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강연(金剛淵)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storation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 Mt. Geumgang Tourism (금강산(내금강) 관광을 위한 남북연결 교통망에 관한 연구)

  • HONG, Gil-Jong;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51-64
    • /
    • 2019
  • Mt. Geumgang has been a scenic spot representing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a symbol of inter-Korean exchanges with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after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Mt. Geumgang Tour Course is divided into the Inner-Geumgang (Naegeumgang) and the Outer-Geumgang (Oegeumgang). It was common for the Mt. Geumgang tour rout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Imperialization period to enter the Inner-Geumgang, near Seoul, and come to the East Sea through the Outer-Geumgang. However, the tour route starting from Goseong was utilized for the Mt. Geumgang tour course operated by Hyundai. Because North Korea opened only the Outer-Geumgang area. North Korea has only opened some of its tour courses to Hyundai, but if Geumgang tourism is resumed in the futu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opened further, such as opening some sections of the Inner-Geumgang in 2007.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nnect additional transportation networks to access Inner-Geumgang from South Korea. The best alternative was the restoration of the Mt. Geumgang Railway.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Mt. Geumgang Railway can not be comple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Imnam Dam, it is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restore Route 31 connecting Yanggu and Geumgang-e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oad connecting Inner-Geumgang, three routes were confirmed. All of which were adjacent to the existing National Route 31. These routes passing through Dutayeon and Mundeung-ri and joining the Route 31 from Inje. Considering road length, topography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facility layout, it seems that the connection of 'Dutaeyun - Mundeung - Geumgang' is a realistic alternative connecting from South Korea to Inner-Geumgang.

Consideration II of Traditional Recognition on Origin of the Han River and Oriental View Point of Water - Centering on Buddhist Idea - (동양사상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인식 고찰 II -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 Youm, Jung-seop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191-222
    • /
    • 2011
  • Traditionally, the origin of the Han River has been thought as Utongsu(于筒水) and Geumgangyeon(金剛淵). As both of these places are located in Odaesan(五臺山) the $Ma{\tilde{n}}ju{\acute{s}}ri$(文殊) Holy Place, we can well assume the possibility of Buddhist influence on them. In the Buddhist understanding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hat we should first notice are 'the recognition on the water of Buddhism' and 'the recognition on the river in Indian culture.' With the reviews, we may come to see by what standpoint these could become existed, if there were Buddhist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of Han River's origin. Based on these Buddhist and Indo-cultural view points, the author tries to make more dearly the definition of Utongsu and Geumgangyeon that are recognized as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rough it, we can check the relation of Buddhism and Indian culture in their influence on the concepts of Utongsu and Geumgangyeon. In Indian culture, what is noticed in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river is Anavatapta, in which the sacredness of the water named the 8 virtuous waters is recorded. It is the materialistic sacredness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sacred feature of Utongsu that "its color and taste are far greater than other waters, and so is its weight. ${\cdots}$ Its color and taste do not change even after it flows into the Han River." Furthermore, both of Anavatapta and Utongsu have the same symbolism of dragon that the highest dragon king and a divine dragon were told to live in respective lakes. This similar structure found in the recognition of two rivers' origin may become an evidence of Buddhis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it may be natural that there is the Buddhist culture in it. At the same time, some viewpoints of Chinese culture can be found in it. So,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Han River's origin comprises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ndian and Chinese cultures together.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 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4
    • /
    • pp.272-280
    • /
    • 1993
  • The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salinity and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value) have been monitored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the concentrations of suspended matters show great seasonal variations with low concentrations during summer season and high concentrations during winter season. During the flood season of summer, water salinities are less than 5% in the Keum estuary, and the brackish water (salinity<28%) prevails seaward covering the entire coastal area. The concentrations decreased abruptly to the seaward from higher than 100mg/l in the Keum estuary to less than 5 mg/l in the offshore. These phenomena probably results from the rapid e\deposition of riverine suspended matters within the Keum Estuary. The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 concentration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are interpreted as the cyclic (seasonal) sedimentation process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at is, replenishment and deposition of fine sediments in summer, and resuspension and seaward transport in winter.

  • PDF

한반도 하구역 실뱀장어 이석의 미세구조

  • 문형태;김광천;이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66-267
    • /
    • 2002
  • 실뱀장어 재료는 1998년 한국의 제주도 천제연, 낙동강 그리고 금강 하구 세 곳에서 실뱀장어 주 소상 시기 3개월 동안 채집하였다 실뱀장어는 조류가 강하고 어두운 밤에 활동성이 강하므로 각 월의 그믐 때 채집하였다. 제주도 천제연 하구에서는 손전등으로 빛을 비추고 뜰채(dip nets)를 이용해 채집하였다. 채집에 이용된 뜰채는 망직경이 20cm 정도이며 망목(stretched mesh width)은 1 mm 이었다. (중략)

  • PDF

인터뷰 - 박찬규 (주)태일 대표이사

  • Jo, Na-Ri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41
    • /
    • pp.102-104
    • /
    • 2021
  • 식품 및 생활용품을 위한 연포장재를 생산하는 연포장전문기업 (주)태일은 1985년 박노욱 회장이 설립한 금강화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95년 태일알미늄(주), 2008년 태일화학(주) 등을 거쳐 2009년 (주)태일이 탄생했다. 현재 경기도 안성에 수출품목을 주로 생산하고 있는 제1공장 태일알미늄(주)(대표이사 박준규)과 국내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는 제2공장 (주)태일(대표이사 박찬규)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높은 품질과 신뢰를 바탕으로 연포장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에 성공한 (주)태일의 박찬규 대표이사를 만나 태일만의 강점, 경영 노하우 등 성공 비결을 들어보았다.

  • PDF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for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Geum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 수문기상인자의 특성 분석)

  • Ahn, So-Ra;Park, Jin-Hyeog;Chae, Hyo-Seo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5-1559
    • /
    • 2010
  • 본 연구는 미래 물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도출 연구의 사전연구로서 금강유역의 과거 기상 수문요소의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자료로 금강유역 기상관측소 8개소의 37개년(1973~2009)의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천수위자료는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성 문제, 이후 수행될 장기유출분석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공주, 규암 수위관측소의 36개년(1973~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지하수위자료는 강우관측소와 근접하게 위치해 있으면서 과거 자료를 최대한 많이 보유하고 있는 6개 관측소의 10개년(1999~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왜곡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여 연 계절별로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변화를 파악한 결과 기상인자 중 강수량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 경년별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수위보다는 지하수위가 경년별 변동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지속성 분석을 위해 Run 검정, Turning Point 검정, Anderson Exact검정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에 주기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온과 강수는 무작위성, 상대습도, 하천수위는 지속성을 가지는 인자로 분석되었고 지하수위는 관측소별, 기간별로 무작위성과 지속성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향성 분석을 위해 단순 선형 회귀분석과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기온은 연 계절 모두 증가경향이 나타났고, 강수량은 여름에만 증가경향이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천수위는 감소경향이 나타났으며 지하수위는 유의수준 범위에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자원의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 물 관리 적응기술 개발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design flood derived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금강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 Da Ye Kim;Seung Jin M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4-104
    • /
    • 2023
  • 최근 2017년 청주, 천안의 홍수, 2020년 용담댐 상류와 대청댐 상류의 홍수, 2022년 청주의 도시침수를 비롯한 서울 도심의 침수피해와 같은 홍수 발생은 지역의 국민들에게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히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치수의 목적을 달성하고 경제적으로 적절한 규모의 수리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 하천의 주요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설계홍수량의 제시는 반드시 필요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특히 해당 지점의 수리시설물은 점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적용하나, 관측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점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은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한 수위관측소의 선정은 금강유역 80개 수위관측소 중 장기간 연최대홍수량 자료가 있고 유량자료의 연결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46개수위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46개 수위관측소의 연최대홍수량 계열을 대상으로 동질성, 독립성 및 이상치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세 가지 검정 모두 적절한 수위 관측소 지점은 36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36개 수위관측소의 기본통계치(평균, 표준편차, 분산, 왜곡도 및 첨예도)를 산정한 후 3변수 Gamma 분포 계열인 GEV, GLO, GPA의 확률 분포를 적용하였다. 확률 분포별 매개변수는 전산화를 통해 L-모멘트의 차수를 0~4까지 변화시켜 LH-모멘트법에 적용하였다. LH-모멘트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 분포들의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해 36개 수위관측소를 K-Means clustering 방법을 통해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LH-모멘트의 적정차수와 확률 분포에 따른 점빈도분석(지점 대상)과 지역빈도분석(지역 대상) 결과인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으며,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홍수량간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리구조물 설계 시 안정적인 조건 제시 및 관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방재대책 수립 시 경제·사회적 요소를 반영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Geum-river Estuary (금강하구의 환경가치 평가)

  • Kwon, Young-Ju;Yoo, Seung-Hoon;Park, Se-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5
    • /
    • pp.417-429
    • /
    • 2013
  •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environmental value of Geum-river estuary for rational management decision-making.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properties of the Geum-river estuary, we appli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400 and 600 households of the Geum-river estuary-neighboring area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and other nation-wide large districts (except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and Jeju-do), respectively, and carried out person-to-person interviews with subjects on their willingness-to-pay for the estuar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system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that is 1,497 won for the residents from the Geum-river estuary-neighboring area and 4,343 won for the residents from other nation-wide large districts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year.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ggregate values of the Geum-river estuary for the estuary-neighboring area and other nation-wide large districts amount to 2.13 and 70.15 billion won, respectively, per year. This quantitative value deduced from the current study, could be a useful baseline fact for any decision-making process particularly i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olicies for the Geum-river estu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