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 활성도

검색결과 1,373건 처리시간 0.024초

Rhizoctonia solani 추출액 첨가에 의한 Hyoscyamus muticus의 현탁세포배양 및 모상근배양에서 Sesquiterpene 생합성 (Biosynthesis of Sesquiterpene in Hairy Root and Cell Suspension Cultures of Hyoscyamus muticus by Elicitation Using Rhizoctonia solani Extracts)

  • BACK, Kyoungwhan;SHIN, Dong Hyun;KIM, Kil Ung;De HAAS Cynthia R.;CHAPPELL Joseph;CURTIS Wayne R.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79-284
    • /
    • 1997
  • Hyoscyamus muticus의 phytoalexin으로 알려진 solavetivone, lubimin, rishitin 생합성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isoprenoid pathway의 첫 분지효소인 vetispiradiene synthase의 유도특성과 solavetivone, lubimin phytoalexin 생합성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H. muticus 현탁세포배양 및 모상근배양에 Rhizoctonia solani 추출액을 elicitor로 처리하였다. Elicitor을 처리하지 않은 현탁세포 및 모상근배양에서는 효소활성, 효소단백질 및 solavetivone, lubimin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elicitor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효소활성이 급속히 유도되어 처리 12시간 후에 최고의 활성을 보였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의 정도는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한 효소 단백질의 함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hytoalexin 총 함량은 모상근배양에서 2배이상 높았다. 특히 solavetivone 및 lubimin 생합성은 현탁 및 모상근배양에서 서로 다른 특이성을 보였는데, 현탁배양에서는 lubimin을, 모상근배양에서는 solavetivone을 선택적으로 다량 생산하였다.

  • PDF

팥의 유경절편에서 부정근형성에대한 도립배양의 효과 (Effects of Inverted Incubation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Epicotyl Cuttings of Vigna angularis Owhiet Ohashi)

  • Kang, Byung-Sook;Cho, Duck-Yee;Kim, Young-Soon;Soh, Woong-Young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0
    • /
    • 1998
  • 부정근발생에 관한 도립 및 직립배양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6일간 자란 팥의 유경 절편을 사용하였다. $2\times10$^{-4}M$ IAA 용액을 48시간 처리할 때에 절편의 위치를 직립 또는 도립으로 배양 후 96시간 직립으로 배양하였다. 48시간 처리시 직립배양하면 부정근의 형성은 형태학적 기부에서만 발생하지만, 도립 전처리 배양을 하면 유경절편의 양끝에서 부정근이 발생하였다. IAA 전처리는 절편의 방향과 관계없이 부정근 형성을 촉진시켰다. 부정근 발생시기에 유경절편내의 생화학적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직립배양 및 도립배양을 한 후 부정근 발생 단계별로 24시간, 48시간, 148시간 후 절편을 상부, 중부, 하부로 등분하여 부정근 발생에 수반되는 효소활성, 절편의 길이 신장 및 생중량을 측정하였다. 절편의 길이 신장은 절편의 상부에서 높게 나타났고 생중량은 발근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peroxidase을 catalase 활성은 부정근원기의 형성단계인 24시간에 절편의 발근부위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에 비해 IAA oxidase는 양쪽 기부에서 낮았다. 그리고 IAA oxidase와 peroxidase 활성은 48시간 배양인 부정근의 형성동안 발근 부위에서 감소하였다. 도립전처리 유경 절편에 따라서 효소활성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peroxidase의 활성은 부정근원기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화학적인 변화는 유경의 발근영역에서 IAA의 수준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특정부위에서의 부정근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된 것이다.

  • PDF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ion Contro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 이연섭;김진상;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18-724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 적용한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환자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6명의 뇌졸중 환자들로 하여 환측 1/2시각통제군(9), 건측 1/2시각통제군(9), 비시각통제군(8)으로 나누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흔들림 균형 판(posturo-med)위 시각통제 후 거울 1m앞에서 자기를 주시하며 균형 훈련을 8주간 주 4회 20분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중재 전, 4주, 8주 후 균형 능력을 측정하여 균형유지시간, 근 활성도를 측정 하였다. 훈련 전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균형시간의 증가와 안쪽 넓은 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 훈련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 시 무릎 감쇠효과를 고려한 대퇴사두근의 근력 및 근활성도 예측 (Identification of Muscle Forces and Activ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s of Healthy Adults Considering Knee Damping Effects during Patellar Tendon Reflex)

  • 강문정;조영남;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호
    • /
    • pp.57-62
    • /
    • 2014
  • 인체 해석모델은 주로 인간이 의식적으로 행하는 운동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의식적 운동과 달리 슬개건 반사는 뇌를 거치지 않고 일어난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로 인한 대퇴부의 근력과 근활성도를 해석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해석 모델은 시상면에서 평면운동을 하고, 앉은 자세에서 상체와 허벅지를 고정시켜 종아리만 진자 운동이 가능하도록 모델링 하였다. 무릎은 레볼루트 조인트로 모델링 하였고, 발목관절은 고정시켜 종아리와 발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였다. 근력은 Mamizuka 의 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운동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동역학 해석을 통해 구하였으며, 근활성도는 Hill-type 근육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는 실험결과를 통해 검증되었다.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on Blood MDA and SOD, GPx Activities in Elderly Women)

  • 남상남;김종혁;지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연구는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시키는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포크댄스를 통한 유산소성 운동(HRmax 50-60% 수준, 주 2회, 60분)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 저항성 운동(주 2회 60분)을 실시하여 혈중 MDA 및 항산화 효소인 SOD, GPx 활성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항산화 효소인 SOD와 GPx의 활성도를 복합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인 복합운동은 노인들의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항산화계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romedial gliding of patella using non-eleastic taping on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during sit to stand)

  • 윤상혁;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9-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안쪽 활주와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측정 결과, 안쪽 활주와 비교하여 아래 안쪽 활주를 적용했을 때 안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전체 근활성도 대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릎뼈의 안쪽 활주보다 아래 안쪽 활주가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더 큰 기여를 하며, 특히 무릎넙다리 통증증후군의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무릎뼈를 아래 안쪽 방향으로 활주 시킬 수 있는 보조기 및 운동복 등의 개발은 무릎관절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평발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 (The lower-extremity muscle co-activation of flat-footed subjects wearing high-heels while descending stairs.)

  • 김나희;최보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85-391
    • /
    • 2018
  • 본 논문의 평발인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30명의 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NDT를 이용하여 평발군과 정상군을 구분하였으며 표전근전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MG와 LG근활성도와 안, 가쪽 근공동활성도는 평발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근활성도 비율은 평발군이 안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하이힐을 신은 평발군은 정상군보다 무릎관절 정렬에 더 많은 손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계단을 내려갈 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다양한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 융합 운동에 따른 어깨 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on Push-up plus in Convergence in Various Posture)

  • 문병현;김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41-3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PUP) 운동 시 5번째와 7번째의 앞톱니근(SA), 위등세모근(UT), 중간등세모근(MT), 아래등세모근(LT), 큰가슴근(PM)의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25명의 대상자가 다양한 자세의 PUP 융합 운동 (일반자세, $90^{\circ}$, $120^{\circ}$, BOSU)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PUP 융합 운동동안 SA7, PM, UT, M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SA7은 PUP 와 $90^{\circ}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PM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UT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05). MT는 $90^{\circ}PUP$와 PUP, $120^{\circ}PUP$, 그리고 PUP와 $120^{\circ}PUP$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본 연구 결과, 어깨의 기능부전이 없는 대상자가 어깨 안정근을 훈련할 때 일반적인 PUP가 효과적일 것이다.

편마비 환자에서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 훈련이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ling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Hemiplegia)

  • 장광오;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44-125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슬링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 시 체간의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에서 1년 된 편마비로 진단 받은 입원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4주간, 주 5회, 1회당 30분간 운동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만 적용하였고, 실험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전성 집중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후에 체간조절능력, 근활성도, 균형능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훈련 후, 유의한 차이는 실험군에서 체간조절능력(TIS)(p<.001), 특히, 정적조절능력(p<.05), 동적조절능력(p<.01), 협응능력(p<.05), 근 활성도는 RA(p<.001), EO(p<.001), ES(p<.001), Multifidus(p<.05), FMA (Balance)(p<.01), MTD-Balance에서는 정적(p<.001), 동적균형능력(p<.001)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은 체간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증명하였고, 균형에 있어서 체간-골반 안정화 및 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NF의 Sprinter Pattern을 통한 하지의 근 활성도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Balancing through Sprinter Patterns of PNF)

  • 정우식;정재영;김찬규;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81-292
    • /
    • 2011
  • 본 연구는 PNF 중 스프린터 패턴 적용 시 하지의 근 활성도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편마비 환자 24명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주 3회, 6주 동안 PNF의 상 하지 패턴의 결합인 스프린터 패턴(Sprinter pattern)을 실시하였다. 하지 근활성도는 내 외측광근, 내 외측슬괵근, 외측비복근의 활동전위의 실효치 값을 분석하였다. 균형 능력 검사는 FICSIT-4, FSST, MTD-Balance system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측정 시점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측정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프린터 패턴의 적용은 마비측 하지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켜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비측 하지의 효율적 근동원을 위한 치료적 중재프로그램으로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다양한 운동 패턴들과 결합시켜 새로운 중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