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위축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두충이 좌골신경손상 흰쥐의 후지 근육위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e Cortex on Hind Limb Muscle Atrophy of Sciatic Nerve Transectioned Rats)

  • 조재헌;김건식;차재덕;이현삼;최현;정혁상;손낙원;손영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454-1461
    • /
    • 2008
  • In oriental medicine, it is known that Eucommiae Cortex (EC) has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ve effects on the bone-muscle dysfuncti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C on the skeletal muscle atrophy. The muscle atrophy was induced by unilateral transection of the sciatic nerve in Sprague-Dawley rats. EC (water-extract, 170mg/100 g body weight) was treated once a day for 12 day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C examined the muscle weight of hind limb, cross section areas of muscle fibers, fiber type compositions, apoptosis related factors (Bax and Bcl-2). EC reduced muscle atrophy in soleus (SOL), medial gastrocnemius (MGT), extensor digitorum longus, and tibialis posterior significantly in the damaged hind limb. EC increased type-I muscle fibers and decreased type-II muscle fibers significantly in SOL of the damaged hind limb. EC enlarged cross section areas of type-I and type-II muscle fibers significantly in SOL. EC enlarged cross section areas of type-I and type-II muscle fibers significantly in. EC reduced apoptotic nuclei and atrophic muscle fibers in SOL and MGT. EC reduced Bax positive muscle nuclei in SOL and MGT. EC up-regulated Bcl-2 positive muscle fibers in SOL and MG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 has an anti-atrophic effect and anti-apoptotic effect against myonuclear apoptosis induced by the peripheral nerve damage.

제주 조랑말에서의 말운동신경세포질환 일례 (Equine Motor Neuron Disease in a Jeju Pony)

  • 이상규;한재익;강현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2-145
    • /
    • 2013
  • 말운동신경세포질환은 척수와 뇌간에 존재하는 운동신경의 변성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병하는 말의 신경성 질환이다. 8년령의 제주 조랑말 거세마 1두가 체중감소, 근육진전, 잦은 횡와, 낮은 두위, 발한, 사지를 모아 서있는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환마는 장기간 동일한 마방 내에서 초지 방목 없이 건초와 농후사료로 사육되었다. 혈청 생화학검사 결과 혈청 비타민 E(0.14 ${\mu}g/mL$; 정상 > 1.5 ${\mu}g/mL$)의 감소, CK(402 IU/L; 정상 119-287 IU/L) 및 AST(876 IU/L; 정상 226-336 IU/L)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포도당 경구흡수시험에서는 부분적 흡수장애를 나타내었다. 미근부 근육생검 후 조직검사 결과 근섬유 위축과 비대, 핵 중심화, 변성 및 괴사된 근섬유가 관찰되었다. 상기의 내용을 종합하여 환마는 말운동신경세포질환으로 진단되었다. 경구 비타민 E 투여 5주 후, 환마는 정상적으로 개선된 기립자세와 두위, 횡와 빈도의 감소 및 체중증가를 보였다. 본 증례는 한국의 제주 조랑말에서 발생한 말운동신경세포질환으로서 비타민 E 치료에 성공한 최초의 보고이다.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적용이 위축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Pre-application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trophic Muscle Function)

  • 강종호;김용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1-69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수 기간 중 적용한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 적용이 흰쥐 뒷다리 근육의 무게와 후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25마리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14일 동안 현수한 HLS군(n=5)과 14일 동안 자유롭게 사육한 WB군(n=5), 현수 기간 중 14일간 사전 전기자극을 실시한 ES14군(n=5), 현수 기간 중 11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11군(n=5), 현수 기간 중 7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7군(n=5)에 무작위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HLS군과 ES7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 후지 활보장의 유의한 감소와 외향각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ES14군과 ES11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와 후지 활보장, 외향각이 유의하게 유지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즉, 14일 및 11일의 사전 신경근 전기자극이 근위축 지연과 근기능 보존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근위축 예방 및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신경근 전기자극을 가능한 조기 적용해야함을 알려주고 있다.

국내분리 chicken anemia agent의 닭에 대한 병원성과 야외계군의 항체 보유상황 (Pathogenicity of a Local Isolate of Chicken Anemia Agent for Chickens and Prevalence of Antibody in Chicken Flocks)

  • 김선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1-150
    • /
    • 1991
  • 국내에서 분리된 CAA의 병아리에 대한 병원성시험과 야외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 보유상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AA국내 분리주 89-69를 감수성이 있는 1일령의 SPF병아리에 접종하였을 때 접종 14일 후 심한 빈혈과 흉선 및 Fabricius낭의 위축이 유발되었고 접종계 및 그 동거계에서 CAA가 재분리되었다. 2. CAA분리주 89-69를 유래가 다른 1일령의 SPF 두 계군의 병아리에 각각 근육접종하였을 때 두 계군간 CAA분리주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이는 이 두 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보유율과 관련이 있었다. 3. 간접형광항체반응 시험으로 야외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보유상항을 조사한 결과 39계군중 29계군(74%)이 CAA에 대한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SPF계군중 한 SPF계군에서도 항체가 검출되었다.

  • PDF

Dexamethasone에 의하여 유발된 근육 위축 생쥐의 비복근 근섬유에서 apoptosis와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오미자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chisandrae Fructus Supplementation on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Gastrocnemius Muscle of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Mice)

  • 최영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3-374
    • /
    • 2017
  • Dried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ructus Schisandrae, have been widely used for many years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diseases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Russia.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extracts of Fructus Schisandrae are effective for controlling muscle and skeletal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ethanol extract of Fructus Schisandrae (EEFS) on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gastrocnemius muscle of dexamethasone-induced catabolic muscle atrophy mice as part of natural substance discovery and functional analysis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EFS supplementation attenuated body weight gains and suppressed calf thickness loss in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ic mice. Gastrocnemius muscle immunohistochemistry showed that expression of caspase-3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which are representative apoptotic markers, was markedly increased in dexamethasone control mice; however, their expression was effectively reduced in the EEFS-fed mice. EEFS supplementation also prevented dexamethasone-induced increases in immunoreactivity of muscle fibers for myostatin, an important negative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mass. In addition, EEFS significantly normalized the increased numbers of nitrotyrosine, 4-hydroxynonenal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positive muscle fibers compared to that found in dexamethasone control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EFS protects dexamethasone-induced muscular atrophy by decreasing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s, and EEFS is more likely to be developed as a muscle strengthening agent.

백합, Meretrix I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 Meretrix Iusoria)

  • Lee, Ju-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41
    • /
    • 1997
  • 전북 김제시 심포에서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합은 자웅이체이고 난생을 하며,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의 하부로부터 족부의 근육부근까지 분포하며, 성숙되면 팽대되지만 방란, 방정 후에는 위축된다. 생식소는 많은 난자형성여포들과 정자형셩여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에는 호산성 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영양물질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소실된다. 초기활성기의 난원세포는 직경 10$\mu\textrm{m}$ 내외이며, 초기 난모세포는 난병을 여포벽에 부착한 채 성장을 하여 70$\mu\textrm{m}$ 내외의 완숙란으로 된다. 정원세포가 성장을 하여 정보세포, 정세포를 거쳐 변태를 마친 정자는, 정자형성소낭의 중앙 내강에 정자속을 형성한다.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생식세포가 퇴화 흡수되면서 비활성기를 지나 이듬해 수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발달을 시작한다. 생식주기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기 활성기(1-3월), 후기 활성디 (2-5월), 완숙기(4-8월), 부분 방출기(6-9월), 퇴화 및 비활성기(9-2월)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은 6월 (22$^{\circ}C$)부터 9월 ($25^{\circ}C$)까지 지속되지만, 산란성기는 7월(27$^{\circ}C$)-8월(28$^{\circ}C$)이다. 생식소지수는 1월에 0.58을 나타내며 5월에 4.60으로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는 1.0미만에 머무른다.

  • PDF

스테로이드치료 전 운동이 스테로이드 치료에 의해 유발된 쥐의 위축 Type I, II 뒷다리근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on Type I and Type II Hindlimb Muscles in a Rat Model)

  • 최명애;안경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1-9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ily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on mass, the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hindlimb muscles in a rat model. Method: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n=10) that had a normal saline injection for 7days, a steroid group(n=10) that had a steroid injection for 7days, and an exercise-steroid group(n=10) that ran on the treadmill for 7days before a steroid treatment.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easured every day. At 15 days all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were dissected. Result: The exercise-steroi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steroid group in body weight, muscle weight of the soleus and gastrocnemius, type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eroi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diet intake, muscle weight, the type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the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Conclusion: Daily exercise before steroid treatment attenuates hindlimb muscle atrophy, with type II muscle changes more apparent than type I muscle changes.

피부주름살의 발생기전 및 원인 (Generation Mechanism and Cause of Wrinkle)

  • Chung Jin H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5
    • /
    • 2003
  • 새 천년으로 들어선 2000년도부터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7.1{\%}$를 차지하게 되어 본격적인 노령화사회 (UN에서 65세 이상인구가 총 인구의 $7{\%}$ 이상일 경우 노령화 사회로 정의)로 진입하였다. 평균수명의 계속적인 증가에 따라 노인 인구는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며, 따라서 노인성 질환의 발생도 늘어나게 되어 가정 또는 사회가 떠 맡아야할 경제적, 정신적 부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건강하고 행복한 인생의 황혼기를 보내는 것은 인간의 권리이며 누구나 바라는 소망이다. 피부의 노화현상은 심장질환, 암 등에 못지 않게 중요하며, 노인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심각하게 위축시키고 있다.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노인성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노인의 경제, 사회활동을 활동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한가지는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로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두번째는 광노화 (photoaging)로서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예방할 수 있는 피부노화 현상이다. 내인성 노화는 햇빛에 노출되지 않은 피부에서 주로 관찰된다. 임상적 특징은 비교적 경미하며, 잔주름, 피부건조증, 탄력감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광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심하고, 일찍부터 관찰된다.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굵고 깊은 주름이 발생하며, 잔주름도 많이 발생한다.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 불규칙한 색소침착이 발생하며 일광흑자 (solar lentigo) 등의 색소질환이 증가한다.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심한경우 피부가 처지게 된다. 피부노화의 대표적인 증상은 주름살이며, 아직까지 그 발생기전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피부에 존재하는 교원질, 탄력섬유등 기질단백질의 손상이 피부 주름살의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얼굴에 존재하는 근육의 분포와 움직임, 유전적 소인, 자외선, 흡연, 폐경, 산화적 손상, 열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주름살의 원인을 밝히고, 원인인자가 피부주름살을 초래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함으로써 주름살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 후 회복기의 규칙적인 운동이 어린 쥐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위축 Type II 근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r Exercise during Recovery Period Following Steroid Treatment on the Atrophied Type II Muscles Induced by Steroid in Young Rats)

  • 최명애;신기수;안경주;최정안;이윤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0-55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ow intensity regular exercise following dexamethasone treatment could attenuate steroid-induced muscle atrophy. Method: 36 Wistar-rats(90-110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ntrol group(C), dexamethasone treatment group(D), sedentary group after normal sedentary period(C+S), sedentary group after dexamethasone treatment period(D+S), exercise group after normal sedentary period(C+E), and excercise group after dexamethasone treatment period(D+E). D, D+S, and D+E groups received dexamethasone injection(5mg/Kg) for seven days whereas C, C+S, and C+E groups received normal saline injection. Both C+E and D+E groups ran on a treadmill for 60 minutes/day(20minutes/4hours) at 15m/min and a 10$^{\circ}$grade for seven recovery days. Result: Post-weight(body weight before muscle dissection) of 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y 16.03%, and that of D+E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by 15.51% compared with pre-weight(body weight before steroid treatment). TypeII muscle(plantaris and gastrocnemius) weights of 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 group. Myofibrillar protein contents of typeII muscles of D group tended to decrease comparing with C group. In D+E groups, body weights and relative weights of typeII muscles(muscle weight(mg)/post-weight(g)) tended to increase comparing with D+S group.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teroid- induced muscle atrophy can be ameliorated through low intensity regular exercise after dexamethasone treatment.

비복근 위축 토끼 모델에서 직류 및 교류 미세전류의 근육 재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Regeneration Effects of Direct and Alternating Microcurrent Therapy on Atrophied Calf Muscle in a Rabbit)

  • 김동한;권동락;문용석
    • Clinical Pain
    • /
    • 제19권2호
    • /
    • pp.80-89
    • /
    • 2020
  • Objective: We compared the regenerative effects of microcurrent therapy (MT)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ic current, which were direct current microcurrent therapy (DCMT) and alternating current microcurrent therapy (ACMT) on atrophied calf muscle in cast-immobilized rabbit. Method: Rabbits were allocated into control group (sham MT), ACMT group, and DCMT group. Before starting treatment, right gastrocnemius (GCM) muscle was immobilized by cast for 2 weeks.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of tibial nerve in nerve conduction study, circumference of calf muscle using a ruler, and thickness of medial and lateral GCM muscle measured by ultrasound, cross sectional area (CSA),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ratios (%) of muscle fibers were measured on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atrophic changes (%) in right medial and lateral GCM muscle thickness, right calf circumference, and amplitude of CMAP of the right tibial nerve in ACMT group and DCM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5). The mean CSA (μm2) of type I and type II and PCNA ratios (%) of medial and lateral GCM muscle fibers in ACMT group and DCMT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CMT group and DCMT group at all parameter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CMT and DCMT showed better regeneration effect than sham MT. Microcurrent may be effective in regeneration of atrophied muscle regardless of the type of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