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 활성도

검색결과 1,373건 처리시간 0.033초

골격근 microsome 의 ATMase 의 활성, 골이이오나용, 및 Ca 흡수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Tpase Activity , Relaxing Activity and Calcium Uptake of Rabbit Skeletal Muscle Microsomes)

  • 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
    • /
    • 1967
  • 토끼의 골격근 homogenate에서 23,000$\times$G, 60 분간의 원심분리와 얻은 근 microsome의 ATPase 활성, 근수축에 대한 이완작용, 및 Ca 의 흡수작용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ATPase 활성은 Ca++ Mg++ 양 이온의 존재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 5 mM Mg++ 의 존재하에서는 Ca++ 의 최적농도는 0.1mM이다. Oxalate의 존재하에서는 1 mM 의 Ca++ 이 최적농도이므로 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를 microsome vesicle so 및 medium 내에 침전시켜 유리 Ca++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Microsome의 이완작용은 조제후 120 시간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되어 가나, 그이 ATPase 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Ca++ + Mg++ -의존성 ATPase 는 이완작용에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Oxalatedmlwhswo는 microsome의 Ca++ 흡수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며 동시에 흡수포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Oxalate의 이러한 효과도 Ca-oxalate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Microsome 내에 축적되는 Ca 의 량은 ATP 농도가 커질수록 많아진다. 그러나 축적된 Ca 의 량과 ATP 농도사이에 화학정량론적 관계는 없는 것같다.

  • PDF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 활성도와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Pattern Trai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y and Stat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 지상구;차현규;이동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30-5736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이 하지 근 활성도와 정적 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20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무작위 추출법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군 10명과 체중 이동 훈련군 10명으로 각각 배정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전통적 물리치료를 6주 동안 주 5회, 하루 30분씩 시행하였으며,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을 하루에 20분씩 각각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이 체중 이동 훈련에 비해 마비측 하지의 대퇴직근, 비복근의 활성도와 정적 균형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 훈련이 체중 이동 훈련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회복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체간 패턴훈련은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유익한 훈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장반사로 인한 근활성도 예측 모델을 이용한 삼두박근 반사 해석 (Analysis of Elbow Reflexes Using Activation Model for Stretch Reflex)

  • 강문정;조영남;채제욱;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3호
    • /
    • pp.215-221
    • /
    • 2015
  • 삼두박근 반사는 인체 상지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장반사이며 경추의 이상 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생체역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새롭게 정의된 신장반사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상완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의 근활성도 및 상완의 운동 정보를 예측하였다. 해석을 통해 예측된 운동 정보와 실험 결과가 같도록 하는 근활성도를 구하고, 이를 근전도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 모델과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모델과 실험을 통해 얻은 관절의 각도들의 최소자승오차는 0.056 으로 기존의 모델을 사용하여 얻은 오차의 절반 수준이다. 이것은 제안된 모델이 실제 현상과 잘 부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에 따른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e-leg Drop landing Pattern and Muscular Activity depending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mong Basketball Club members)

  • 정경열;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1-4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CAI)에 따른 한발착지패턴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레크레이션 농구경기에 참여하고 있는 농구동호인 30명을 대상으로 국제발목협회에서 제공하는 CAI 표준 선정기준에따라 CAI집단 21명과 CON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다. 한발착지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초기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하지정렬과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고 초기접촉 시점, 발꿈치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및 중간볼기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단일 다리 드롭랜딩 시 하지정렬과 하지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CAI에 따라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CAI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경기포지션을 고려하여 움직임의 특성 및 기능적 요구의 차이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혈류제한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웰니스를 위한 효과검정 -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중심으로 - (Effect for Wellness of Blood Flow Restriction Aerobic Exercise Program - Focusing on Mscle Ativity and Mtor Nurons -)

  • 정대근;강정일;장준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25-233
    • /
    • 2021
  •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건강을 위한 유산소 능력과 관계가 깊은 하지에 혈류제한 유산소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하지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인 혈류제한 운동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압력 정도가 140 mmHg으로 혈류제한하여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만 적용한 집단을 11명을 대조군으로 각각 무작위 배치한 후, 트레드밀에서 4주간, 주 3회, 1일 1회, 1회 30분간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표면근전도를 활용하여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군I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대조군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하지 혈류제한과 병행하여 유산소운동을 접목하는 것은 엘리트선수 육성과 관절이 약한 노인 등 재활 트레이닝에 기능적인 활동을 회복시킬 수 있는 부상방지 운동프로그램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상인이 아닌 대상의 영역을 확대하고, 압력강도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교차적 슬관절 굴곡-신전 시 슬관절 굴곡근의 구심성 수축에 의한 선행부하가 대퇴사두근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Facilitation of Quadriceps Activation Following a Concentric Knee Flexion During Reciprocal Knee Movement: The Influence of Muscle Preloading)

  • 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5
    • /
    • 2003
  • 본 연구는 슬관전 신전 직전에 수행된 선행 슬관절 굴곡이 슬관절 신전근의 최대 근력발생 및 근육 활성도(activ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6명의 정상인이 Cybex II 등속운동기구에서 3가지 다른 운동 속도($100^{\circ}/s$, $200^{\circ}/s$, $300^{\circ}/s$)와 2가지 다른 근육 활성 조건(선행부하가 없는 조건과 선행부하 조건)에서 슬관절의 최대 신전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선행부하 없는 조건에서는 $90^{\circ}$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선행부하 조건에서는 구심성 슬와부 근육의 구심성 수축으로 $0^{\circ}$에서 $110^{\circ}$까지 굴곡한 후, 다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최대 근전도와 최대 신전근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근전도와 최대 근력 모두 선행부하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근력은 감소하는 전형적인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이 본 실험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운동속도와 전환속도 간의 간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슬관절 신전근에 선행부하(preloading)를 가하는 것이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force-velocity relation)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선행부하로 인해 증가된 최대 근력 및 근 활성도의 증가는 주로 신경촉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다양한 스쿼트 자세 수행 시 전신진동자극이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cle Activation Change of Lower Limb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 서신배;강승록;유창호;민진영;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쿼트 자세를 수행할 때 전신진동자극이 하지의 근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20대 여성 10명(나이 $21{\pm}1.3$년, 키 $160{\pm}2.1cm$, 무게 $52{\pm}4.6kg$)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진동판 위에서 하이스쿼트(HS), 로우스쿼트(LS), 외다리 스쿼트(OS), 뒤꿈치 들고 하이 스쿼트(HU&HS)의 4가지 동작을 수행하였다. 근전도는 하지의 근육(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을 측정하였다. 진동자극은 10초 무자극, 10초 진동자극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운동 자세와 측정 부위에서 진동 자극을 제공하였을 때 근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HS +24.8%, LS +23.1%, OS +20.1%, HU&HS +17.9%). 또한 OS 자세는 LS자세나 HU&HS자세보다 근 활성이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LS자세는 HU&HS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저강도 저항운동의 속도 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Speed on Body Composition,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en)

  • 이우중;서상원;이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4호
    • /
    • pp.575-58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저강도 저항운동의 속도 차이가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비만중년여성 24명을 일반속도의 저항운동집단(normal resistance training speed group; NSG, n=12) 및 느린속도의 저항운동집단(slow speed resistance training group; SSG, n=12)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NSG는 신장성 수축 1초, 등척성 수축 1초 및 단축성 수축 1초의 총 3초간으로 구성하여 35회 3세트를 실시하였으며, SSG는 신장성 수축 3초, 등척성 수축 1초 및 단축성 수축 3초의 총 7초간으로 구성하여 15회 3세트를 실시하였다. 1RM 30%의 저강도 저항운동은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세트 당 105초, 세트 간 1분 및 운동 간 3분의 휴식시간, 그리고 주 2~3회의 4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운동전과 운동 4주후에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신체조성에서 NSG는 WHR에서, SSG는 체지방률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근활성도에서 NSG 및 SSG는 위팔두갈래근, 안쪽넓은근 및 가쪽넓은근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p<.05). 근력에서 NSG 및 SSG는 biceps curl 및 leg extension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하지만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집단 간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저항운동의 속도차이(반복횟수)보다는 저항운동의 수행시간(근수축 발생시간)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휠체어 사이클 경사로 주행 시 척수손상 장애인의 상체 근전도 특성 분석 (Electromyographic features of upper body during wheelchair cycle ramps ascent for disabled with spinal cord injury)

  • 김솔비;고창용;강성재;최혁재;류제청;문무성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3-19
    • /
    • 2013
  • 본 연구는 휠체어 사이클 경사로 주행 시 척수 손상으로 인한 하지마비 장애인의 상체의 근전도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척수손상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0^{\circ}$, $3^{\circ}$, $6^{\circ}$의 경사로에서 휠체어 사이클 주행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이두근, 삼두근, 전 삼각근, 상승모근, 광배근, 복직근의 근 활성 최대값과 수축 시간, 수축 개시 종료 시기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휠체어 사이클의 경사로 주행 시 수축 시간과 근 수축 종료시간이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길어지고 지연됐으며, 광배근의 최대 근 활성도는 평지 주행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는 휠체어 사이클의 경사로 주행 시 광배근의 과도한 사용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