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성숙도평가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2초

가중치 산출방법을 활용한 획득방안 분석단계의 기술성숙도평가 개선방안 (Improvement for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with Weighting Method for Defense Acquisition Project)

  • 김미선;노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38-544
    • /
    • 2021
  • 기술성숙도평가는 기술적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여 무기체계 개발사업의 위험도를 관리하는 절차이다. 현재 규정상 기술성숙도는 해당 레벨의 충족항목 비율 및 미충족 항목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대책수립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정한다. 그러나 미충족 항목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이 규정에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술성숙도평가 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기술성숙도 체크리스트 내 각 항목의 중요성이 사업별로 상이하나 기술성숙도 평가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는 제한점이 있다. 특히, 전투기 등 국외도입 복합체계와의 연동이 기술적 위험요소로 언급되는 사업의 기술성숙도평가 수행 시 체크리스트 내 구성품 개발기술수준 또는 체계 구조정의 등과 관련한 항목 대비 체계 연동 및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합 등과 관련한 항목의 만족여부가 상대적으로 중요하나 평가 결과에는 이와 같은 요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기술성숙도평가 절차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술성숙도평가 개선방안을 통해 사업별 특성 및 기술성숙도 체크리스트 세부항목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술성숙도평가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개선가능하다. 제안하는 개선방안의 기대효과는 복합체계인 항공기의 성능개량 사업을 예시로 분석 및 제시한다.

국방 핵심기술의 성숙도(Readiness Level)평가를 활용한 국방기술가치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Defense Technology Valuation Using the Readability Level Assessment of Core National Defense Technology)

  • 이형석;신충진;강석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710-1719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과 체계통합기술이 고도로 복잡하게 요구되는 국방기술을 이해하고, 분야별 특성이 반영된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치평가 대상 무기체계의 기술 수준의 척도, 기술 간의 통합(체계통합기술)척도, 제조준비 및 성숙도 척도를 측정요소별 항목에 맞추어 측정하여 시스템성숙도를 확인하고, 시스템의 성숙도를 활용한 핵심기술의 계량적인 가치예측모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기술의 가치를 기술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각 분야의 역량있는 기술전문가들에 의해 분야별 기술적인 특성이 반영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되고, 전체 시스템의 완성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성숙도(SRL)를 활용하여 국방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술성숙도(TRL)평가방법 수립 및 적용사례 (The framework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TRL) Assessment and Case Study)

  • 박경진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43-48
    • /
    • 2009
  •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technology maturity by utilizing TRA(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approach. In this context, we will provide the directions through analyzing the domestic acquisition process and re lated regulations, and clarify the scenarios to apply the proposed framework to the defense R&D programs. The paper will conclude with the case study for the evolution of the proposed framework.

  • PDF

AHP 기법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지표 가중치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ighting for Digital Maturity Model & Indicators based on AHP Technique: Focusing on Digital Curation Maturity Model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김성훈;박진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3-262
    • /
    • 2023
  • 정보관리기관은 기관의 디지털 성숙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명확히 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정보관리기관의 효과적인 평가 및 방향설정이 용이하도록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KISTI가 개발한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AHP기법을 통해 모델의 대분류와 중분류에서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치로서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전체 모형의 대분류를 100점 기준으로 측정할 때 기술은 27점, 데이터는 24점, 전략은 19점, 조직(인력)은 16점, (사회적)영향력은 14점으로 계산 가능하였다. 그리고 각 대분류 내 중분류에 대해서도 세부항목 별 가중치를 각각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영역별 가중치를 디지털전환 성숙도 평가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기체계개발에서 시스템 성숙도와 기술적 성능 달성도를 연계한 시스템 성능 측정 방법 (On an Approach to Measuring the System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Combined System Readiness Level and Achieved Technical Performance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 권일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163-4170
    • /
    • 2013
  • 최근의 무기체계 연구개발에서 실패의 주요인은 요구되는 핵심성능의 미충족과 기술성숙도 부족이다. 이러한 실패의 가능성에 대한 위험관리를 위해서 기술성능측정 관리와 기술성숙도 평가의 수행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기술성능측정 관리 기법의 적용은 컴포넌트 수준 이하에 대한 측정으로 시스템 통합의 효과를 반영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한편으로 시스템 통합에 대한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시스템 성숙도 측정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성능과 기술성숙도를 분명하게 연계시키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수준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확대하여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술적 성능 달성도 평가방법과 함께 시스템 성숙도를 연계하는 시스템 성능 달성도 측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개발에서 위험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항공우주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기간과 비용에 대한 TRL의 영향 분석 (TRL Impact on Development Schedule and Cost in the Aerospace Project)

  • 황형원;김홍래;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4-272
    • /
    • 2012
  • 시스템개발 프로젝트에서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는 개발기간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프로젝트 주관기관의 핵심기술요소(CTEs)에 대한 기술 성숙도를 정확히 평가하여, 그에 따른 개발기간과 일정의 영향 정도를 세밀히 분석한다면,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예산 추가와 일정 지연과 같은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성숙도가 항공우주개발 프로젝트의 개발기간과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무인기시스템 개발사업에 적용하여 개발기관의 기술성숙도 수준 차이에 따른 개발기간과 비용의 정량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스템 통합 관점의 복합 무기체계 기술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TRA Framework for Complex Weapon Systems from the System Integration Perspective)

  • 구지인;정석재
    •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3-30
    • /
    • 2023
  • TRA(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는 현재의 국내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국내 연구개발 가능성에 대한 판단과 위험관리를 위한 핵심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TRA는 하드웨어 중심의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을 활용하기 때문에 개별기술의 독립적 평가에는 적합하나 체계관점의 평가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 방식의 평가는 주관적 평가 개입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체계공학의 시스템통합 관점에서 TRA 절차와 기준을 재정의하여 개선된 TRA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현재의 TRL과 TRA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좀더 쉽고 직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제안 프레임워크는 HW, SW 및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TE(Technology Element)와 CTE(Critical Technology Element)를 구분하고 TRL을 재정의 한다. TRA는 위 3가지 관점에서 재정의된 TRL에 따라 수행되고 위험관리를 고려하여 가장 낮은 평가결과를 시스템 수준의 성숙도로 활용한다. 제안된 CTE 선정방법은 주요 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의 정량목표, 개발난이도 및 COTS(Common Off The Shelf) 기술의 적용여부를 활용하여 평가자 주관의 개입을 최소화 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TSS(Target Surveillance System) 체계의 Case Study를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프레임워크 차원의 연구가 활성화 되어 TRA 제도 개선에 기여하길 바란다.

  • PDF

4차 산업혁명 기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성숙도와 산업과 연계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ve Validity of Technology Maturity and Industry for Core Technologies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 조한진;정규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9-57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발전은 다른 핵심기술의 발전과 연계되며, 이를 통하여 미래에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스마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술 성숙도 분석을 통하여 기술 성숙도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방안과,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 동향 정보를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시장, 정책 등을 조사하고 종합하여 종합적인 성숙도 수준을 수행하였다. 기술 성숙도 측정값은 기술 개발자에 의해 배점되므로, 사람의 성향에 따라 편견이 작용되어 주관적인 평가가 될 수 도 있다. 또한 개별 기술의 성숙도에 대한 측정이므로, 전체 시스템 통합 관점의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기술들을 시스템에 연계하기에 앞서 성숙도를 평가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과와 구현 가능성을 비교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술 개발의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기체계개발에서 작전운용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성숙도 평가방법 (On an Improved Method for System Readiness Assesment to Meet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 권일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02-3610
    • /
    • 2013
  • 현대 무기체계는 첨단화와 복잡성의 증가로 시스템개발 실패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례분석결과 원인은 원래의 시스템 운용개념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미성숙 기술의 적용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방위사업청에서는 무기체계개발시 핵심요구성능으로서 작전운용성능의 충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시스템개발시의 위험관리 방법중의 하나로서 기술성숙도 평가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방법이므로,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술간 통합에 대해서는 미흡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스템 성숙도 평가 모델이 제시되었고, 이와는 별도로 시스템개발의 난이도의 도입을 통한 리스크 관리 모델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술간 통합의 효과와 시스템개발 난이도를 동시에 고려한 모델은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무기체계개발의 궁극적인 목표인 작전운용성능 충족의 관점에서 도출된 평가모델은 제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개발에서 작전운용성능을 충족시키면서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요소기술간 통합과 시스템개발 난이도를 동시에 고려한 시스템 성숙도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무기체계 연구개발단계에서 개선된 시스템 성숙도 평가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가 건설교통 R&D 사업의 실용화 향상을 위한 기술성숙도평가 기반 R&D 평가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of TRL and TRA tools to Korean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Evaluation for Improving Practical Use)

  • 김남균;안병호;이현석;최재홍;박상혁;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0-119
    • /
    • 2012
  • 최근 지식기반 경쟁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선진국은 R&D 투자를 확대하고, R&D사업의 성과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NASA, DoD 등의 기관은 정량화된 성관관리 지표로서, 기술성숙도(TRL)를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기술성숙도 평가체계(TRA)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는 특히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R&D사업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국가 건설교통 R&D사업에 적용했을 때, 현재 연구내용의 학술적 성과에 치중되어있는 평가체계의 단점을 극복하고 실용화 달성의 취지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RL 및 TRA 개념과 국내 국가 건설교통 R&D사업의 특성 및 현행 평가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실용화 목적 달성을 위한 건설교통 R&D 사업의 TRL TRA 수행 모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