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지질환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초

기관지 확장증을 동반한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 1예 (X-linked Agammaglobulinemia Assiociated with Bronchiectasis : A Case Report)

  • 유창민;고원중;김경찬;이병훈;황정혜;강은해;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기창석;김종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6호
    • /
    • pp.628-634
    • /
    • 2003
  • 기관지확장증은 일반적으로 원인을 찾기 위한 광범위한 조사없이 증상적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기관지확장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아는 경우 특별한 치료 방침을 정할 수도 있다.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은 세포질 내 X 염색체에 존재하는 Bruton's tyrosine kinase (Btk)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성숙 B 림프구가 분화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체액성 면역결핍질환으로 반복적인 호흡기감염을 통해 기관지확장증을 유발한다. 이는 드문 유전적 질환으로 조기 발견과 주기적인 면역글로불린 치료가 중요하다. 저자들은 반복적인 감염의 과거력과 함께 미만성 기관지확장증을 가진 성인 남성에서 BTK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여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을 진단하고 치료한 사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최근에 경험한 기관 이물 3례 (Three Cases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Trachea & Bronchus)

  • 이용화;이동수;옥흥남;이선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3.5-4
    • /
    • 1978
  • 기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임상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의 하나로서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많은 보고와 통계 발표가 있었다. 저자는 최근에 경험한 기도이물 3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증례 A 1977년 8월 30일 기침 및 경도의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환자로서 진료인의 소홀로 인하여 이물이 장기간 체류될 뻔 하였던 예로서 이물을 삼킨지 약 25일만에 전신마취로 기관지경술하에 기관 분지부에서 약 2.2cm$\times$0.8cm 크기의 피리(plastic reed)를 제거하였으며 이후 환자의 상태는 급격히 호전되었다. 2. 증례 B 1977년 11월 21일 간혈적 기침 및 호흡곤란으로 본원 응급실에 이송되어 입원한 환자로서 이물제거가 용이치 않아 기관지절개술과 두차례에 걸친 기관지경술을 시행한 끝에 이물 제거에 성공한 예로서 우측 주기관지에서 약 4.9cm$\times$0.3cm 크기의 못을 제거하였으며 이후 폐렴 발생으로 약 5일간 치료를 받고 상태가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3. 증례 C 1977년 12월 19일 간혈적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서 이물 진단하에 기관지경술을 실시하기로 예정하였으나 특이한 증상이 없자 환자가 내원하지 않아 이물제거가 늦어진 예이다. 기관지경술하에 우측 주 기관지로부터 약 2.0cm$\times$0.8cm 크기의 피리를 제거하였다.

  • PDF

좌측 주기관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Chondroma)

  • 김영아;정재한;장윤수;김형중;안철민;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78-83
    • /
    • 2000
  • 기관지내 연골종은 드문 양성 종양으로 폐 절제술 또는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므로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종례는 2년간의 호흡곤란으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아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흉부 전산화 촬영 후 기관지내 결핵 및 악성 종양 의심하에 기관지 절제술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 받고 기관지내 연골종으로 최종 진단 받은 환자로 현재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

  • PDF

좌측 주기관지에서 발생한 과립 세포종 -1예 보고- (Granular Cell Tumor Arising from the Left Main Bronchus - A case report-)

  • 서연호;김경화;김난열;구자홍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44-247
    • /
    • 2006
  • 과립 세포종은 흔치않은 양성 종양으로 주로 피부, 혀, 유방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양은 각기 다른 장기에 동시 다발적으로도 생길 수 있으며, 한 장기에 여러 군데 생기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관지 계통에서의 빈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폐에 발생할 확률은 현재까지 보고된 증례가 약 100예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폐렴증상을 주소로 33세의 남자환자가 내원 후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기관지 내 종양이 발견되어 실시한 조직검사상 과립 세포종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좌측 주 기관지 절개 후 종양 적출술을 받은 다음 기관지 단-단 봉합술을 받았다. 퇴원 후 현재까지 특별한 재발의 징후 없이 1년째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4, CD8 림프구 침윤 (Submucosal CD4+ and CD8+T Lymphocyte Infiltrations in Asthma and Eosinophilic Bronchitis)

  • 이상엽;이승룡;김제형;신철;심재정;강경호;유세화;인광호;이지혜;정운용;김한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59-466
    • /
    • 2003
  • 연구배경 :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은 기도의 호산구성 염증 질환이다. 그러나, 호산구성 기관지염은 천식과 달리 기도의 가역적인 폐쇄와 기도 과민반응이 관찰되지 않는다. 천식은 호산구와 CD4 립프구의 침윤이 특징인데, 최근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호산구와 림프구 침윤의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4, CD8 림프구 침윤의 정도를 비교하여 두 질환의 명인기전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방 법 : 천식환자 17명과 호산구성 기관지염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기관지 내시경하 점막 조직 생검을 시행하고, 기관지 조직에서 CD4, CD8 림프구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CD4 림프구의 중위값($cells/mm^2$)은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에서는 58.6(34.6~92.5), 천식군에서는 50.0(19.9~87.3)이었다. 두 군에서 CD4림프구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41). CD8 림프구의 중위값($cells/mm^2$)은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에서는 46.7(30.0~98.9), 천식군에서는 11.8(5.1~38.5)이었다. CD8 림프구의 수는 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3). 결 론 :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8 림프구의 침윤이 현저하며, CD8 림프구가 호산구성 기관지염의 병인기전과 천식과 다른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데 관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기도질환의 객담세포분석과 mucin의 측정 (Cellular Analysis and Measurement of Mucin in Sputum of Chronic Airway Disease)

  • 김기업;김양기;신찬영;김도진;어수택;김용훈;고광호;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82-92
    • /
    • 2000
  • 연구배경 : 만성기도질환에서 객담내 세포의 성상이 변화가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mucin의 분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임상적인 이용이 제한되어 왔다. 만성기도질환 환자의 객담내 세포성상과 임상적 특성을 단클론항체($HMO_2$)를 이용하여 측정 된 mucin이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최근 개발된 mucin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만성기도질환환자를 대상으로 객담의 세포분석과 mucin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발적 배출된 객당과 고장성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유도객담으로 얻은 검체를 처리하여 전체 세포수와 생존률을 측정하였으며 분별 검사를 하였다. 단클론항체 $HMO_2$가 객담내의 당단백인 mucin과 반응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과 PAS 영색으로 검증하였다. 검증된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효소측정으로 mucin을 정량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와 환자의 입상적인 특성과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 : 기관지확장증에서 전체세포수가 천식과 만성기관지염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분별검사에서 천식 환자에서는 호산구외 증가를, 기관지확장증과 만성기관지염 환자에서는 호중구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환자의 임상적인 특징과 객담에서 측정된 전체 세포수와 생존률 그리고 세포분획과 비교에서 상관관계를 발견 할 수 없었다. 측정된 mucin은 질환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세포의 생존률과 mucin의 양과의 역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밖의 다른 지표사이의 관련은 없었다. 결론 : 만성기도질환의 객담의 분석은 객관적인 질환별 감별 평가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올 보여주고 있으며 객담내 mucin의 분비는 세포의 생존률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의존성(Nondependent) 위치의 공동성 병변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Cavitary Lesions on Nondependent Region)

  • 문수남;김도진;김기업;이상무;김현태;어수택;김용훈;박춘식;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410-415
    • /
    • 1993
  • 연구배경 : 폐농양은 폐 흡인이 중요한 발생기전이므로 dependent한 위치에 호발하나 실제로는 nondependent한 위치에도 상당히 있으며 이 경우 공동성 폐암과 감별을 위해 조기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 임상 양상과 조기 기관지 내시경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바가 없다. 방법 : 저자들은 본 질환의 임상양상과 조기 기관지내시경의 필요성을 조사하기 위해 순천향대학병원 내과에서 입원 치료받았던 15예의 nondependent한 위치의 공동성 병변을 대상으로 각종 임상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30세이후에서 빈도가 증가하였고 남녀비는 6.5:1이었고 평균 연령은 51세였다. 2) 원인 질환은 결핵이 2예이외에 13예 전부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폐농양이었으며 폐암은 없었다. 3) 폐농양 13예중 우측 폐에 12예, 좌측 폐에 1예였고 특히 우중엽에 호발하였다. 4) 기관지내시경 소견은 8명에서 비특이적 점막변화가, 2명에서 기관지 협착이 있었다. 세포검사와 조직검사에서는 악성의 소견은 없었다. 5) 대부분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였으며 임상결과는 양호하였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은 기관지 폐쇄의 다른 증거나 폐암을 시사하는 소견이 없는 한 치료경과를 보면서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nondependent한 위치의 공동성 병변이 있는 경우 기저질환으로 폐결핵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량객혈의 치료에 있어서 기관지동맥색전술의 효과 (Effect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the Treatment of Massive Hemoptysis)

  • 이상경;천호기;윤기헌;유지홍;강홍모;윤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6호
    • /
    • pp.677-682
    • /
    • 1993
  • 연구배경 : 대량객혈은 높은 치명률을 보이는 임상증상이다. 흔한 원인질환으로 결핵, 기관지확장증, 악성종양, 폐국균종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폐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대량객혈 또는 반복되는 객혈로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경우, 원인이 되는 혈관을 찾아 동맥색전술을 시행함으로써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지혈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 1989년 6월부터 1992년 8월까지 본원에 대량객혈로 입원하여 기관지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 20명의 병록과 혈관조영술사진을 조사하여 기저질환, 출혈부위, 색전술의 부위, 합병증 및 재발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1) 대량객혈의 기저질환으로는 폐결핵(14예), 기관지확장증(3예), 폐국균종(2예), 폐흡충증(1예)가 있었다. 2) 색전물질로는 gelform(7예), Ivalon(11예), 그리고 2예에서는두가지를 함께 사용하였다. 3) 색전을 시행한 혈관은 15예에서 기관지동맥, 5예에서는 기타동맥에서 시행하였다. 4) 기관지동맥색전술후 17예(85%)에서는 즉각적인 지혈이 이루어졌고 시행직후 재발한 3예를 포함한 재발율은 50%이었다. 재발한 경우 3예에서 폐엽절제를 시행하였고 1예는 대량객혈로 인한 질식으로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6예는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추적기간(1~29개월)동안 더 이상의 출혈의 재발이 없었다. 결론 : 기관지동맥색전술은 대량객혈과 재발성 객혈의 경우 즉각적으로 지혈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만성적인 폐질환 등으로 수술의 위험이 큰 환자에서도 용이하게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유육종증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nterleukin에 대한 연구 (Interleukin Leve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Patients with Pulmonary Sarcoidosis)

  • 송정섭;안중현;김치홍;김관형;문화식;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1047-1057
    • /
    • 1998
  • 연구배경: 유육종증은 전신을 침범하는 만성 육아종성 질환으로 단핵구성 폐포염이 선행되어 육아종형성을 유도하며, 여러 종류의 cytokine들이 육아종성 염증과 그에 따른 섬유화의명태생리가전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IL-6와 IL-8이 유육종증에서 광범위하게 염증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반면에 IL-10은 단핵구/대식세포와 T림프구의 기능을 억제하여 IL-1, IL-6, TNF-$\alpha$, IFN-$\gamma$ 등의 분비를 감소시키므로써 육아종성 염증반응을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육종증환자들의 폐포세척액내에서 IL-6, IL-8, IL-10의 농도를 측정하고 유육종증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임상적 지표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이러한 lnterleukin들이 유육종증의 병태생리기전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폐조직검사를 통해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유육종증환자 14명과 건강한 정상대조군 6명을 대상으로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시행하였다. 유육종증환자들은 중요 장기(심장, 중추신경, 후방 포도막등)의 침범여부, 고칼숨혈증, 심각한 뼈기능감소 및 질환의 진행여부에 따라 활동성(n=7)과 비활동성(n=7)으로 분류하였고 회수한 폐포세척액을 동일한 조건에서 10배로 농축한 후 ELISA방법을 이용하여 IL-6, IL-8, IL-10을 측정하여 이 Interleukin들의 상호관계와 유육종증의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6농도는 특히 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에서 비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 및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5). IL-8 농도는 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에서 비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 및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IL-10농도는 특히 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 및 비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6농도는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8 농도 및 CD4/CD8 비(比)와 서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에서 IL-6농도가 비활동성 유육종증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이러한 IL-6는 기관지폐포세척액내 CD4/CD8 비(比) 및 IL-8농도와도 상관관계를 보여, 주로 IL-6이 유육종증의 진행과정과 활성화에 종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cytokine으로 생각되는 IL-10의 농도가 유육종증환자의 폐내에서 증가되지 않은 것도 이 질환의 발병이나 진행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유육종증의 치료에 IL-6의 단일클론성 항체나 IL-10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량 객혈과 무기폐를 동반한 기관 골연골증 1예 (Tracheopathia Osteochondroplastica with Recurrent Massive Hemoptysis and Atelectasis: A Case Report)

  • 오인재;주진영;최유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3호
    • /
    • pp.235-238
    • /
    • 2008
  • 기관 골연골증은 기관의 연골조직을 침범하는 원인 불명의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기침과 소량의 객혈 등 경한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는 것이 보통이나, 대량 객혈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치료한 증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45세 여자 환자가 대량 객혈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흉부 X선 상 우중엽에서 우하엽에 걸친 무기폐가 관찰되어 기관지내시경 시행 결과 기관의 앞 벽과 측 벽에 다수의 골성 결절이 관찰되었다. 골성 결절 조직에서는 점막하 골연골종증이 관찰되어 기관 골연골증에 합당한 소견이었다. 그 하방으로 우측 기관지를 폐색 시켰던 혈괴를 제거하여 환자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32개월 후 대량 객혈이 재발하였고 같은 쪽에 무기폐 발생 하여 기관지내시경을 통해 다시 한번 혈괴를 제거한 후 현재까지 객혈 없이 경과 관찰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