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duction Rate of the Total Runoff Volume though Installing a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지하 빗물저류시설의 설치에 따른 유출 저감 효과 분석

  • Choi, Gye-Woon (Dept. of Civil & Environ. System Engineering, Univ. of Incheon) ;
  • Choi, Jong-Young (Dept. of Civil & Environ. System Engineering, Univ. of Incheon) ;
  • Li, Jin-Won (Water Resour. & Environ.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ICT)
  • 최계운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최종영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진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with installing a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were conducted and the reduction rates of the total runoff volume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 variations of the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verage and surface slope. The reduction rate of the runoff volume was varied from 42.3% to 52.9% with the soil in the bank of the Seung Gi stream. In the experiments, the rainfall intensities were varied from 40mm/hr to 100mm/hr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 runoff reduction can be obtain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sub-surface. The variation of the stored volume in the tank is very large in the mild slope but very small in the steep slope with over 3% slope. With this results, the reduction of the direct runoff volume for the longtime flood is expect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rainfall storage tank in the region haying the steep slope such as the mountain area.

본 연구에서는 지하 빗물저류시설 설치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실내 모형 빗물저류장치를 설치하여 강우강도 변화, 표층의 피복상태 변화, 표면경사 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대상하천인 승기천의 토양조건하에서 강우강도가 40mm/hr-100mm/hr일 때 총유출량 감소는 42.3-52.9%로 나타났으며, 지하 빗물저류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사변화에 따른 총유출량의 변화는 완만한 경사에서는 매우 크게 나타났으나 3%이상의 급경사에서 침투에 의한 저류량에 변화가 적고, 이는 산지와 같은 급경사지역에 빗물저류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장기간의 홍수에 대하여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하천이나 산지의 급경사에도 큰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1). 투수성 빗물유출저감시설 설치기준 제정
  2. 김현수 (2002), 인천 도심지역의 빗물이용 방안 연구. pp. 2-4
  3. 배상근 (2000). 빗물침투에 의한 지하수 함양과 적용 사례. 기초과제 연구보고서, 한국수자원학회, pp. 311-326
  4. 서울특별시 (2000). 빗물유출 저감시설 시범사업 검토 연구
  5. 여운광, 이종국, 심재현, 김종수 (2000). '도시 빗물유출 저감을 위한 침투형 맨홀의 효과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6-B호, pp. 795-800
  6. 윤여진, 이재철, 김재한 (2000). '빗물저류시설의 시공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81-384
  7. 이도훈 (2000). 미국의 빗물침투 적용사례 및 침투시설에 관한 고찰. 기초과제 연구보고서, 한국수자원학회, pp. 329-342
  8. 이종국 (1999). '빗물유출 저감기설을 통한 치수방재효과의 실시간 측정기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 44-48
  9. 이재응, 여운광, 심재현, 강태호 (2001). '투수성 포장재를 통한 유출저감 효과 분석.' 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1호, pp. 38-44
  10. 조원철 (1999). '서울특별시 호우유출 저감시설 시험사업.'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 32-43
  11. 장복진, 여운광, 이종국 (2002). '현장자료를 이용한 침투집수정의 유출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281-286
  12. 최계운 등 (2001). '투수성 유출저감시설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30-1235

Cited by

  1. Evaluation of ground characteristics near underground rainfall storage facilities using shear wave velocity vol.16, pp.2, 2014, https://doi.org/10.9711/KTAJ.2014.16.2.225
  2.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lood Reduction Effects of Storm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Measures at a Catchment Scale vol.14, pp.4,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