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강자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echnical Reviews on Ecosystem Modeling Approach and its Applicability in Ecosystem-Based Coastal Management in Saemangeum Offshore and Geum River Estuary (생태계기반 연안관리를 위한 생태모델 개발방향에 대한 기술적 검토 - 새만금 외해역 및 금강 하구역 사례)

  • Kim, Hae-Cheol;Kim, Yong Hoon;Chang, Won-Keun;Ryu, J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8 no.3
    • /
    • pp.233-244
    • /
    • 2015
  • Marine ecosystem modelling has become a more widely used decision-making tool in coastal ecosystem-based management. However, it is not trivial to develop a well calibrated/validated model with potential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because understanding ecological processes with complexities i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robust ecosystem models and this accompanies a great deal of well coordinated efforts among field-going ecologists, laboratory scientists, modelers, stake-holders and managers. This report aims to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on two different approaches in marine ecological models: deterministic (mechanistic) and stochastic (statistical) approach. We also included definitions, historical overview of past researches, case studies, and contextual suggestions for coastal management in Korea. A long list of references this report included in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n introductory material for those who wish to enter ecosystem modelling field.

Vascular Plants of Mountain Ridge from Cheonwangbong-Hyangjeokbong Section in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 지리산 천왕봉-덕유산 향적봉의 식물상)

  • 임동옥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359-386
    • /
    • 2003
  • The vascular plants in Baekdudaegan of the South Korea were recorded of 1,477 taxa; 126 families, 641 genus, 1,248 species, 3 subspecies, 204 varieties, 22 forma. From the floristic point of view, Jirisan, Backunsan and Duckyusan District in the Baekdudaegan belongs to the southern province in Korea, appeared to Cephalotaxus koreana, Lindera obtusiloba, Lindera erythrocarpa, Lindera glauca, Izex macropoda, Meliosma myriantha, Melisoma oldhami and Stewartia koreana. But on the top regions of these mountains more than 1,000m above the sea level were contained many alpine plants. And on the top regions and ridgeline parts of Duckyusan and Jirisan were the middle province, owing to Betula costata, Betula ermani, Ulmus laciniata, Isopyrum raddeanum, Hylomecon vemale, Viola diamantica, Vaccinium koreanum, Heloniopsis orientalis, Disporum ovale, Symplocarpus renifolius and Veronica arvensis. These results were epresented that plant species of the middle province moved to the South along the ridgeline of Baekdudaegan, on the other hand plants of southern province had biological niche of low ground according to go toward the North.

The Monitoring of Eel-ladder in Geumgang Estuary Bank, Yeongam Embankment and Asanman Embankment (금강하굿둑, 영암방조제, 아산만방조제 뱀장어 전용어도 모니터링)

  • Jae Goo Kim;Yun Jeong Cho;Cheol Woo Park;Jong Wook Kim;Yu-Sin Shin;Min-Young Im;Younghee Song;Wonjang Kim;Yoon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2
    • /
    • pp.167-174
    • /
    • 2022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moted the installation of eel-ladder for the purpose of creating inland water resources. Currently, eel-ladder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Geumgang Estuary Bank (2018), Yeongam Embankment (2019), and Asanman Embankment (2020). In this study, the number of glass eels in eel-ladder in 2021 was monitored and factors affecting the rise that from ocean to river of eels were investigated. Glass eels in eel-ladder were found when the salinity was relatively low, and they started when the freshwater and seawater temperatures were above 20℃. Compar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glass eels was observed in 2021, but it is judged that this is no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glass eels in sea, but rathe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or's eel-ladder repair and guidance on illegal fishing.

단면조도계수를 이용한 자연하천 유량 산정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Whan;Lee B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59-1163
    • /
    • 2005
  • 자연하천에서의 유량측정은 직$\cdot$간접유속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홍수기는 주로 봉부자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고 평$\cdot$갈수기에는 파샬플룸이나 유속계에 의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측정지점의 상태 또는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시키고 연속적인 관측의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자연하천의 기본적인 수리학적 정보와 하천의 수리특성을 나타내는 조도계수를 유량규모별로 추정하여 유량을 산정하는 기법을 활용하여 자연하천 유량자료의 연속적인 획득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점으로 금강 대청댐 하류 공주지점을 선정하여 2003년$\~$2004년의 유량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유량 측정하고, 단면의 적절한 조도계수를 추정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실측값에 근사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향후 수문해석, 유출분석등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Monthly Frequency Analysis Using Observed and Simulated Runoff (관측 및 모의 유출량에 의한 월별 빈도분석)

  • Maeng, Seung-Jin;Lee, Soon-Hyuk;Na, Sang-Il;Lee, H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6-72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내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관측된 유출량과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에서 프런티어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RRFS에 의한 모의 유출량을 강우대비 유출률을 분석하였을 때 현재 시점에서 유입되는 유출량이 어떠한 기준값에 근접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1983년부터 2004년까지의 관측 유출량과 동일기간 내에 RRFS에 의한 모의유출량을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유입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몇 년 빈도에 해당하는지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된 빈도분석 방법은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에서 활용하고 있는 Log-Pearson Type 3분포를 적용하였으며, 빈도계수법에 의해 빈도별 갈수량 및 홍수량을 추정하였다. 이상의 분석 자료에 의해 구해진 빈도별 유입량은 향후 자료의 축적을 통해 지속적인 갱신과 운영자에 의한 활용방안이 보완되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Rainfall-Runoff Management Module (유역유출 상황 모듈 개발)

  • Maeng, Seung-Jin;Hwang, Man-Ha;Lee, Sang-Jin;Kim, Eu-Ge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89-1092
    • /
    • 2009
  • 유역유출 상황 모듈은 금강수계의 강우-유출 예측 시스템에 의해 모의된 소유역 및 지점에 대한 유출량과 관측유출량 및 강우량에 대한 상호관계를 물관리를 위한 운영자의 의사결정 보조 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유역유출 상황 모듈은 하천현황, 강우, 유출, 용수부분으로 구분하여 소유역 및 지점별 면적 강우량과 유출량에 관한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역유출 상황 모듈의 기본 요소는 강우량과 유출량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지표인 강우비와 유출비로 하였다. 이들 지표는 해당월평년과 해당월에 대한 값의 비로 하였다. 강우비와 유출비의 변화에 의해 소유역 및 지점의 유출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유역유출 상황 모듈의 최종적인 목적은 현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에서 생산중인 유출월보의 콘텐츠인 용수이용량, 월별유출량, 지점별 강우-유출 현황을 원활하게 생산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a Pollutant Flow Tracer Test in River using Radioactive Isotope (하천에서 추적자를 이용한 오염물질 거동분석)

  • Kim, Ki-Chul;Lee, Jong-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400-406
    • /
    • 2009
  •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the movement of polluted substance that is flown into the riv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persion, the experiment that used the RI (Radioactive Isotope) tracer in the river was undertaken, and by using the experiment result, the figure modelling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general type of pollutant dispersion. 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more accurate dispersion range and moving time, the experiment was done in about 2km from the measuring points of Namdae Stream around the Yongdam Dam of the upper Geum River to the lower stream. In order to find out the flow of river and dispersion of polluted substance, RMA (Resource Modeling Associates)-2 and RMA-4 program are used in study. The site experiment using the RI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in the applied area and the same area,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zone was set for 1km with the slight difference for site situation and measured the density date of one second distance through the NaI apparatus to measure the density data of one second interval. On the basis of this measured data, it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 of figure copy of the models to mak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nsity distribution following the change in expansion coefficient that makes great influence on expansion range and dispersion in natural rivers.

Spatio-temporal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water cloud model and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Sentinel-1 SAR 위성영상과 Water Cloud Model을 활용한 시공간 토양수분 산정)

  • Chung, Jeehun;Lee, Yonggwan;Kim, Sehoon;Jang, Wonji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28
    • /
    • 2022
  • 본 연구는 용담댐유역을 포함한 금강 유역 상류 지역을 대상으로 Sentinel-1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한 토양수분 산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Sentinel-1 영상은 2019년에 대해 12일 간격으로 수집하였고, 영상의 전처리는 SNAP (SentiNel Application Platform)을 활용하여 기하 보정, 방사 보정 및 Speckle 보정을 수행하여 VH (Vertical transmit-Horizontal receive) 및 VV (Vertical transmit-Vertical receive) 편파 후방산란계수로 변환하였다. 토양수분 산정에는 Water Cloud Model (WCM)이 활용되었으며, 모형의 식생 서술자(Vegetation descriptor)는 RVI (Radar Vegetation Index)와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활용하였다. RVI는 Sentinel-1 영상의 VH 및 VV 편파자료를 이용해 산정하였으며, NDVI는 동기간에 대해 10일 간격으로 수집된 Sentinel-2 MSI (MultiSpectral Instrumen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WCM의 검정 및 보정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10 cm 깊이의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에서 실측된 6개 지점의 토양수분 자료를 수집하여 수행하였으며, 매개변수의 최적화는 비선형 최소제곱(Non-linear least square) 및 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WCM을 통해 산정된 토양수분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를 활용하여 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River Water Use Monitering System by Image (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수집시스템 개발)

  • Kim, Chi-Young;Won, Yoo-Seung;Cha, Jun-Ho;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43-1847
    • /
    • 2008
  • 국토해양부는 수자원 상황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하천수 관리자, 하천수 사용자 및 일반 국민에게 하천유량, 사용량 및 기타 수문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시범 구축하였다. 향후 유역 물수지, 하천갈수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추가하여 전국의 하천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실시간 물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구축된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하천 유량 등 수문정보와 더불어 하천 취수량 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물관리의 핵심자료인 하천수사용량을 실시간 수집할 수 있는 "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하천수사용량 수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유량계 혹은 전력량계를 통해 표출되는 관련정보를 CCTV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활용 수치로 변환하여 사용량을 제공해 주는 시스템이다. 관리자는 영상을 촬영한 후 문자로 인식된 사용량 주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량과 함께 현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한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유량계, 전력량계로 구성되어 있는 계측시설에 대해 적용이 용이하고, 기존 유량계 등을 그대로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하천수사용량 자료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현재 국토해양부에서는 "하천법"에 근거하여 용도별 일정규모이상의 하천수사용자에 대해 일사용량을 월별로 수집하고 있으나, 자발적인 선사용 후보고 체계로 객관성확보가 어렵고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이 곤란한 상황이다. 그러나, 본 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사용량을 수집할 경우 실시간으로 수치화된 사용량과 영상자료가 전송되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시스템은 한강 홍수통제소 관할 허가지점에 3개소, 금강 관할 허가지점에 1개소에 시험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저비용으로 하천수 취수량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 Kim Yong-Shik;Oh Hyun-Kyung;Koh Myong-Hee;Beon Mu-Su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4
    • /
    • pp.415-436
    • /
    • 2004
  • The vascular plants species were summarized as 479 taxa: 89 families, 260 gents, 404 species, 66 varieties, 8 forms and 1 hybrid in the whole 6 surveyed areas of eastern parts of Jirisan (Georim Valley, Baeng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Sesokpyongjeon, and Chonwangbong).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26 species were recorded: Athyrium excelsius (Aspidiaceae), Abies koreana (Pinaceae), Betula ermani var. saitoana (Betulaceae) etc. The special plants from the list of Ministry of Forest,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7)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15 species were recorded: Smilacina bicolor (Liliaceae), Disporum ovale (Liliaceae), Clematis chiisanensis (Ranunculaceae) etc. And 15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Oenothera biennis (Onagraceae),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Carduus crispus (Asteraceae), etc. Especially, the Korean endemic plants repeatedly appeared around mountain-trails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also, popular were distributed in the entire studie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