluation of the Glob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on Engineering Modeling & Simulation (엔지니어링 Modeling & Simulation 기술의 국가 경쟁력 분석)

  • Han, Yuri;Kim,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941-967
    • /
    • 2017
  • 제조혁신 기술로서 엔지니어링 모델링 & 시뮬레이션(이하, Eng. M&S) 기술은 제조패러다임을 바꿀 대안기술로 주목되고 있으며, 해당분야 국가수준에서의 기술정책 육성을 위해 경쟁력 분석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조업에서 Eng. M&S가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 기존에 정립된 특허, 논문 계량 분석 경쟁력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Eng. M&s 기술적 특성을 반영한 시장 관점에서 지표를 추가하여 Eng. M&S 기술에 대한 각국의 경쟁력을 도출을 시도하였다. 또한 모형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기존 계량정보 기반 평가모형보다 다양한 정보에 의한 높은 설명력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추가된 시장지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ng. M&S 기술경쟁력 분석 결과, 한국의 경쟁력은 최고기술보유국가인 미국대비 절반 수준으로 7개 주요국 중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경쟁국들의 정책적 노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설계역량이 현저히 낮다고 평가된 한국 제조환경에 맞는 Eng. M&S 기술 육성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해당 기술 활용을 촉구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