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무장소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the effect of sex on choice of occupation and work location and on earnings : Comparison of on-site workers with home-based workers in the U.S. (성별(性別)이 직업과 시장노동 장소의 선택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직장근무자와 재택근무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효정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6 no.7
    • /
    • pp.123-141
    • /
    • 1998
  • 본 연구는 미국의 직장근무자와 재택근무자의 비교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소득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설명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은 직업과 시장노동의 장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요소이다. (2)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가 결정된 후에도 성별은 시간당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연구자료로는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1990 [United States]: Public Use Microdata Sample: 1/10,000 Sample이 이용되었으며, 16세 이상, 65세 이하의 응답자로 일주일에 적어도 한 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를 중심으로 하여 7,272명이 연구 대상으로 고려되었다.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에 대한 선택에서 성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판별분석이 행해졌으며, 분석 결과 교육수준, 연령, 인종, 남녀의 수, 주택구조와 함께 성별이 유의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직업과 시장노동의 장소가 결정된 후 성별이 시간당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표본과 6개의 직업범주에 따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의 결과, 시간당 소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의 직업범주에 따라 시간당 소득을 추정한 결과, 성별은 모든 직업범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택근무자가 되는 것은 시간당 소득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정 직업 내에서 시장노동의 장소보다는 성별이 재택근무자에 있어서 소득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에 대한 결정이나 소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고, 또한 재택근무자의 표본수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일부 변수들은 직업의 선택이나 소득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들로 포함될 수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며,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정의나 그 중요성과 가치, 그리고 실태 파악과 같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 PDF

Clustering Analysis of Smart Flexible Work Arranagement (스마트 유연근무제 유형에 관한 연구)

  • Jung, Jin-Taek;Lee, Yoon-M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169-175
    • /
    • 2013
  • Smart flexible work has been a topic of considerable interest to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ublic policy advocates as a tool to help individuals manage work and family ro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smart flexible work arrangement and analyzed the organizational units associated with it. We found tha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mart flexible work and the specific types of flexibility make a difference in the effects found. And we proposed on the direction of policy promo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troduction of smart flexible work.

유연근무제 확대 및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활성화 방안

  • Gwak, Im-Geun;Kim, Jong-Bae;Lee, Nam-Yong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8 no.2
    • /
    • pp.59-72
    • /
    • 2011
  • 조직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공공부문에 도입한 유연근무제가 제도시행 2년차에 접어들었다. 근로자들에게 일하는 시간과 장소에 있어서 유연성을 제공하게 되어 일-가족 양립이라는 현실적인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 결과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사기진작으로 이어지면서 생산성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도 도입 첫 해인 2010년도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근무유형별로는 시차 출퇴근제가 9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신청사유별로는 여가 자기계발, 출퇴근 편의, 효율적 업무수행, 임신 육아 순이 20%내외로 고루 분포되었다. 남녀의 비율별로는 남성이 63.3%, 여성이 36.4%로 전체공무원 남녀비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시행 초기인 점을 고려하여 설문을 통하여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법령 제도상 문제점과 공직문화 내부 장애요인을 도출한 후 SWOT chart 분석기법을 통해 향후 활성화 방안 및 추진계획을 제시하였다. 특히, IT기술의 발달로 인한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선진화된 근무방식인 스마트워크의 확충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계획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ized Business-Work Management System(WMS) Using Mobile App and GPS (모바일 앱과 GPS를 이용한 특화된 근무관리시스템(WMS)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 Koo, MinJeong;Yoon, KyungBae;Ko, ChangB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8
    • /
    • pp.359-365
    • /
    • 2013
  • Companies recently tend to move their business sites to a customer-centered location and the work place is changed from specific time and place to a working environment of anytime and anywhere the job can be done. Therefor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usiness-work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s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business-work management system, a mobile application using GPS,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ERP system and is stored into a company's formula DB, at such sites outside the company as business trip destinations, training institutions, and outside meetings, through smartphone-based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WiFi, 3G, LTE, or 4G. In this way, it is aimed to design and develop the mobile application system to obtain rapid authorization in connection with electro nic document approval system. Also,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ystem's productivity and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users' survey results by actual application of the designed and developed system to companies.

The Effect of Workplace Flexibility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Chang, Ouk-jin;Lee, Sang-jik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6 no.3
    • /
    • pp.185-202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catalyzed major changes in our work environment, underscoring the critical role of workplace flexibility. While a wealth of research exists on specific flexible work strategies and schedules, a broader understanding of workplace flexibility has been somewhat overlooked. This study aimed to bridge this gap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ur sample consisted of 300 employees from foreign businesses in th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ervice sector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long with those from the top 50 leading Korean enterprises. We bifurcated workplace flexibility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for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ur results revealed that within the quantitative category, the flexibility of continuity of work and flexible place significantly enh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the flexibility of work schedules didn't have a marked impact on commitment levels. On the qualitative side, job autonomy and teamwork emerged as significant drive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s worth noting that qualitative aspects of workplace flexibility had a more pronounced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e quantitative elem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workplace flexibilit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embracing both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For businesses aiming to maximize the benefits of flexibility, it's essential to cultivate a culture of open communication, champion collaboration, and prioritize job autonomy and teamwork. Establishing a work environment that actively supports feedback-oriented communication stands as a key component in this endeav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Assistant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종합병원 간호조무사들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요인)

  • Kim, Gwang-Jin;SaKong, J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4 no.2
    • /
    • pp.296-304
    • /
    • 2007
  • Background :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predict job satisfaction of assistant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aterial and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assistant nurses in the Daegu region from January 1, 2006 to January 31, 2006. Originally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291 were completed. The data was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uch as the frequency,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 Among the respondents, the average score for job satisfaction was lowest in the university-trained nurses and highest in the nurses who had only graduated from high school. Conclusion : The working conditions, work place and motivatio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re was lower job satisfaction in those nurses who wanted to change their occupation.

  • PDF

Secur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QRcode in Smart work environment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QR코드를 이용한 안전한 승인 인증 시스템)

  • Lee, Kwang-Hee;Kim, Soo-Hyu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805-808
    • /
    • 2011
  • 스마트워크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유연한 근무형태를 말한다. 스마트워크 근무 유형에는 가정에서 본사 통신망을 접속해 업무를 수행하는 재택근무와 주거지 인근 원격사무실에 출근하는 스마트워크 센터 근무, 그리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이동근무가 있다. 스마트워크를 통하여 기업들은 업무 효율과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도시 교통 혼잡을 줄이고 여성의 육아부담을 줄일 수 있어 정부에서 확대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스마트워크의 특성상 원격으로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하므로 공격자가 로그인 정보를 취득 시에는 위협이 존재한다. 또한 스마트워크 센터에서 사원 관리 취약성과 비인가자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QR코드를 이용한 승인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텔레프레즌스 기술 표준화 동향

  • Lee, Jong-Hwa;Gang, Sin-Ga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2
    • /
    • pp.25-30
    • /
    • 2012
  •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편리하게 근무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워크 활성화"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중에 있다. 스마트워크 유형으로는 모바일 오피스, 홈 오피스, 스마트워크 센터 그리고 스마트 오피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근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약없는 정보 공유와 상호 협력이 가능하도록 원격 협업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원격 협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영상회의 경우, 이미 상용화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기종 제품간 상호연동이 되지 않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영상회의 시스템은 실제 참가자들이 동일한 장소에 모여 회의를 하는 것처럼 실감적인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텔레프레즌스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다. ITU-T, IETF, IMTC 국제 표준화 단체에서는 여러 유형의 영상회의 또는 텔레프레즌스 시스템간 상호 연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동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TU-T SG16 Q5, IETF CLUE 워킹그룹에서 진행중인 최신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공공 및 민간기관에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해 이기종 영상회의 시스템간 연동이 가능한 국내 표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요 기술 이슈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진동.소음이 구조물 및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 이정수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109-112
    • /
    • 1987
  • 산업이 고도화 되면서 기계장비의 중량화와 고속화가 가속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다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의 건물 및 주택가에 소음공해가 심하며, 고속도로 및 철도연변의 건물 및 주택가는 비록 차음벽을 설치하여 많은 소음을 차단해 주지만 미흡한 상태다. 또한 철도 진동이 주위 건물 기초로 전파하여 건물의 진동을 유발하여 건물벽체가 갈라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차음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공기음을 차단하며, 건물의 유리창은 가능한 한 2겹유리(pair glass)를 사용한다. 또한 철도 연변의 건물기초는 베어링 페드를 사용하여 지반으로 전파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안락한 주거환경 및 근무환경을 조성하리라 생각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Group-ware System based on Absenteeism and Tardiness Management using Bluetooth Low Energy Beacon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 비콘을 이용한 근태관리 기반의 모바일 그룹웨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won, Jin-Gwan;Song, Je-O;Hong, Seung-Min;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01-502
    • /
    • 2018
  • ICT기술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모든 분야에서 비약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는 경영정보시스템들도 다양한 형태로 개선되거나 융합되어지고 있다. 특히, 재택근무, 이동근무, 원격 협업 등의 ICT기술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워크는 기업의 근무행태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일환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Beacon)을 이용한 모바일 형태의 그룹웨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