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수행 부위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3T MR Imaging에 적합한 RF Surface Coil의 개발 : 피부 미세구조에 대한 예비 연구

  • 윤성익;이정우;최보영;이형구;서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48-48
    • /
    • 2003
  • Abstract: 현대 질병의 최종진단은 세포수준의 해부형태학적 연구가 일반적이며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진단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진단에는 In vivo 검사가 거의 불가능하여 주로 생검을 통한 연구만 수행되고 있어 진단함에 있어 단계적인 불편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악성 종양의 전이를 유발시킬 수 있고 또한 생리 및 생화학적 분석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분해능의 RF Surface Coil을 개발하여 In vivo 및 비침습적인 방법인 MR Technology를 이용하고자 한다. Introduction: 피부조직과 같은 미세 인체구조 연구를 위해 고해상도 3T MRI 시스템에 적합한 고분해능의 RF surface coil을 개발하고 있다. In vivo 연구를 위한 여러 parameter를 최적화하여 기능영상에도 부합된다. 비침습적인 In vivo 검사에 의한 세포수준의 극 미세구조의 연구가 가능해짐으로써 과거 시행하던 침습적인 생검없이 각종질환의 진단적 접근이 병리학적 수준으로 향상되어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게 될 것이다. Method: 고분해능의 RF Surface Coil을 제작하여 3T MR 장비에서 피부 미세구조연구에 보다 적합하도록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 실험은 In vivo 연구를 위한 여러 parameter들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하였고 다양한 팬톰들을 이용하여 Tl 강조영상, T2 강조영상을 획득하였으며, SNR을 높이기 위한 개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n vivo 실험은 정상피부에서 다양한 부위에 대한 피부영상의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다. Result and Discussion: 비침습적인 In vivo 검사에 의한 세포수준의 극 미세구조의 연구가 가능해짐으로써 과거 시행하던 침습적인 생검없이 각종질환의 진단적 접근이 병리학적 수준에서 가능해짐으로써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게 될 것이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2 년도 한국과학재단 목적기초연구사업 (과제번호 : R0l-2002-000-00294-0 (2002)) 지원아래 수행되었다.

  • PDF

Ground Vibration Test of the Aircraft (항공기 지상진동 시험)

  • 유홍주;조창민;주영식;김광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a
    • /
    • pp.35-39
    • /
    • 1993
  • 항공기의 플러터 현상을 예방키 위한 개발시의 주요 공학적 임무로는 플러 터 해석, 풍동 플러터 시험, 실기체에 대한 지상진동시험 및 비행 플러터 시 험이 있다. 이들 업무는 군용 항공기의 경우에는 군사 규격서, 민간 항공기 의 경우는 FAR 규정 등에 항공기 개발 및 개조시에는 필히 수행토록 명시 되어 있으며, 특히 개발항공기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초도 비행전까지 필 수적으로 완료되어야 하는 업무이다. 이중 항공기 지상진동시험은 개발항공 기의 초도 비행전에 실기체를 대상으로 하는 구조 동특성 규명시험으로써 플러터 해석 모델의 정확도를 입증하고 그 해석모델을 수정하거나 개선시키 는데 필요한 구조의 동특성 변수들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는 시험이다. 이 시 험은 개발된 항공기의 초도비행허가를 획득하고 비행속도제한을 설정키 위 해서 초도비행 직전에 초도 개발 비행기를 대상으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적 시험이다. 이에 따라 개발된 항공기의 전기체 지상진동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데이터의 모달해석을 하였다.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3개 의 가진기를 사용하였고, 모두 159개의 지점에서 주파수응답 함수를 얻었다. 최대 48 채널의 데이터 획득시스템을 사용하였으므로, 네번에 걸쳐 측정위치 를 옮겨 전체데이타를 획득하였다. 지상진동 시험의 최종해석 결과는 유한요 소 모델의 유효성을 검토하는데 사용되었고, 시험 데이타를 이용한 가진응답 해석(Forced Response Analysis)을 통하여 비행플러터 시험시에 사용되는 플러터 가진기의 위치선정 및 가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이용하였다.ncy)가 저주 파수대로 천이(Lower Shift)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일정한 작업량이라도 작업중량을 줄이고 작업 빈도를 높여서 작업할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작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MVIS의 감소 현상은 작업빈도가 높고 비대칭형 작업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적인 기능으로 보여지는 것에 좁혀서 작업능력의 연령증가 변화에 대하여다원적 평가를 하는 것이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능중에서 수지교 치성과 연령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만약 연령증가 만으로 수지교치성을 평가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이 수지기민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다.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

  • PDF

Development of the Trichomes in Floating Leaves of Salvinia Species (생이가래속(Salvinia) 부유엽 모용의 분화발달)

  • Seo, Ae-Ri;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v.38 no.2
    • /
    • pp.117-124
    • /
    • 2008
  • Salvinia is an aquatic plant forming dimorphic leaves that have been modified into floating and submerged leaves. A air of floating leav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floating and photosynthesis while the submerged leaves, which are lim and long, have the form and function of root. Many aquatic plants develop trichomes in the epidermis but in Salvinia, richomes grow densely in the epidermis of the dimorphic lea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pattern of trichomes developing in the floating leaves of S. natans and S. molesta by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richomes developing in the floating leaves of Salvinia showed very different patterns. In S. natans, they were arranged in a V-shape form, having 20${\sim}$25 rows at $18{\sim}25^{\circ}$ on both sides of the lamina divided by the midrib in the floating leaf. In each row, 8${\sim}$10 oval-shaped cells, $200{\sim}290{\mu}m$ in length, were arranged in a spiral fashion. Four trichomes of this form made a trichome unit, but their apical parts we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d developed into the so-called 'knuckle-crane' type. On the other hand, in S. molesta, trichomes differentiated in a unique pattern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S. natans. At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trichomes protruded from the epidermis and then 4${\sim}$6 cylindrical cells grew $400{\sim}600{\mu}m$ long and the four trichomes formed as an unit. The four grouped trichomes were interconnected through their apex and developed in the 'egg-beater' type. Then $300{\sim}600{\mu}m$ long multi-cellular stalk cells grew and protruded out of the epidermal surface from the basal part of the trichomes. Such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richomes is consider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along with the aerenchyma tissue in the leaf mesophyll tissue for the floating of Salvinia on the water surface.

Roles of Steroid Receptor Coactivator-3 and TTF-1 in Lung Development and Lung Cancer (폐의 분화와 폐암에서 SRC-3와 TTF-I의 역할)

  • Kwak, Inse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5 no.12
    • /
    • pp.1439-1444
    • /
    • 2015
  • Steroid receptor coactivators (SRC) are transcriptional coactivators. Among SRCs, SRC-3 is the most studied in relation to different types of tumors. However, the role of SRC-3 in early lung development and lung cancer has not been well studied. The expression profiles of SRC-3 showed that SRC-3 contributed to bronchial and alveolar development in embryonic lung development. SRC-3 was strongly expressed in Clara cells and type II alveolar cells during fetal lung development (E17.5- E18.5), and SRC-3 was expressed in both cell types in the adult lung. TTF-1 was expressed in the lungs of heterozygote SRC-3 mice and Clara cell-specific-CCSP-TAg tumor mice, along with SRC-3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TTF-1 was localized at transformed Clara cells and multifocal adenocarcinomas in lung cancer mice. However, SRC-3 was not expressed in the multifocal adenocarcinomas, suggesting that SRC-3 might not be involved in the invasiveness of lung cancer. Cotransfection of TTF-1 in Clara cell-specific mtCC cell lines resulted in significant activation of CCSP expression. However, cotransfection of SRC-3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ransient transfection. These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suggest that SRC-3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lung tumor progression. In conclusion, SRC-3 is involved in bronchial and alveolar development in fetal and adult lungs, but it does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ion of Clara cell-derived lung cancer.

The Preliminary Study of Odorant Induced fMRI using an Apparatus of Smell Stimulation Controller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한 후각 fMRI의 기초연구)

  • 강원석;백문영;이현용;신운재;정순철;민병찬;김재형;은충기;문치웅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57-16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인간의 뇌의 활성화 영역을 뇌기능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장치로 측정 또는 가시화하고 이의 임상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선 후각에 이상이 없고 코 수술 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 피험자 4명을 대상으로 5번에 걸쳐 Echo Plannar Imaging(EPI)에 의한 혈액산소농도의존(blood oxygen level dependent : BOLD)법을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의한 뇌기능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각자극은 MRI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후취제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제시된 향은 천연 향의 일종인 lavender-like fragrance를 사용하였다. 향의 제시는 후각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3회의 휴식기관과 2회의 자극기간을 각 30초씩 번갈아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5초 간격으로 각 절편 당 30 영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하였다. Correlation법으로 0.4∼0.7의 문턱치(threshold)범위에서 통계 처리된 뇌의 활성화 영상은 EPI영상과 같은 부위의 T1 강조영상에 overlapping 시켰다. 호흡에 의한 artifact를 제거하기 위해 실험실에 만든 장치로 호흡을 측정하여 post-processing 할 때 반영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fMRI 영상의 신호변화를 관찰하여 활성 영역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후각자극에 의해 뇌의 전두엽 피질(frontal cortex), 소뇌(cerebellum), 그리고 뇌교(pons)에서 활성화된 신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측두엽(temporal lobe)과 뇌섬(insula)에서도 의미 있는 신호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일차 후각영역인 piriform cortex와 entorhinal cortex, amygdaloid complex, 그리고 이차후각영역인 orbitofrontal cotex에서는 그다지 많은 빈도로 신호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OLD법을 이용한 fMRI에 의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활성화영역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량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DISPLACED UNERUPTED MAXILLARY CANINE : CASE REPORT (변위된 미맹출 상악 견치의 교정 치험례)

  • Lim, Hye-Jeong;Choi, Nam-Ki;Kim, Seon-Mi;Yang, Kyu-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2 no.3
    • /
    • pp.543-549
    • /
    • 2005
  •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is a key in esthetics due to its position. Maxillary canine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and so it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The clinicia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 (a) No treatment and observation, (b)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c) autotransplantation (d) extraction. Surgical exposure of the canine and orthodontic treatment to bring the tooth into the line of occlusion is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approach. This case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impacted maxillary canine by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 PDF

The Improved Antigen-binding Activity of Biosimilar Remicade ScFv Antibodies by Fusion of the Leucine Zipper Domain (Leucine zipper도메인의 융합에 의한 바이오시밀러 레미케이드 Single-chain Fv 항체의 항원 결합력 개선)

  • Kim, Jin-Kyoo;Kim, Tae Hw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11
    • /
    • pp.1012-1020
    • /
    • 2020
  • Remicade is a therapeutic biosimilar natural antibody in which the mouse variable domain has been linked to the human constant domain. It is a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and has bee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Remicade antibody, we carried out a bioinformatics study using a protein data bank to characterize the TNF-α antigen binding mechanism of the Remicade natural antibody. Because the production of the Remicade antibody is often limited by genetic instability of the natural antibody-producing cell, we generated a Remicade single-chain variable domain fragment antibody (Remicade) in which a heavy chain variable domain (VH) is joined with a light chain variable domain (VL) by a polypeptide linker. Furthermore, Remicade was fused to a leucine zipper (RemicadeScZip) for higher production and higher antigen-binding activity than Remicade. The Remicade and Remicade ScZip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by a Ni+-NTA-agarose column. As expected, the purified proteins had migrated as 28.80 kDa and 33.96 kDa in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electrophoresis. The TNF-α antigen binding activity of Remicade was not observed by ELISA and western blot. In contrast, RemicadeScZip showed antigen-binding activity. Additional bio-layer interferometry analysis confirmed the antigen-binding activity of RemicadeScZip, suggesting that the leucine zipper stabilized the folding of RemicadeScZip in a denatured condition and improved the TNF-α antigenbinding activity.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소나무과 일부 수종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

  • Ahn, Jeung-Youb;Bae, Jong-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1 no.1 s.49
    • /
    • pp.121-125
    • /
    • 2005
  • Most of the cells, specially in the skin, free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nduced aging, accompanying with diseases. The pinaceae family is very familiar plant with Korean spirit. However, those plants were not estimated for natural products in manufactural process. We employed 4 different plants, Pinus koraienis S et Z. Pinus banksiana LAMBERT. Pinus rigida MILL. Pinus densiflora S. et Z. in pinceae family. The 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for three different parts of plant, wood, bark and leaf,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free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ssay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he bark and leaf part of plants showed similar anti-oxidant effect. L-ascorbic acid and $\alpha$-tocopherol at $10{\mu}g/mL$. Also we tried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s of elastase activity in in vitro experiments on pinaceae plant extract as a matters for functional cosmetics. Among those plants, the bark of Pinus rigida MILL. and Pinus densiflora S. et Z. showed inhibitory effect. The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with MTT assay. The potential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the cell viability and anti-oxidant effect because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vith the cell growth in MTT assay. As the results in our experiments, we expect the potential activities of pinaceae as a material of functional cosmetics.

Evaluation of Caffeine Contents in Major Flower and Leaf Teas (주요 꽃차 및 잎차의 카페인 함량 평가)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4-104
    • /
    • 2020
  • 꼭두서니과 커피속 식물의주요 2차대사산물인 카페인은 커피나무, 카카오, 차나무 등에서 관찰되는 알칼로이드 화합물로 다른 식물의 발아 억제, 살충 기능이 알려져 있다. 인체에 있어 카페인은 각성효과가 있어 수면 장애나 불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섭취를 중단 시 졸음, 두통 등 금단 증상을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다양한 식물 종과 부위를 이용한 차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커피 2종류과 녹차 2종류를 비롯하여 꽃차 37종류, 잎차 15종류, 씨앗차 2종류, 열매차 1종류 및 뿌리차 2종류를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카페인 함량에 대한 정성,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조로 사용된 시판 커피 2개사 제품은 각각 1.18 mg/g, 35.94 mg/g의 caffeine 함량을 나타냈으며 시판 녹차 티백 제품 2종은 1.3 mg/g, 3.42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37종의 꽃차 중에는 차나무 꽃차에서만 1.50 mg/g 수준의 caffeine이 검출되었을 뿐 국내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구절초, 국화, 금계국, 금목서, 금어초, 금잔화, 노랑코스모스, 당아욱, 도라지, 동백나무, 뚱딴지, 라벤다, 마리골드(노랑), 마리골드(주황), 매화, 맨드라미, 무궁화, 백목련, 벚나무, 복사나무, 비단향꽃무, 생강나무, 수레국화, 아까시나무, 연꽃, 유채, 작약, 장미, 진달래, 천일홍, 캐모마일, 패랭이꽃, 팬지, 해당화, 홍화, 히비스커스 등 36종에서는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잎차의 경우 레몬그라스, 레몬밤, 로즈마리, 뽕나무, 세인트존스워트, 스테비아, 쑥, 애플민트, 연잎, 적양배추, 조릿대, 차수국, 티트리, 파인애플민트, 페퍼민트 등 평가된 15종류 모두에서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씨앗차인 펜넬 및 작두콩, 열매차인 진피차, 뿌리차인 자색당근과 비트차에서 역시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할 때, 시판되는 다양한 식물 종과 부위를 이용한 차의 경우 대부분 caffeine을 함유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Brain F-18 FDG PET for localization of epileptogenic zones in frontal lobe epilepsy: visual assessment and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analysis (전두엽 간질에서 F-18-FDG PE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육안 판독과 SPM에 의한 분석)

  • Kim, Yu-Kyeong;Lee, Dong-Soo;Lee, Sang-Kun;Chung, Chun-Kee;Yeo, Jeong-Seok;Chung, June-Key;Lee, My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5 no.3
    • /
    • pp.131-141
    • /
    • 2001
  • Purpose: We evaluated the sensitivity of the F-18 FDG PET by visual assessment and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analysis for the localization of the epileptogenic zones in frontal lobe epileps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frontal lobe epilepsy were examined. All patients exhibited improvements after surgical resection (Engel class I or II). Upon pathological examination, 18 patients revealed cortical dysplasia, 4 patients revealed tumor, and 2 patients revealed cortical scar. The hypometabolic lesions were found in F-18 FDG PET by visual assessment and SPM analysis. On SPM analysis, cutoff threshold was changed. Results: MRI showed structural lesions in 12 patients and normal results in the remaining 12. F-18 FDG PET correctly localized epileptogenic zones in 13 patients (54%) by visual assessment. Sensitivity of F-18 FDG PET in MR-negative patients (50%) was similar to that in MR-positive patients (67%). On SPM analysis, sensitivity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p value. Using uncorrected p value of 0.05 as threshold, sensitivity of SPM analysis was 53%, which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visual assessment. Conclusion: F-18 FDG PET was sensitive in finding epileptogenic zones by revealing hypometabolic areas even in MR-negative patients with frontal lobe epilepsy as well as in MR-positive patients. SPM analysis showed comparable sensitivity to visual assessment and could be used as an aid in the diagnosis of epileptogenic zones in frontal lobe epileps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