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경사 산지하천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lood Analysis Using Distributed Runoff Model in Moutainous Watershed (산지하천 유역에서의 분포형 유출모형을 통한 홍수 해석)

  • Kim, Seung-Joo;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74-1278
    • /
    • 2010
  • 우리나라는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홍수유출 해석 시 집중형 모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집중형 모형은 대개 유역 최하류 지점의 유출구를 기준으로 홍수유출 해석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이 이루어지며, 유역의 매개변수를 소유역별로 동일하게 가정하여 입력 자료를 구성한다. 따라서 산지하천 유역의 홍수유출 해석 및 예측 시 경사가 급하고 고도가 높으며 집중시간이 빠른 산지하천의 지형적 요소 및 특징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여 정확한 예측 및 해석을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분포형 모형은 하나의 유출구가 아닌 임의의 지점에서 홍수유출 해석이 가능하며, 강우자료 입력 시 유역 평균강우가 아닌 분포형 강우, 즉 역거리자승법, 크리깅 기법 등을 사용하여 분포형 강우로 변환한 지점강우와 레이더 강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홍수유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포형 모형은 입력하는 모든 매개변수를 지형 자료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인공적인 해석을 배제할 수 있어 인위적인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강 상류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분포형 모형의 하나인 $Vflo^{TM}$를 사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지형자료만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이 아닌 유역 내 임의 지점의 홍수유출량과 집중시간, 홍수위를 산정할 수 있어 산지하천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홍수를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임의의 지점에서의 설계홍수량을 손쉽게 산정하여 수공구조물 설계 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홍수에 의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ream piracy in the Daebyung Basin, Habcheon, Kyeongnam (합천 대병분지의 하천쟁탈에 관해)

  • Son, Il;Jwa, Yong-Ju;Park, Gyung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41
    • /
    • 2004
  • 대병분지는 경남 합천군 대병면에 소재한 소규모의 산간분지이다. 분지 바닥의 고도는 약 250m이며, 남쪽과 서쪽은 높은 산지로 연결되나 북쪽과 동쪽은 황강 본류와 지류의 계곡과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고원 상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분지 내에는 3곳에서 곡중분수계가 나타난다. 이 중 하나는 하천쟁탈로 형성된 풍극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를 증명할 지형학적 증거로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Importance of Bed Load on Total Sediment Load in Gravel Rivers (자갈하천에서 총유사량에 대한 소류사의 중요성)

  • Park, Sang Deog;Nam, Myeo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64
    • /
    • 2015
  • 하천에서 토사유출, 하상변동, 제방유실 등과 같은 현상은 유사 이송과정에 관련되어 있다. 하천에 대한 다양한 공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유사이송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수에 의한 하상재료 이송과정은 핵심 기작에 따라 부유사와 소류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합이 총유사량이다. 하천에서 유사이송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유사량과 소류사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소류사가 부유사에 비하여 측정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류사량은 현장실측 자료의 수가 매우 부족하나 부유사량 자료의 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실정이다. 홍수 시 하천에서 부유사량은 측정하고 소류사량은 기존 유사량 공식을 이용해 산정하여 총유사량을 추정하기도 한다. 이 같은 총유사량의 신뢰한계는 소류사량 추정 공식에 의존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갈하상 하천에서 측정한 총유사량 중에 소류사량이 차지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자갈하천은 모래하천에 비하여 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빠르며 산지하천이 이 경우에 속한다. 산지하천에서 부유사량의 변동은 하상조건보다는 유역에서 공급되는 토사유출량의 크기에 좌우되나 소류사량은 주로 하상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양양남대천의 실측 유사량에 대한 유사량-유량의 관계곡선 기울기를 보면 부유사보다 소류사의 경우가 더 크며 서로 교차하는 유량조건, 즉 유사량비(=소류사량/부유사량)가 1인 한계유량이 존재한다. 유량이 적을 때는 소류사가 이동하지 않더라도 부유사량이 존재하였으나 유량이 한계유량보다 크면 소류사량이 더 많았다. 소규모 자갈하천인 Oak Creek (Milhous, 1973)에서 조사한 총유사량에서도 한계유량이 확인되고 있다. 모래로 된 대하천에서 유사량비는 현저히 작으며 한계유량도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경사가 급한 자갈하천에서는 한계유량이 존재한다. 이는 하천에서 유량이 증가하고 하상재료가 커지면 총유사량에서 소류사량의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Gagokchon River Estuary According to Topographic Changes (가곡천 하구부 지형변화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Choi, Jong Ho;Jun, Kye Won;Yoon,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7-287
    • /
    • 2017
  • 강원도 산지로부터 발원하여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산지하천의 경우 경사가 급하고 유로연장이 짧아 집중호우시 유사가 하류로 빠르게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동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하천유황과 흐름에 따라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며 퇴적토사가 계절변화에 따라 증가하여 하구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곳이 많다. 이러한 하구폐색현상은 하천 환경적으로 위험지역을 형성하여 하천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고 하천유량의 원활한 소통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되어 재해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대상지역인 강원도 삼척시 가곡천은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하구부에는 경관가치가 뛰어난 솔섬이 위치하고 있으며,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으로 연결되어 있어 유량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하구폐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구폐색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측면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해 장기간 동안의 하천모니터링 작업과 수치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하구의 폐색현상이 하천에서 댐의 역할을 하여 기점수위를 증가시키고 일정수위이상 도달하였을 때 하구가 개방됨에 따라 수리특성이 급격히 변화하여 솔섬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하구가 개방되었을 때의 방향에 따라 솔섬주변 지형에 대한 침퇴적 양상 및 수리특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duction Rate of the Total Runoff Volume though Installing a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지하 빗물저류시설의 설치에 따른 유출 저감 효과 분석)

  • Choi, Gye-Woon;Choi, Jong-Young;Li, Jin-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3 s.134
    • /
    • pp.455-464
    • /
    • 2003
  •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with installing a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were conducted and the reduction rates of the total runoff volume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 variations of the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verage and surface slope. The reduction rate of the runoff volume was varied from 42.3% to 52.9% with the soil in the bank of the Seung Gi stream. In the experiments, the rainfall intensities were varied from 40mm/hr to 100mm/hr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 runoff reduction can be obtain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The variation of the stored volume in the tank is very large in the mild slope but very small in the steep slope with over 3% slope. With this results, the reduction of the direct runoff volume for the longtime flood is expect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region haying the steep slope such as the mountain area.

Comparis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According to Factors to Environmental Change in Mountainous Watersheds (산지유역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유출 및 토사유출 특성 비교)

  • Park, Sang Deog;Shin, Seung Sook;Kim, Seon Jeong;Lee, Jong Seo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1-201
    • /
    • 2011
  • 산지유역의 지표 환경이 급격히 교란된 지역에서 집중 호우가 발생하면, 과대한 토사유출로 인해 하천유역 홍수 재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지역, 벌목지역, 도로공사지역과 같이 산지환경이 급변한 지역을 토사유출 시험유역으로 운영하였다. 세 개의 시험유역 중에 지표교란이 심각한 도로공사시험유역에서 강우유출 및 토사유출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그림 1은 각 시험유역별 강우강도에 따른 첨두유량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산불 후 10년이 경과된 급경사 산불시험유역이 벌목시험유역보다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많았다. 벌목시험유역은 벌목이후 잔류물과 빠른 식생회복으로 지표상태가 빠르게 안정화되어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적게 발생하였다. 도로공사 시험유역 나지사면에서 시행된 사면처리 공법 시공 전 후로 토사유출량의 변화가 현저히 크며(그림 2), 이는 공사를 진행하는 중에 적절한 사면관리 처리를 통한 토사유출량 저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Relieves at Each Geological Are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using GIS (GIS를 이용한 경상북도 지질 지역별 지형 기복의 분포 특성)

  • KIM, Dae-Sik;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3
    • /
    • pp.49-57
    • /
    • 2010
  • The topographical roll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10 geological areas in Gyeongsangbuk-do are analyzed using GIS. PEs, PEgrgn, Pp2, Kav·Kiv, and Khgr regions occupy the more than 60% that are a steep slope-a high elevation and a steep slope-a middle elevation region, and form high moutains in Gyeongsangbuk-do. Meanwhile, Ke1-9 and Te1-2 regions take possession of the more than 70% that are a low elevation region. Ke1-9 region form landward flatlands and hills around Nakdong river and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in Gyeongsangbuk-do. Then, Te1-2 region form coastal lowlands adjacent the East sea in Gyeongsangbuk-do. Also, Jgr region take possession of the more than 70% that are a middle elevation region, and form low moutains or flatlands in Gyeongsangbuk-do. Finally, Ols1 region take possession of the more than 50% that are a steep slope region, and form landward moutains in Gyeongsangbuk-do.

Improvement of River Revetment in Kangwon (강원도 하천호안공법 개선방안)

  • Park, Sang-Deog;Choi, Han-Kyu;Choi, Jong-In;Choi, Heung-Sik;Ho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5-490
    • /
    • 2009
  • 강원도의 약 89%가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원지역 주민의 거주지는 대부분 홍수 피해를 강하게 받는 계곡이나 하천변에 잡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의 피해 위험이 높다. 따라서 홍수 시 생활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강원도의 하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호안공법은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계나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인공시설물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자연형 호안공법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1개 국가하천 6개 지점, 214개 지방하천 2,760개 지점에 대한 하천 호안공법의 종류, 식생상태, 하천특성, 호안파괴 특성 등을 조사하고 하천호안공법 적용 하천특성과 호안공법, 식생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강원도형 호안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에 설치된 호안공법은 망태형, 붙임형, 블록형, 쌓기형, 옹벽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망태형 25%, 옹벽형 20.1.%, 블록형 18.3%를 차지하고 있으나 영서지역 하천은 쌓기형 32.9%, 망태형 19.2%, 옹벽형 16.6%를 나타내고 있다. 두 지역에서 옹벽이 16%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아 홍수 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큰 옹벽을 통한 호안보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옹벽을 제외하면 하천평면이 호안공법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하천경사나 하천재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파괴의 원인은 홍수 시 하상의 세굴이다. 그러나 옹벽호안은 국부적인 하상세굴에도 콘크리트 구조특성으로 쉽게 파괴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 하류지점에 설치된 돌망태 호안은 하상저하와 보에 의한 유향변동으로 발생된 강한 수충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안의 식생 활착은 블록형, 망태형, 쌓기형 호안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형이나 쌓기형 호안은 영동지역보다는 영서지역에서 높은 식생 피복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와 호안의 침수빈도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블록형 호안은 지역 구분 없이 식생피복도가 높고 하천경사나 재료특성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하천호안공법으로 우수한 기능을 한다. 시급히 식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블록형 호안이 추천되며 호안공의 안정성과 식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망태형 호안공법이 추천된다.

  • PDF

Hydro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Change of Oegogae Wetland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 외고개습지의 수문지형특성과 경관변화)

  • YANG, Heakun;LEE, Haemi;PARK, Kyeong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1
    • /
    • pp.29-38
    • /
    • 2010
  • Oegogae wetland is sub-alpine wetland which is formed in piedmon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Apparently Oegogae wetland seems to be well-protected wetland. Most alpine wetlands are located in the summit area, but Oegogae wetland is located in piedmont area which is transitional zone between the steep slope and relatively flat valley bottom. Oegogae wetland is active in terms of sedimentation and exceeds 1m in depth. Penetration tests show that composing material is soft such as peat and organic-rich sediment. Basal rock of the basin is gneiss and gneissic schist in general, which is good for the formation of wetland because those rocks are easy to form low permeability layer. Baseflow from the wetland takes control of the most of stream flow during the wet season and this is especially true during the dry season. Precipitation during the wet season increases water content and base flow from the wetland.

Determination of Instreamflow Requirement for Upstream Urban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 상류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u;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8 s.169
    • /
    • pp.703-716
    • /
    • 2006
  • The flow duration curves in the present and the ideal hydrologic cycle were derived using SWAT model. The present situation is the landuse and the groundwater withdrawal in the year of 2000 and the ideal situation is the landuse of 1975 and no groundwater withdrawal.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instream flow requirements which are the larger flow between the average drought flow and environmental control flow. As a result, the present and ideal drought flows of Ojeoncheon, Hakuicheon, Samseongcheon, and Sammakcheon, were the same and the drought flows of Samseongcheon and Sammakcheon were even zero since the baseflow is very little due to the small and mountainous watersheds. The previous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the riverine function is also larger than the low flow of the ideal hydrologic cycle. The present method to set the instream flow requirement is not proper for the small mountainous watershed since it can be usually overestimated and drive the artificial measures to secure the streamflow Therefore, another method should be developed such as the low flow and the average flow between the drought flow and the low flow of the ideal hydrologic cycle using the proper hydrologic simulation model such as SWAT which can consider the land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