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대와 불안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9초

사회불안 아동의 해석, 기대 및 판단에서의 인지 편향 (COGNITIVE BIASES IN INTERPRETATION, EXPECTATION AND JUDGEMENT OF SOCIALLY ANXIOUS CHILDREN)

  • 양윤란;오경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52-159
    • /
    • 2004
  • 목적:사회불안 아동의 해석 편향과 수행에 대한 기대 및 판단 편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자기 보고와 또래 거명을 근거로 해서 선발된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 18명과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인지 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세 가지 과제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모호한 사회적 상황을 중립적 또는 위협적으로 해석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즉석 3분 발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기대를, 세 번째 과제 는 발표 후에 실시한 자기 평정과 평정자 평정간의 비교를 통해 판단 편향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결과: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은 해석, 기대 및 판단 측정치에서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들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평정자 평정 결과,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은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들에 비해 3분 발표를 수행하는 능력이 유의하게 더 낮은 것으로 평정되었다. 결론:인지 편향이 아동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인공지능 혁신에 대한 기대와 불안 요인 및 영향 연구 (Expectations and Anxieties Affecting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Revolution)

  • 이창섭;이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7-46
    • /
    • 2019
  • 본 연구는 인공지능 혁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와 불안요소들을 알아보고, 이들이 현재 대중들의 인식 속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 지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슷한 기술변화 문화를 공유한 세대별로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태도가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을 미래 인공지능 주 소비층인 I-세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업무 성과 향상', '사회 질적 향상'의 기대요인과 '인간의 사회적 가치 위협'의 불안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들 요인이 각각 약한 인공지능과 강한 인공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I-세대가 현재 약한 인공지능에는 업무 성과 향상에 대한 높은 기대와 함께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한편, 강한 인공지능에는 약한 인공지능과 비교해 불안을 많이 느끼며 태도의 긍정성도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이 인류와 유쾌한 관계 속에서 발전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Cluster Analysis by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Predict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Learning Involvement)

  • 전은옥;최나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98
    • /
    • 2017
  • 본 연구는 취학 직전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각 군집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 9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39명(남아 120명, 여아 119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 2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계층적 군집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의 수준에 따라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의 4군집이 분류되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하위 요인인 '자기점검', '자기통제'와 어머니의 학습관여 하위 요인인 '존중과 사랑'은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보다 높고, '학업성과압력'은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자기점검'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학업성과압력', '가정학습활동', '존중과 사랑'이 학습능력-기대불안 군집 구분을 예측하였다.

유가연동제, 그 첫발 선상에서

  • 백종화
    • 석유와에너지
    • /
    • 4호통권158호
    • /
    • pp.32-33
    • /
    • 1994
  • 새로운 유가연동제는 우리로 하여금 과거 교복자율화 만큼이나 많은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 PDF

서점가 '고전읽기'의 새로운 바람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233호
    • /
    • pp.19-19
    • /
    • 1998
  • 경제한파에 휘몰린 이즈음 서점가에는 동양고전을 찾는 독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답답하고 불안한 세태에 처한 현대인의 심리가 어느 정도 반영돼 있다. 동양의 지혜에서 현재의 혼란을 풀어나가려는 독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출간작업이 계속되길 기대하는 목소리도 높다.

  • PDF

8.21 부동산 종합 대책-반쪽 정책으로 건설 경기 못살린다

  • 강구슬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20호
    • /
    • pp.46-49
    • /
    • 2008
  • 정부와 한나라당이 지난달 21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당정 협의를 갖고 주택 공급 기반 강화 및 건설 경기 보완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건설 경기가 활성화될 거라는 기대와 집값 불안에 대한 우려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대책의 세부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 PDF

강박장애 치료의 최신지견 : Algorithm을 중심으로

  • 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불안의학회 2004년도 춘계 회원연수교육
    • /
    • pp.56-63
    • /
    • 2004
  • o 최근 강박장애의 치료가 발전한 것만은 사실이나 아직도 1차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가 많다. o 치료반응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현재 Y-BOCS를 이용하여 주로 치료반응을 평가하고 있으나 Y-BOSC 자체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o 약물치료시 특히 치료반응의 여부를 결정짓는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o 국내에서도 강박장애 치료알고리듬이 개발되어 강박장애의 치료 및 평가에 있어 기초가 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통해 본 강한 인공지능 제품에 대한 이용자의 수용의도: 2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Predicting User Acceptance of Strong AI using Extens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ed on the Age Group of 20s)

  • 이창섭;이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84-293
    • /
    • 2020
  • AI 기술의 급격한 진보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해주는 기대를 주는 동시에, 인간이 제어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을 경우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불안을 안겨준다. 본 연구는 첨단 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20대 초반 젊은 층을 대상으로 강한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수용의도를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AI에 의해 도래할 미래 환경에 대한 이들의 생각과 태도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였고, 나아가 이 연구모델을 확장시켜 AI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AI 제품 사용의도에 AI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AI에 대한 태도에는 업무 성과 향상의 혜택에 대한 기대와 관계 교란의 위협에 대한 불안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I관련 기업 관점에서는 기술개발의 방향을 세우고, 국가적 관점에서는 AI의 정책적 수용 방향성을 세우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며 연구적 공헌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