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횡단면적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종료종모돈이 3원 교잡종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 최임수
    • 종축개량
    • /
    • 제20권1호
    • /
    • pp.93-102
    • /
    • 1998
  • 3원교잡종의 지육지방축척과 육질에 대한 종료종모돈(두록종:D, 버크셔종:B, 매산돈:M)의 영향을 보기 위해, 랜드레이스종과 대요크셔종의 F1(LW) 종빈돈에 D, B 또는 M종의 3품종의 종모돈을 교배시켜 얻은 3원교 잡종(LWD, LWB, LWM)에 대해서 지육의 지방 축적량, 로스육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 또는 근육섬유의 특성, 근육과 피하지방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 검토했다. 시험돈은 3원교잡종 각각에 대해서 거세돈 수컷과 암컷을 각각 6두씩, 합계 36두를 공시했다. 단사(單飼), 무제한 급여 하에서 체중이 30kg에서 105kg가 될 때까지 사육했다. 도살한 돼지의 지육우반환(枝肉右半丸)의 제5-6, 8-9, 11-12, 13-14 흉추(胸椎) 간, 제16흉추-제1요추(腰推) 또는 최후요추-제1선추(仙推)간의 횡단면지방의 면적비율은 어떠한 부분에도 LMW이 LWD, LWB보다 통계적으로 유의가 많았다. 로스육의 물리적 특성치인 Tenderness는 $LWM961.3Kgw/cm^2)$ of $LWD(84.13KgW/cm^2)$$LWD(87.22KgW/cm^2)$보다 유의적으로 부드럽고, Pliability는 역으로 LWM이 LWD, LWB보다 유의 있게 낮았다. 또 로스육의 근육내 지방함량은 $LWM(3.23\%)$$LWD(2.32\%)$$LWB(2.35\%)$보다 유의성 있게 많았고, 가열 손실율(加熱損失率)은 LWM이 LWD, LWB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근섬유경(筋纖維經)은 LWD가 LWB, LWM보다 큰 경향으로 인정되어 지고, 근속(筋束)의 횡단면적은 LWD가 LWB 또는 LWM보다 유의 있게 조밀했다. LWM은 근육 내 지방산인 오레인산이 LWD, LWB보다 훨씬 높았고,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종료종모돈이 3원교잡종의 육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 PDF

고령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운동이 대요근 및 대퇴부 근황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soas Major and Quadriceps Cross Sectional Area in Elderly People after 12 Weeks of Exercise)

  • ;;;;;김준동;노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대요근과 대퇴부 근육의 근 횡단면적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에서 80세까지의 노인 58명(남성 30명, 여성 28명)이었으며, 대조군 19명과 운동군 39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신장, 체중, 체질량, 대요근과 대퇴부의 근 횡단면적을 측정하였다. 근육의 평가는 자기공명영상법(MRI)을 사용하여 실험 전, 후 실시하였다. 운동군은 대요근과 대퇴부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기계를 사용하여 평균 주 2일, 12주 동안 23번의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대요근의 측정부위는 L4와 L5의 중간부위를 분석하고, 대퇴부는 대퇴골과 무릎까지 길이를 나누어 50%부위에서 분석하였다. 트레이닝 후, 운동군의 대요근 근횡단면적은 9.4% 증가하였다(남성 11.5%, 여성 8.4%). 그러나 대퇴부 근 횡단면적은 남녀 모두 운동 후 증가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같은 기간 대조군의 근 횡단면적에서도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요근은 자세 유지와 허리, 골반 및 대퇴부의 연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특히 노인의 이동활동에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된 트레이닝 기계를 사용하여 단기간트레이닝 후, 대요근 근 횡단면적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노인들의 근력 및 이동능력의 향상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저강도의 저항성 운동 시 혈류제한 적용이 노인여성의 근 비대와 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Muscle Volume and Strength in Elderly Women)

  • 여효성;김효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35-544
    • /
    • 2015
  • 이 연구는 노인 여성에 대한 저항성 훈련 시 혈류제한(blood flow restriction)을 적용할 경우 저강도 운동을 통해서도 하지의 근력과 근육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16명의 노인 여성(연령 70.9±4.6)을 저강도 운동 집단(30% 1 RM, n=8)과 고강도 운동 집단(75% 1 RM, n=8)으로 구분하였다. 두 그룹 모두 우측 하지는 대퇴 근위부에 혈류제한용 커프(cuff)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측 하지는 혈류제한 장치 없이 동일한 운동을 수행한 후 트레이닝 전·후의 근육량과 근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은 leg press, leg extension, leg curl을 12회 반복으로 3세트씩 총 10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자기공명영상분석기(MRI)로 근 횡단면적(CSA)과 근육량을 산출하였으며, 체성분 변화는 이중에너지 방사흡수 계측기(DEXA), 근력 평가는 등속성 운동 장비(HUMAC Norm)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10주간의 저항성 훈련 후 혈류제한을 적용한 상태에서 고강도 운동을 수행한 집단의 대퇴사두근 근횡단면적(15.2%, p<.001)과 근육량(13.8%, p<.001)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혈류제한 상태에서 저강도로 운동한 집단의 횡단면적(9.8%, p<.001)과 근육량(6.9%, p<.001)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근력은 운동 수행만으로도 향상되었으나 혈류를 제한할 경우 향상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혈류제한을 적용할 경우 저항성 운동을 저강도로 수행하더라도 노인 여성의 근 비대와 근력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20대와 40대의 급성 및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주위 근육에 관한 횡단면의 비교 (Characteristic of Cross-sectional Area of Lumbar Paraspinal Muscle in Patients of Acute and Chronic LBP)

  • 김대훈;박진규;박윤진;정대인;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70-278
    • /
    • 2011
  • 이 연구는 20대와 40대의 급성과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척추 주위근육의 단면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20대(남자-9, 여자-10)와 40대(남자-8, 여자9)의 대상자들은 MRI로 요추(4번 하부 종단판) 단면도의 척추주위근육(장요근, 다열근, 척추기립근)들의 크기를 PACS(free-handling technique of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20대 급성과 만성 요통 환자들의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으나, 40대 급성과 만성 요통환자들의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는 만성 요통환자들이 근 위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또한 20대와 40대의 만성요통환자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도 40대 만성요통 환자들에게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20대 만성환자들의 근 위축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40대 만성환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근 위축이 나타났다. 따라서 40대의 만성 요통환자들은 조기의 다양한 요부 근력 운동 및 기능적 활동 등으로 허리 주위근육의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스테로이드치료 전 운동이 스테로이드 치료에 의해 유발된 쥐의 위축 Type I, II 뒷다리근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on Type I and Type II Hindlimb Muscles in a Rat Model)

  • 최명애;안경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1-9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ily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on mass, the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hindlimb muscles in a rat model. Method: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n=10) that had a normal saline injection for 7days, a steroid group(n=10) that had a steroid injection for 7days, and an exercise-steroid group(n=10) that ran on the treadmill for 7days before a steroid treatment.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easured every day. At 15 days all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were dissected. Result: The exercise-steroi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steroid group in body weight, muscle weight of the soleus and gastrocnemius, type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eroi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diet intake, muscle weight, the type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Conclusion: Daily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attenuates hindlimb muscle atrophy, with type II muscle changes more apparent than type I muscle changes.

슬링 운동과 보존적 치료가 요부근육의 횡단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and Conservative Treatment on Cross-section Area Change of Lumbar Muscles)

  • 이우형;정성관;박래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33-243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therapy on the relief of low back pai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change of lumbar muscles by CT analysis for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 Forty-one patients with diagnosis of chronic low back pain was divided sling exercise therapy group(SEG) 19 subjects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CPG) 22 subjects. we randomized and treated them(subjects) for 12 weeks. As using visual analogue scale(VAS), we evaluated recovery accuracy of pain, and for investigating cross-section area change of lumbar muscles for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used computed tomography(CT). Results :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treatment period, in each compared testing on VAS of SEG and CPG, the both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5). 2) Compared testing on VAS of between-subject groups(SEG and CP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5). 3) At SEG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compared testing on cross-section area size of lumbar muscles, All muscles of psoas major, quadratus lumborum, erector spinae and multifid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5). At CPG, psoas maj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5). But other musc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5). Conclusion : From this result, both sling exercise therapy and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re effect on decrease of pain for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but Increasing of the cross-section area being proportioned with muscular strengthening of low back muscle is noticeable difference in SEG. Therefore, sling exercise therapy have affect both decreasing of pain for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nd lumbar muscles strengthening.

요추간판 수핵 탈출증 환자의 요부 척추 주위근 내 지방침윤 비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at Infiltration Ratio in Lumbar Paraspinal Muscle of Patient with Herniated Intervertebral Lumbar Disc)

  • 공봉준;이중호;용민식;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54-526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부위의 요부 추간판 탈출과 척추 주위 근 내 지방침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의 체질량지수(BMI)와 성별에 따른 요부 주위 근의 지방 침윤율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30~50세 사이의 중증 추간판 탈출증 환자로 수술적 요법을 시행할 또는 실시한 환자 남녀 40인으로 구성하였고, 측정 및 방법은 환자의 신체계측을 통해 BMI를 산출하였으며, L2-S1까지 디스크 중앙 횡단면에서 요부 주위 근의 단면적과 지방 침윤 면적을 측정하여 근육 내 지방의 침윤율을 계산하였다. 연구 분석은 지방침윤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고, 요추 레벨 간 지방침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다. 또한, BMI와 요부 전체 지방 침윤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를 제어변수로 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지방침윤의 남녀 차이는 상위요부(L2-L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을 뿐, 나머지 요부(L3-S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요부 레벨 간 지방침윤율의 변화는 요추3, 4에서 요추4, 5번에서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요부(L2-S1)주위 근의 지방 침윤과 체질량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