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 편익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enefit,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achment (제품 편익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애착,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Lim, Jae-Moo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9 no.1
    • /
    • pp.117-144
    • /
    • 2010
  • This paper planned to review positively the influence of leading variables - Functional benefits, Emotional benefits, Self-expressive benefits over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achment, Word-of-mouse. For it, we verified our hypothesis utilizing Hierarchial chi-square analysis that was available to statistically verify the size between 2 paths out of Structural models As the result of research, Emotional benefits was more influential than Functional benefits in the formation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Additionally, the influential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benefits and Self-expressive benefits was not found in the formation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both Emotional benefits and Functional benefits were pro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orm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Self expressive benefits played a more influential role than Functional benefit in the formation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 fact was also proved that the higher the formation level of Consumer -brand relationship was, the greater positive influence over Brand attachment and Word-of-mouse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is more desirable to establish brand strategy for form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benefits and Self expressive benefits rather than Functional benefits. Additionally,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formed by Value benefit is expected not only to get the level of attachment, showing like love, toward the brand deeper, but also to achieve the effect of positive, long term communication through voluntary Word-of-mouse.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Benefit of Facebook Fan Page i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 사용자들의 융합된 편익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ag, Dong-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5
    • /
    • pp.199-206
    • /
    • 2015
  • This study is the convenience Facebook brand fan page users who seek functional, emotional,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symbolic benefits to the brand benefit was to examine whether structurally affect to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Results and emotional benefits are found to affect the brand attachment relative to the functional convenience. In addition, the symbolic benefits were to affect brand attachment compared with the functional convenience. But the emotional benefits and symbolic benefits was shown to affect different brand without attachment, brand attachment points have been identified that affect the antecedents of brand engagement.

The Recreational Benefits of Soyang Multipurpose Dam (소양강댐의 레크레이션 편익)

  • Koun, Hyo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75-582
    • /
    • 2008
  • 다목적댐의 레크레이션 편익은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레크레이션 편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댐의 관리와 다목적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 경쟁적인 물의 용도간 부적정한 유량배분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었다. 최근 비록 시범적이지만 하천의 환경개선을 위해 다목적댐의 flusing 방류가 이루어지고 잇는 점도 댐의 기능이 점차 확장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목적댐의 레크레이션 편익에 대한 인식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뿐만 아니라 레크레이션 이외의 다목적댐의 다른 용도의 진실된 가치 및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목적댐의 저수(貯水)가 방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로 연결된다. 다목적댐의 레크레이션 편익 측정은 댐의 역할에 대한 진정한 평가가 될 수 있으며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댐 건설로 인해 가능하게 된 레크레이션 기회를 가치화하는 시도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이용하여 서울과 춘천지역을 대상으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와 함께 집중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해 소양강댐의 레크레이션 편익을 측정하였다. 서울은 소양강댐의 하류지역에 위치하면서 일반적으로 소양강댐의 건설로 인해 가장 큰 혜택을 누리는 지역이며 춘천지역은 소양강댐의 주변지역으로 소양강댐의 건설로 인해 가장 많은 피해를 입는 지역으로 여겨지고 있어 양 지역에서 느끼는 소양강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독특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댐으로 인한 레크레이션은 댐 저수지뿐만 아니라 댐 하류 하천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댐 저수지 지역인 춘천과 댐 하류지역인 서울을 대상지역으로 삼았다. 4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소양강댐의 연간 레크레이션 편익은 235억원$\sim$913억원으로 추정되어 소양강댐의 주요 기능인 용수공급이나 발전에 따른 편익과 비교할 때도 결코 작지 않은 편익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댐 건설로 인한 피해자로 인식되고 있는 하천의 상류지역인 댐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이 댐의 수혜자로 인식되는 하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WTP보다 크다는 것과 댐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댐에 대하여 양 극단적인 태도, 즉 강한 애착과 강한 반감을 함께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크레이션 기능이 댐의 주요 기능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가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데, 그동안 댐의 레크레이션 편익 측정을 어렵게 하였던 댐의 레크레이션 편익의 개념화를 통해 편익이 측정 가능하며 소양강댐의 경우 다른 목적의 물 사용 용도보다 편익이 클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목적댐의 주요 기능을 확장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레크레이션 편익을 어떻게 내재화(內在化)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한다.

  • PDF

A Study on Evaluating Benefits of Constructed Wetland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 산정 연구)

  • Jung, Jaewon;Nam, Jisu;Han, Daegun;Kim, Shinhoo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91-91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인공습지는 도시화, 기후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홍수와 가뭄, 하천생태계 변화,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러 목적과 형태의 인공습지가 조성되고 있다. 인공습지의 경우 특정 기능을 목적으로 하여 조성하더라도 인공적 생태계가 조성되므로 복합적 기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인공습지 조성 효과에 관한 연구는 한가지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실제 인공습지 조성의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변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여러 효과 중 가장 주가 되는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편익을 산정하였다. 먼저 인공습지의 적용 대상 유역을 선정하고 유역 내에 입지를 결정하여 이에 맞는 인공습지를 설계 및 적용하였다.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저감 효과 및 수질개선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해 MD-FDA를 통해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고 대체비용법을 통하여 동일한 수질개선 효과를 갖는 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비 및 운영관리비에 해당하는 수질개선 편익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의 홍수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수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정량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두 가지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산정된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었다. 본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종합적 편익 산정 연구 결과는 다목적의 인공습지를 적재적소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추후 생태적 기능, 레크레이션 기능 등에 따른 기타 편익 산정 방법론 조사를 통해 각 기능의 편익을 추가한다면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습지 조성의 소요사업비 및 유지관리비를 산정하여 인공습지 조성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한다면, 실제 인공습지 조성 사업 시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ng River Spatial Restoration Values Using the Meta-regression Benefit Transfer Method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하천 복원 가치 추정)

  • Lee, Hee-Chan;Yu, Yun-Hee;Noh, Soo 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 하천 복원 가치추정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편익이전을 제시함으로써, 편익이전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을 통해 '하천 가치평가', '하천 가치', '물 환경 가치추정', '하천 편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편의 연구를 수집했다. 그 중 중복된 연구를 제외하고 가치추정 단위를 '원/년/가구'로 통일함으로써 51편의 연구를 분석에 사용했으며, 90개의 가치 추정치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하천 복원 가치 추정연구를 집대성하여 DB를 구축하고 요약통계량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policy site의 특성과 조건에 맞게 함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함수를 사용하여 policy site의 가치를 예측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총 가치(원/년/가구, 2015년 불변가격)가, 독립변수로는 하천유형, 위치, 규모, 환경 서비스특성, 그리고 방법론 특성, 지불형태, 대상지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모형의 추정결과 조정된 값은.420으로써 종속변수 총변이의 42.0%를 모형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본류에서 멀어지는 소규모하천일수록 하천의 경제적 가치를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영향력 크기를 고려해 본다면 하천을 복원할 때 수질정화기능, 서식지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 여가 및 수변공간으로의 기능 순으로 고려하는 것이 하천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지불방법은 매월, 인당 지불하는 것으로 제시할 때 경제적 가치 추정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모델추정 결과를 활용한 함수이전에서는 만경강의 특성을 반영하고 조정함으로써 만경강의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얻은 만경강 가치 예측치는 가구당 매년 41,214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를 객관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서 충분한 활용 타당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보이며, 편익이전 시에 policy site의 자원특성과 조건에 맞춰 함수를 조정하여 예측치를 제시함으로써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편익이전은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conomic Benefits of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 Yoo, Seung-Hoon;Lee, Gwang-Man;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32-336
    • /
    • 2010
  • 댐 운영 제약조건의 해소, 댐 기능회복, 댐직하류 하천에 대한 치수적 안정성 확보, 댐 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하여 댐 홍수조절과 댐직하류 하천의 연계 등 치수측면을 고려한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조기시행이 요구되었으며, 아울러 일부 댐의 건천방지를 위한 하천유지용량 확보, 하천수질개선, 하천생태계조성, 하천공간조성 등 이수 및 환경 생태 측면에서도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32개 댐 하류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정비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임하댐, 용담댐 3개 댐을 시범사례로 선정하여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에 따른 경제적 편익의 개념을 정립하고 직접 추정하고자 한다. 편익 항목으로 생활용수 공급편익, 공업용수 공급편익, 농업용수 공급편익, 유지용수 공급편익, 발전편익, 홍수조절 편익 등을 고려하였는데, 대청댐은 연간 37.5억원, 임하댐은 연간 60.1억원, 용담액은 연간 42.5억원의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여 3개 댐을 합하면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경제적 편익이 연간 14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편익을 다시 국가 대 한국수자원공사로 배분하였더니 약 38% 대 62%로 계산되어, 현행 부담 비율인 40% 대 60%는 비교적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 Effect Relationship Analysis Among Brand Benefits, Brand Charisma and Repurchasing Intents in Co-brand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브랜드 편익, 브랜드 카리스마와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분석)

  • Kim, Shine;Lee, Jeom-Soo;Kwon, Ki-D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9
    • /
    • pp.4248-4257
    • /
    • 2013
  • This study is to examinate an empirical study how effect of co-brand benefit(symbolic, functional, experiential) and brand charisma upon repurchasing intents in co-brand of agriculture goods, that is first power brand in chungnam provinces if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brand charisma to co-brand influence repurchasing intents. which leads to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se brand charisma would have the moderating role between co-brand benefit and repurchasing intents.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symbolic & functional benefits of co-brand and brand charisma would have a positive affect repurchasing intents. I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brand charisma of agriculture would moderating role between brand benefits and brand rebuying intents in the agriculture co-brand, and the result partially supported that assumption of it. Several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increasing persuasion of agro brand charisma are inferred from the results.

A Study on Estimating Emergency Water Supply Benefits by Dam (댐에 의한 비상용수 공급편익 산정 방안 연구)

  • Yoon, Seul-Ki;Kim, Gil-Ho;Yeo, Kyu-Dong;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40-1544
    • /
    • 2008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일 것으로 추정되는 이상가뭄의 발생빈도가 잦아지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댐의 비상용량을 비상용수로 공급하는 방안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비상용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조차 제시되지 않는 등 다소 생소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상용수 공급의 국내 외 사례와 비상용수 공급편익 산정에 관한 국내 외 연구를 검토하여 댐에 의한 비상용수 공급의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상용수의 수요는 정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특수한 경우이고 용수공급을 대체할 만한 대안이 거의 없는 극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생 공용수의 편익산정 방법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체시설비용법과 같은 편익산정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여의치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비상용량이 사용될 때의 갈수빈도와 갈수피해액의 관계를 설정하고 피해경감액을 추정함으로써 연평균 편익을 산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상용수 공급편익의 합리적인 계량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수안전도의 설정과 이에 따른 이수기능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갈수규모에 따른 비상용수 공급편익의 산정방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비상시 댐의 이수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가치평가를 위해서도 관련분야에 대한 기초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Cost-benefit Analysis of Developing Project for Lime Mineral on the Basis of Case Study (석회석광산 개발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사례 중심으로-)

  • Kwack, Tae-Won;Kim, Hong-Ky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4
    • /
    • pp.713-740
    • /
    • 2006
  • In this paper, we examine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cost-benefit analysis of a resource-developing project as cos and benefit ite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duction in forest product value and the reduction in function to clean air pollution should be included as a environmental cost. However, the reduction in recreation function and function in cleaning water need not to be included. We also calculated a cost-benefit of developing project for lime mineral of A company by applying these factor just mentioned.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net benefit of this project is positive and the range of the value is from 689,900million won to 1,784,000million won.

  • PDF

The influence of brand benefit on the brand extension : focused on trademark belief and categorical similarity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 상표신념의 매개효과와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Lee, Suntaek;Kim, Gwi-G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4
    • /
    • pp.127-135
    • /
    • 2018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rand benefit on brand extens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ademark belief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tegorical similarity. This study restates that brand benefit affect consumers' brand extension attitude and confirms that it is completely mediated by trademark belief.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categorical similarity moderates the effects of brand benefit on brand extension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trademark belief can be used as one of the brand extension strategies and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brand benefits should be changed with the categorical simi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