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로블린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인 국소 유년성 치주염환자의 Actinobacillus(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혈청형 및 백혈구독성 균주 분포 (Serotype and Leukotoxic Strain Distribution of Actinobacillus(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in Korean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

  • 정현주;정종평;손성희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7-501
    • /
    • 1986
  •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a)는 구미인의 병소에서 혈청형 b형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한국인에서의 부분적인 분리균주는 c형이 빈번한 젓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6명의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에서 Aa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 혈청형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 및 백혈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주낭 및 건강치은 열구에서 보존치료용 paper point를 이용하여 치은연하 치태세균을 채취하여 Aa의 선택배지에 도말한 후 10%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3{\sim}5$일간 배양하였으며, 집락의 형태, catalase검사, Gram염색,생화학검사로써 분리 동정하였다. 가토에서 3가지 혈청형의 표준균주인 ATCC 29523(a) Y4(b) SUNYaB67(c)에 대한 항혈청을 얻은 후 환산암모늄 침전법과 면역흡착법에 의하여 특이성을 갖는 감마글로블린액을 얻어서 ELISA법에 의해 분리균주의 혈청형을 분류하였다. 백혈구 독성은 다형핵 백혈구와 Aa분리균주를 함께 배양한 후 상층액에 대한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a균은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 16명중 75%에서 발견되었으며, 병소부위의 71%, 그리고 정상부위의 6%에서 나타났다. 2.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병소의 임상적 양상은 병소내 Aa의 존재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3가지 혈청형의 환자별 분포는 9명의 환자에서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동일한 구강내 또는 동일한 치주낭에서 다른 2가지 혈청형이 함께 분리되었다. 4. 백혈구 독성검사를 시행한 45개 균주중 22%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채취부위의 69%에서 백혈구 독성균이 존재하였다. 또한, 동일한 병소에서 독성균과 비독성균이 함께 관찰되었다. 5. 백혈구 독성균의 분포는 3가지 혈청형간에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면역결핍 모델에서 β-1,3/1,6-glucan과 유산균을 이용한 in vivo 면역 활성 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β-1,3/1,6-glucan and lactic acid bacteria in LP-BM5 murine leukemia viruses-induced murin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김민수;김중수;류민정;김기홍;황권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58-11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LP-BM5 murine AIDS virus에 감염된 면역 결핍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기간 10주 동안 ${\beta}$-1,3/1,6-glucan, 유산균 및 ${\beta}$-1,3/1,6-glucan+유산균의 식이가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LP-BM5 murine AIDS virus에 감염으로 면역능이 떨어진 T세포 증식능은 홍삼대조군과 비교하여도 유의적으로 감소된 T 세포증식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B 세포 증식능은 감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된 B 세포 증식능을 감소되었다. cytokine 생성능에서는 Th1 type cytokine중에서 IL-2, IL-12, IL-15는 감염대조군에 비하여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IFN-${\gamma}$는 유산균과 ${\beta}$-1,3/1,6-glucan을 각각 처리군이 혼합처리군보다 증식능이 증가하였다. TNF-${\alpha}$는 감염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h2 cytokine 들의 분비량 측정에서 IL-4, IL-6, IL-10 측정 결과 감염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Th1/Th2 type cytokine 발현을 조절하여 면역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면역글로블린 분비량측정에서 IgE, IgA, IgG 모두 감염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LP-BM5 murine AIDS virus에 감염된 면역 결핍동물 모델에 ${\beta}$-1,3/1,6-glucan+유산균군을 혼합처리로 면역조절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릴 분말 및 NaF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변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and Blood Glucose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in Ra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8-946
    • /
    • 2017
  •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 실용계의 사육밀도 및 사료 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생산성, 혈액, 면역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 Density and Nutrient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Immune Status and Meat Quality in Korean Native Chickens)

  • 김광열;전진주;김현수;손지선;김희진;유아선;홍의철;강보석;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1-100
    • /
    • 2021
  • 본 연구는 토종 실용계 사육 시 사육밀도와 에너지 함량에 따른 생산성, 혈액 성분, 면역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종닭 병아리 24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15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사육밀도 2 수준(14, 16 birds/m2)과 에너지 2 수준[ME kcal/kg; High: starter(3,150), grower(3,200), Final(3,250); Low: starter(2,950), grower(3,000), Final(3,050)]으로 2 × 2 요인실험 설계하였다. 체중분석 결과 SD 14 처리구와 EL High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량에서는 초기와 후기에서 에너지 함량에 따라 EL High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구간에서는 사육밀도와 에너지 함량에 따라 SD 14 처리구와 EL High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섭취량은 초기, 중기와 전구간에서 사육밀도에 따라 SD 1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 요구율은 에너지 함량에 따라 EL High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혈액 내 생화학 조성 결과 AST 에서는 사육밀도에 따라 SD 16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면역글로블린과 코티솔 분석결과 IgM에서 사육밀도 × 에너지 함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코티솔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섭취경쟁으로 인하여 AST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감소되었다. 그리고 에너지 함량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혈액, 면역 및 계육 품질의 결과는 일정하지 않았으며,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