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피로회복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4초

-경혈 및 트리거 포인트에서- 미약 자기장을 이용한 근피로 회복 평가 (-On Acupoints & Trigger Points- Muscle fatigue evaluation using the Micro-electromagnetic stimulation)

  • 김수병;이나라;심태규;이승욱;이용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31-1239
    • /
    • 201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국소적 부위인 경혈과 Trigger Point에서 경결된 근조직과 신경조직을 자극할 수 있는 자기장 자극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정용 저주파치료기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상완 이두박근의 근피로 유발 후 근피로 회복을 평가하였다. 경혈과 Trigger Point의 해부학적 위치가 동일한 청영혈(HT2)를 자극위치로 선정하였다. 등척성 운동을 통하여 25명의 일반인에게 근피로를 유발시켰으며, 무자극 5명, 저주파 치료기기의 전기자극 10명, 자기장 자극 10명으로 분류하였다. 자극시간은 5분으로 하여 자극하였으며, 5일동안 EMG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EMG를 주파수영역에서 분석해본 결과, 무자극의 근피로 회복률이 가장 저조했으며, 저주파치료기기의 전기자극보다 자기장 자극이 근피로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를 위한 미약 자기장 자극에 대한 체열변화 분석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DITI) analysis by micro-magnetic stimulation for muscle fatigue recovery and muscle pain control)

  • 김수병;이나라;이승욱;이경중;이용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653-16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약 자기장 자극이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체열 영상진단검사법을 이용하여 체표면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피험자(n=96)에 대하여 등척성 운동으로 근피로를 유발시킨 후 무자극 그룹(n=32)과 저주파 자극 그룹(n=32) 그리고 자기장 자극 그룹(n=32)의 3일 동안 체표면 온도변화와 저주파, 자기장 자극 그룹의 자극 전/직후의 체표면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 직후 $0.86{\pm}0.43^{\circ}C$(n=96)의 좌/우측 온도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저주파 자극 직후에는 $0.78{\pm}0.12^{\circ}C$, 자기장 자극 직후에는 $0.1{\pm}0.39^{\circ}C$의 좌/우측 온도차를 확인하였다. 또한 3일 이후 무자극 시 $0.3{\pm}0.14^{\circ}C$, 저주파 자극 시 $0.05{\pm}0.21^{\circ}C$, 자기장 자극 시 $0.03{\pm}0.21^{\circ}C$의 좌/우측 온도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자기장 자극의 좌/우측 체표면 온도차이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세전류 자극이 척주세움근의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rector Spinae Fatigue Index)

  • 강다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45-551
    • /
    • 2013
  • 본 연구는 단시간 들기 내리기 작업을 실시한 누적피로 대상자에게 미세전류자극 및 휴식을 적용하여 피로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S대학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말초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오른손을 사용하는 20대의 신체 건강한 남자 2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0 kg 상자를 15분 동안 들기 내리기를 100회 실시한 직후, 표면근전도기를 이용한 근피로지수(Median Frequency : MF)와 혈액피로지수(Creatine Kinase Lactate : CK, Lactate Dehydrogenase : LDH)를 측정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미세전류자극을 대조군에는 휴식을 각각 20분간 중재하였다. 중재 후, 근피로지수와 혈액피로지수를 측정하여 누적 피로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휴식그룹의 왼쪽 척주세움근 피로지수를 제외한 두 그룹 모두에서 중재방법 적용 전보다 적용 후 유의한 누적피로의 감소(p<.05)가 있었고, 미세전류의 자극은 휴식과 비교했을 때, 근피로지수의 유의한 감소(p<.05)를 보였지만, 혈액피로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세전류자극은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 작업 종사자들의 근피로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며, 장시간 피로지수 추적조사 및 중재 적용시간에 따른 피로회복의 상관관계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회복이 저항운동 후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overy of Underwater Walking and Recovery of Underwater Sitting o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Blood Lactate, Double product and Muscle Pain after Resistance Exercise)

  • 박준식;장태수;정환종;김기홍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46-16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 후 수중회복방법의 차이가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통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저항운동 경력 6개월 이상인 남자 7명을 대상으로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과 서킷 웨이트트레이닝을 1RM의 60%강도로 실시한 다음 회복방법으로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 회복을 진행하였다. 성장호르몬은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테스토스테론은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다. 혈중젖산농도는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으며 집중저항운동 후 동적회복이 정적회복보다 낮았다. 심부담도는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다. 근통증은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직후, 회복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물속 환경에서도 동적회복이 정적회복보다 근피로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컴퓨터 작업 후 유지-이완운동과 능동신장이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 이현옥;허성용
    • PNF and Movement
    • /
    • 제6권2호
    • /
    • pp.11-18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the effect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0 volunteer at the age of 23~33(resting group=10, hold-relax group=10, active stretching group=10). The muscle fatigue measured by tracing the median frequency(MDF) decrement from power spectrum analyses of EMG signals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peated ANOVA. Result : In case of upper trapezi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 III. In case of sternocleidomastoi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II. Conclusion : The active stretching was effective for sternocleidomastoid an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for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better than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 PDF

뜸 시술에 의한 대퇴부 근피로 회복 평가 (Evaluation of the Muscle Fatigue Recovery Effect by Indirect Moxibustion Treatment)

  • 이승욱;김정윤;이나라;김영호;이용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4호
    • /
    • pp.59-66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and objectify the therapeutic effect of moxibustion on muscle fatigue recovery. Methods :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n the muscle fatigue recovery, we compared the fatigue recovery of two groups (non-stimulation group and moxibustion group) by analyzing the EMG and peak torque after strenuous knee exercise of isokinetic contraction. Results : The median frequency (MF) of the moxibustion group was recovered faster than that of the non-stimulation group. However, the peak torques of both groups were not restored until after 20 minutes. Nevertheless, the moxibustion group's peak torque was reg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non-stimulation group. Conclusions : We confirmed the therapeutic effect of moxibustion and found that the moxibustion can used as prevention method for musculoskeletal disease.

녹차가 유산소 운동 후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 작용 및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on Hepatic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Muscle Fatigue Recovery in Rat after Aerobic Exercise)

  • 김미지;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58-1064
    • /
    • 2002
  • 본 연구는 녹차가 흰쥐 간조직의 유산소 운동 후 항산화계와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작용기전을 관찰하고자하였다. 실험동물은 150 g 내외의 Sprague-Dawley종 흰쥐를 정 상군과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군으로 나눈 후 운동군은 다시 트레드밀 운동만 부가한 T군, 운동군에 녹차를 공급한 TG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중 정상군과 T군은 식수로 증류수를 그리고 GT군은 5% 녹차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섭취시켰다. 운동은 국내에서 제작된 실험 소동물용 전동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매일 30분씩 주 5회씩 부하시키면서 4주간 행하였다. 1. 간조직중의 SOD 활성은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간조직중의 SOD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T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T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한 군인 TG군은 유의적으로 증가(p<0.05)되었다 3. 간조직중의 GSHpx활성은 T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고 녹차를 공급한 TG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20% 증가되었다. 4. 간조직중의 환원형 gluathione(GSH) 함량은 정상군과 운동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화형 glutathione(GSSG)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하지 않은 T군에서 69% 증가되었으나 녹차를 공급한 TG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되었다. GSH/GSSG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하지 않은 T군에서 63% 감소되었으나 녹차를 공급한 TG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다. 5.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T군에서 52% 증가되었고 T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한 TG군은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6. 혈중 포도당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 글리코겐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하지 않은 T군에서 23% 감소되었으나 녹차를 공급한 TG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다. 7. 혈중 젖산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T군이 261% 증가되었고 T군에 비해 녹차를 공급한 TG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녹차는 유산소 운동시 항산화계를 강화시키고 피로회복을 촉진시켰다.

음포혈(陰包, LR9)에서 펄스형 전자기장 및 가시광 LED 복합 자극이 대퇴부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Muscle Fatigue Recovery Effect on LR9 by Compound Stimulation of the PEMFs and LED)

  • 이나라;김정윤;박선우;김수병;이희영;안순재;김영호;이용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3호
    • /
    • pp.13-23
    • /
    • 2011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bined medical stimulus system consisted of the PEMFs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and LED which are able to stimulate local point such as acupoints and trigger points. Methods :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method on manual acupuncture, we compared the fatigue recovery of two groups by analyzing the EMG and peak torque (non-stimulation and, stimulation group) after strenuous knee exercise. We chose the LR9 as a stimulation point. Results : The median frequency (MF) and fatigue index (F.I) of the stimulation group were recovered faster than those of the non-stimulation group. Also the peak torques of both groups were not restored until after 20 minutes. However, the peak torque of the stimulation group was reg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non-stimulation group. Conclusions :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combined stimulus system had useful effects as treatment instru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using non-invasive method of PEMFs and LED.

등척성수축으로 근피로 유발 후 스트레칭과 마사지가 근수축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sage and Stretching on Muscle Contraction Force for Muscle Fatigue Caused by Isometric Contraction)

  • 이종대;배준호;배성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8권1호
    • /
    • pp.53-64
    • /
    • 2006
  • Purpos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ssage and stretching on the recovery of muscle contraction force for muscle fatigue caused by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healthy men and women (women: 30, men: 34). They Were divided into massage group (23), stretching group (21) and rest group (20), and using Biodex System we observed the pattern of changes in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force (MVC) after causing muscle fatigue in quadriceps femoris muscle through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Results: We measured the point of fatigue occurrence by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with 50% MVC and changes in isometric contraction force at 0, 10, 20 and 30 minutes after fatigue and compared them according to gender and treatment group. Conclusion: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oint of time when fatigue occurred, a difference was observed in time to task failure between men and women. I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women. 2. By gender, MVC changed significantly in all time frames in women, but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ly at 10 minutes after fatigue in men. 3. In the comparison of MVC among the treatment group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t 10 minutes after fatigue. 4. In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MVC among the time frames for each group, the res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VC between 0 and 10 minutes after fatigue and between 20 and 30 minutes after fatigue. The massag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VC between 0 and 10 minutes after fatigue and between 10 and 20 minutes after fatigue. The stretch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VC between 10 and 20 minutes after fatigue and between 20 and 30 minutes after fatigue.

  • PDF

고압산소치료가 지연성근육통의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on the Pain, Range of Motion and Muscle Fatigue Recovery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김덕조;최원제;손경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1-60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BOT (hyperbaric oxygen therapy) on the pain, ROM (range of motion) and muscle fatigue recovery of DOM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six subjects who are student in their 20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n=12) and an experiment group (n=14).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ntervened by HBOT (40 minutes, 1.3 ATA), while ones on control group weren't by any intervention after induced DOMS.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VAS (visual analog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period (p<0.001), interaction of period (p<0.05) and group (p<0.05). In the comparison of PPT (pressure pain threshold),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period (p<0.001) and interaction of period (p<0.05). Second, in the comparison of ROM,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period (p<0.001), interaction of period (p<0.001) and group (p<0.01). Third, in the comparison of CK (creatine kinas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there no signigicant variations with all measure variables.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HBOT were effective to decrease the pain and improve the ROM in DOMS. Also the statistical significant variations of blood factors of muscle fatigue were not found in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