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혁신시스템

검색결과 1,277건 처리시간 0.034초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송위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무선인터넷 종단간 보안을 위한 인증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정태;이현우;현창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8
    • /
    • 2004
  • 유선인터넷 환경에서는 SSL 또는 PKI 기반의 인증시스템이 널리 사용되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에 반해, 무선인터넷 환경에서는 무선인터넷의 활성화가 상대적으로 뒤쳐짐에 따라 특정한 기술이 주도적으로 선도하고 있지 못하다. 2004년 말로 예정된 무선인터넷 공인인증서비스가 시작되면 이러한 무선인터넷에서의 종단간 보안을 위한 인증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무선인터넷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인증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국내 인증시스템 도입에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블록체인 혁신성 연구 (A Study for the Innovativeness of Blockchain)

  • 김의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3-187
    • /
    • 2018
  •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중앙 금융기관 없이 개인과 개인 간의 온라인 지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중지불 문제의 해결을 포함한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개인 간 전자화폐 시스템을 제안한 이후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에서 산업혁명 사이클 전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범용기술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이 이러한 범용기술로서의 급격한 확산과 활용이 혁신이론 관점에서 어떠한 혁신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블록체인은 '물리적 기술'의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적 기술'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술혁신과 사회혁신을 동시에 수반하는 혁신성을 가지고 있었다. 블록체인의 다양한 혁신성에 대한 본 연구의 접근은 블록체인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정책적 의사결정에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위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최석철;양미호
    • 국방과기술
    • /
    • 7호통권293호
    • /
    • pp.22-31
    • /
    • 2003
  • 최근 과학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문명의 패러다임이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전쟁의 양상도 혁신적으로 변하고 있다. 최근의 아프간 전쟁을 살펴보면 미래 전쟁의 양상이 시스템 복합체계에 의한 디지털전쟁, 네트워크전쟁, 정보전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전쟁양상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군사혁신(RMA :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을 통한 정보.기술위주의 전력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혁신적 발전에 따라 무기체계는 첨단화, 복합화, 고도.정밀화 되고 있다.

  • PDF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에 기반한 R&D 프로세스 혁신 (R&D Process Improvement based on ISO 9001: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 황영하;박상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8-316
    • /
    • 20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2002년에 국제표준으로 널리 통용되어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여 현재까지 유지하여 오고 있다. ETRI의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목적은 대외적으로는 연구개발 경쟁력 향상과 고객만족 증진이고, 대내적으로는 연구개발 업무 수행의 체계적이고 공통된 틀을 제공하는 R&D 표준프로세스의 정립과 이의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한 연구개발 수행 활동의 효과 성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최종적으로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연구개발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ETRI가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을 R&D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기반시스템으로 활용한 접근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를 위해 연구개발 업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의한 R&D 프로세스 모델 및 그 활용체계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