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의 호르몬에 의한 조절 (Hormonal Regulation of the Caprine $\beta$-Lactoglobulin Gene Promoter Activity)

  • 김재만;김경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6-432
    • /
    • 1995
  • 유선 조직에서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발현은 프롤락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인슐린등의 유촉진 호르몬들에 의해서 강력하게 유도된다. 이와 같은 호르몬 유도의 조절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양 유선 세포인 HC11 세포에서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유촉진 호르몬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베타-락토글로불린 프로모터의 5'- 조절 부위를 연쇄적으로 제거한 발현 실험에서 호르몬 유도를 크게 변화 시키는 두 지역이 관찰되었다. 조절 부위의 -1692의 상류지역은 하류 프로모터를 강력하게 활성화 시키는 부위로, 주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체인 덱사메타손의 작용을 매개하였다. 그러나 두번째 지역의 유도 작용은 인슐린 처리를 병행하지 않을 경우 상류 조절부위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선세포에서 유촉진 호르몬들에 의한 베타-락토글로불린 프로모터 활성 유도가 인슐린에 의한 탈 억제화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프롤락틴에 의한 활성화의 복합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두번째 지역에 의한 덱사메타손 유도는 -700 부근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부위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Lentivirus System을 이용한 Glucocorticoid 유도 Reporter 유전자 발현의 분석 (In vitro Analysis of Glucocorticoid-induced Reporter Gene Expression Using Lentivirus System)

  • 이미숙;김지연;허송욱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85
    • /
    • 2007
  •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은 이 호르몬에 의해 활성화된 수용체가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 혹은 억제시킴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본 논문은 렌티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GR 활성을 핵내에서 GRE에 의해 유도된 리포터 단백질인 mRFP 또는 루시퍼라아제의 발현을 통해 정성,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GR이 endogenous 하게 발현되는 HeLa 세포에서 코티졸을 처리하였을 때 활성화된 GR에 의해 GRE-inducible한 RFP와 루시퍼라아제의 발현이 각각 공초점 형광 현미경과 IVIS-200을 이용하여 형광 또는 BLI을 통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렌티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는 세포 내에서 뿐 만 아니라 향후 생체내에서의 GR signaling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글루코코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뇌해마의 CA와 Dentate Gyrus 부분의 유전자 발현 변화 (Glucocorticoi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Hippocampal CA3 and Dentate Gyrus)

  • 김동섭;안순철;김영진;박병권;안용태;김지연;;허송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305-311
    • /
    • 2007
  •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해마 조직에서 대사, 스냅신 형성, apoptosis, 신경세포 생성과 세포에 있어서 수지상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해마조직의 생리학적 조절을 이해하기 위하여, CA3와 DG (dentate gyrus)에서 유전자 발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Lewis 쥐에 9.5mg의 코르티코스테론 알약 또는 플라시보 알약을 20일 동안 처리한 후에 올리고머 유전자 칩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사 하였다 (Rat Neurobiology U34 Arrays, Affymetrix). 플라시보 알약을 처리한 쥐에서 32 유전자들이 DG보다 CA3에서 발현이 높았으며, 3개 유전자는 CA3보다 DG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코르티코스테론 호르몬 처리에 의한 해마조직의 유전자 발현 형태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CA3에서 6개의 유전자와 DG에서 41 개의 유전자가 호르몬에 의하여 조절 받았으며, 이중 43개의 유전자가 상승 발현하였으며, 4개의 유전자가 하강 발현 하였다. 이들 유전자를 기능에 의해 분류하면, 13개의 신경전달물질관련 유전자, 5개의 이온채널,4개의 전사인자, 3개의 neurotrophic인자, 1개의 각 사이토카인과 apoptosis관련 유전자, 그리고 5개의 스냅신형성관련 유전자가 해마조직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하여 CA3에서 BDNF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르몬에 의하여 해마구조의 생리학적인 다양성을 내포 하고 있다.

산후 우울의 고찰: 정신신경면역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 Review of Postpartum Depression: Focused on Psychoneuroimmunological Interaction)

  • 김윤미;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6-11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describe a psychoneuroimmunology (PNI) framework for postpartum depression (PPD)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for postpartum women.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inflammation as possible mediators of risk factors for PPD through literature review. Results: From this PNI view, human bodies are designed to respond with the reciprocal interactions among the neuro-endocrine and immune system when they are faced with physical or psychological stressors. Chronic stress induces alterations in the function of HPA axis, and a chronic low-grade inflammatory respons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dysfunctions of cytokines and HPA axis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Stress promotes glucocorticoid receptor resistance, which can promote inflammatory responses. This, in turn, can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This can especially affect populations at vulnerable time-points, such as women in the postpartum. Conclusion: From a PNI perspective, well-designed prospective research evaluating the role of stress and inflammation as an etiology of PPD and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is warranted to prevent PPD.

구속 스트레스 쥐 모델에서 스트레스 반응 감소에 대한 사카린 섭취의 효과 (Effect of Saccharin Intake in Restraint-induced Stress Response Reduction in Rats)

  • 박종민;송민경;김윤주;김연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36-42
    • /
    • 2016
  • Purpose: Stress activ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induces the release of glucocorticoids. Saccharin is 300 times sweeter than sucrose, but does not increase blood insulin levels.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ccharin intake in restraint-induced stress response reduction in rats. Methods: Adult male Sprague-Dawley (SD) rats had stress induced by restraint for 2 hours/day for 1 week. Saccharin was provided in sufficient amounts to allow them to intake it voluntarily at 0.1% diluted in water. The Y-maze test and forced swim test (F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and the depressive behavior of the rats. The protein express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GR) in hippocampal cornu ammonis (CA) 1 was investigated by using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alternation in the Y-maze test was significantly (p<.01) higher in the Stress + saccharin group than in the Stress group. Immobility time in the FST was significantly (p<.01) lower in the Stress + saccharin group than in the Stress group. Also, the positive cells of GR in hippocampus CA1 were significantly (p<.05) lower in the Stress + saccharin group than in the Stress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saccharin intake in restraint-induced stress response reduction in rats.

배양 유선세포에서 내생성 호르몬에 의한 유선특이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 조절 (Regulation of the Mammary Tissue-Specific Promoter Activity by Endogenous Hormones in Cultured Mammary Cells)

  • 윤영승;정선미;이성호;김재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21-229
    • /
    • 2000
  • 유선에서 젖의 생산은 뇌하수체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과 프롤락틴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호르몬의 조절을 받는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호르몬들 중에서 성장호르몬과 프롤락틴은 유선에서도 그 유전자 전사체가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에서 발현되는 성장호르몬이 유선 특이 발현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유선 특이 발현 유전자인 베타-락토글로불린($\beta$-lactoglobulin :BLG)의 프로모터를 모델 시스템으로 하여 소와 사람의 성장 호르몬이 유선의 유전자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장 호르몬은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패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젖 분비 호르몬들인 인슐린, 프롤락틴,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는 농도 의존적으로 BLG 프로모터 활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성장 호르몬을 유선 세포내에서 발현시켰을때는 적정농도에서 세포 증식과 유선 프로모터 활성을 크게 증진시켰다. 반면 소의 성장 호르몬 유전자 프로모터는 유선 세포에서 뚜렷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선에서 발현되는 뇌하수체 호르몬들은 조절 누수에 의한 유전자 발현이 아니라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인위적으로 성장호르몬의 발현을 조절하여 적정한 양이 발현되도록 하면 젖의 생산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도 암시한다.

  • PDF

빅벨리해마(Hippocampus abdominalis)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분자 유전학적 동정과 발현 분석 (Molecular Genetic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Glucocorticoid Receptor Expression in the Big-belly Seahorse Hippocampus abdominalis)

  • 조은영;오민영;이숙경;완창;이제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46-353
    • /
    • 2015
  • Glucocorticoids (GCs) are steroid hormones regulated through responses to stress to maintain diverse metabolic and homeostatic functions. GCs act on the glucocorticoid receptor (GR), a member of the nuclear receptor family. This study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 GR gene from the big-belly seahorse Hippocampus abdominalis designating it HaGR. The open reading frame of the HaGR cDNA was 2,346 bp in length, encoding a 782-amino-acid polypeptide with a theoretical isoelectric point of 6.26 and predicted molecular mass of 86.8 kDa. Nuclear receptors share a common structural organization, comprising an N-terminal transactivation domain, DNA-binding domain, and C-terminal ligand-binding domain. The tissue-specific mRNA expression profile of HaGR was analyzed in healthy seahorses using a qPCR technique. HaGR mRNA was expressed ubiquitously in all of the tissues examined, with the highest expression levels in kidney, intestine, stomach, and gill tissues. The mRNA expression in response to immune challenge with lipopolysaccharide (LPS),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 I:C),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iniae revealed that it is inducible in response to pathogen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GR is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of the big-belly seahorse.

스테로이드제가 백서 폐의 Surfactant B와 C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xamethasone on Gene Expression of Surfactant Protein B and Surfactant Protein C)

  • 박익수;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439-448
    • /
    • 2003
  • 연구배경 : SP는 표면활성물질의 물리적 성상의 결정 및 대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SP-B와 SP-C는 배수성 단백이며 공기액체계면에 지질 수포를 결합하게 하여 인지질의 흡착과 표면활성을 증강시킨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폐의 형태학적 발생을 촉진시키며, 표면활성물질 인지질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SP-B와 SP-C의 축적 및 폐탄성을 향상시킨다.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관찰한 바에 의하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 후에 SP-B mRNA와 SP-C mRNA가 증가한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SP-B mRNA와 SP-C mRNA에 대한 스테로이드제의 효과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방 법 : 저자들은 실험동물에서 SP-B와 SP-C의 유전자 발현을 파악하고자 서로 다른 용량과 기간에 따른 덱사메타손을 백서에 투여한 후 이들 유전자 발현 양상을 filter hybridization방법으로, 덱사메타손의 서로 다른 용양과 기간에 따른 SP-B와 SP-C의 유전자 발현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1) 덱사메타손을 1일 0.2 mg/kg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SP-B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23.7%가 증가하였다. 2) 덱사메타손을 1일 2 mg/kg씩 일주일간 투여 후 SP-B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96.6%가 증가하였다(P<0.001). 3) 덱사메타손을 1일 0.2 mg/kg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SP-C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42.7%가 증가하였다(P<0.01). 4) 덱사메타손을 1일 2 mg/kg씩 1주일간 투여 후 SP-C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60.0%가 증가하였다(P<0.01).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실험동물에서 서로 다른 덱사메타손용량과 기간에 따른 SP-B mRNA와 SP-C mRNA양은 덱사메타손양을 소량을 투여하였을 때보다 대량을 투여 하였을 때, 또는 단기간보다는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만성 스트레스로 유발된 우울증 쥐 모델에서 캡사이신의 항우울 효과 (Antidepressant effects of capsaicin in rats with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induced depression)

  • 임재옥;김민지;배준범;전찬혁;한재현;심태혁;김연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280-32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capsaicin in chronic depressive rats and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its effects. Methods: Male Wistar rats (280~320 g, 8 weeks of age) were subjected to depression induced by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es. The rats were exposed to 8 kinds of stresses for 8 weeks. In the last 2 weeks, fluoxetine or capsaicin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he dose of fluoxetine was 10 mg/kg (body weight), while the doses of capsaicin consisted of low (1 mg/kg), middle (5 mg/kg), and high (10 mg/kg). The forced swim test (F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mobility time of rats. The immobility time indicates despair, one of symptoms of depression. The change of tryptophan hydroxylase (TPH) in the dorsal raphe was investigat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the hippocampus cornu ammonis (CA) 1 and 3, glucocorticoid receptor (GR) expression was measured. Results: The immobility time in the FST was significantly lower (p < .05) in the low-dose (M = 32.40 ± 13.41 seconds) and middle-dose (M = 28.48 ± 19.57 seconds) groups than in the non-treated depressive rats (M = 90.19 ± 45.34 seconds). The amount of TPH in the dorsal raph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5) in the middle-dose (M = 249.17 ± 35.02) and high-dose (M = 251.0 ± 56.85) groups than in the non-treated depressive rats (M = 159.78 ± 41.16). However, GR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CA1 and CA3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treated depressive rats and the capsaicin-injected ra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apsaicin produces an antidepressant-like effect on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induced depression in rats via the serotonin biosynthesis pathway.

다양한 조직 및 질병에서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의 역할 및 기전 고찰 (Function of 27-Hydroxycholesterol in Various Tissues and Diseases)

  • 심완석;이찬희;아자모프 바커부딘;김관회;이동준;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2
    • /
    • 2022
  • 옥시스테롤은 담즙산 합성 동안 일련의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콜레스테롤의 산화물로써, 콜레스테롤과 유사하게 세포내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면역 세포 반응, 지질 대사 및 콜레스테롤 항상성과 같은 다양한 세포 과정을 조절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 에스트로겐 수용체(ER) 및 간 X 수용체(LXR)와 같은 종류의 핵 수용체는 여러 조직에서 옥시스테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장 풍부한 옥시스테롤인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27-OHC)은 조직 특이적 방식에 의해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하기 때문에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 규명되었다. 특히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이 동맥 경화증 플라크에서 많이 발견되고 대식세포가 거품 세포로 변형되는 것을 가속화하기 때문에 동맥 경화증 발병에 기여하는 것이 분명해 보이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이 간 및 지방 조직을 포함한 다양한 대사 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반대 의견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총설을 통해 대사 조직에서의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역할에 대한 논의와 함께, 죽상 동맥 경화증 및 대사 증후군에 영향을 주는 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의 세부 기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