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관형태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Nickel-Titanium file과 Stainless steel file을 이용한 근관형성시 컴퓨터 단층촬영사진상의 근관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OT CANAL MORPHOLOGY CHANGE BY NICKEL-TITANIUM AND STAINLESS STEEL FILE INSTRUMENTATION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 소문섭;임미경;이건일;이용근;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659-669
    • /
    • 1997
  • The goals of root canal instrumentation are complete debridement of pulp tissue, removal of microbes and affected dentin, and proper cleaning and shaping of the root canal space before obturation. Instrumentation with stainless steel files has been shown to produce undesirable results in canals, regardless of the improved technique or modified file type used. Nickel-Titanium(Ni-Ti) alloy has been shown to be exceptionally elastic, having a lower bending moment and lower permanent set after torsion, compared with similar gauge stainless ste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root canal prepared by Ni-Ti rotary and stainless steel instruments. Thirty-four single rooted teeth of similar shape and canal siz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teeth were scanned by computed tomography before instrumentation. In group 1, canals were instrumented using a step-back technique with K-file. In group 2, canals were prepared with K-flex file using the same technique as group 1. Group 3 was prepared with nickel-titanium(Ni-Ti) rotary instrument using a manufacture's instruction. Instrumented teeth were again scanned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reformated images of the uninstrumented canals were compared with images of the instrumented canals. K-flex file and Ni-Ti file caused significantly less canal transportation than K-file in the 8mm root canal section from the apex(p<0.05). K-flex file and Ni-Ti file produced more centered canal preparation than K-file in the 2mm section(p<0.05). Ni-Ti file maintained more precisely the center of the canal than K-flex file in the 10mm section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oved volume of canals among each groups.

  • PDF

투명표본(透明標本)에 의(依)한 하악제1대구치(下顎第1大口臼齒)의 근관형태(根管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MANDIBULAR FIRST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류근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권1호
    • /
    • pp.7-11
    • /
    • 1977
  • One hundred and thirteen human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study, in vitro,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the number of root canals, canals per root, frequency and location of transverse anastomoses,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and frequency of the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teeth showed three canals, but 21. 25% of the teeth were found to have two canals and 21. 25% of them four canals. 2. In so far as observing two canals per root, 77.0% of teeth were found to have two canals in mesial root and 25.7% of them in distal root. 3. In roots with two canals, the sepa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59.8% in mesial side and 40.0% in distal side, and the common apical foramen 40.2% in mesial side and 60.0% in distal side. 4. Of the two root canals in one root, 37.3% of the canals were found to have transverse anastomoses and were usual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5. 25.7% of 113 teeth were found to have lateral canals, and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투명표본(透明標本)에 의(依)한 하악제삼구치(下顎第三臼齒)의 근관형태(根管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MANDIBULAR THIRD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7권1호
    • /
    • pp.59-63
    • /
    • 1981
  • Ninety four human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chosen to study the anatomy of the root canal. The experimental teeth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study, in vitro,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the number of root canals, canals per root, frequency and location of transverse anastomoses,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and frequency of the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teeth showed two canals, but 17.0% of the teeth were found to have one canal, 17.0% of them three canals, 3.2% of them four canals and l.1% of them five canals. 2. In so far as observing one canal per root, 17.0% of the teeth were found to have one canal in single-rooted tooth, 48.9% of them in mesial root and 58.5% of them in distal root. 3. In roots with two or three canals, the sepa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in 55.6% in single-rooted tooth, 64.3% in mesial side and 80.0% in distal side, and the common apical foramen appeared in 44.4% in single-rooted tooth, 35.7% in mesial side and 20.0% in distal side. 4. Of the two root canals in one root, 19.1% of the canals were found to have transverse anastomoses and were usual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5. 63.8% of 94 teeth were found to have lateral canals, and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투명표본(透明標本)에 의(依)한 하악제2구치(下顎第二臼齒)의 근관형태(根管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AY ON THE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MANDIBULAR SECOND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5권1호
    • /
    • pp.47-51
    • /
    • 1979
  • Fifty two human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chosen to study the anatomy of the root canal. The experimental teeth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study, in vitro,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the number of root canals, canals per root, frequency and location of transverse anastomoses,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and frequency of the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teeth showed three canals, but 19.2% of the teeth were found to have two canals and 9.6% of them four canals. 2. In so far as observing two canals per root, 80.8% of the teeth were found to have two canals in mesial root and 9.6% of them in distal canal. 3. In roots with, two canals, the sepe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in 59.5% in mesial side and 40.0% in distal side, and the common apical foramen appeared in 40.5% in mesial side and 60.0% in distal side. 4. Of the two root canals in one root, 36.2% of the canals were found to have transverse anastomoses and were usual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5. 23.1% of 52 teeth were found to have lateral canals, and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단근 소구치의 근관계 형태에 따른 치근단 부위의 근관 형태 (The apical root canal shape according to the root canal system of premolars with single root)

  • 박민수;황호길;조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호
    • /
    • pp.63-70
    • /
    • 2017
  • Materials and methods: Sixty extracted premolar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oot canal system (Weine's classification; type I, II and III) of 20 teeth each using radiographic examination. The root tip was cut horizontally 1 mm from the anatomical apex and the apical cross-section was visualized using microscope at x50 magnification and photographed. Minimum and maximum apical root canal diameter of each tooth was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y canal morphology (round, oval and flattened shap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pical root canal diameter and morphology according to the root canal system. Results: In apical root canal morphology at cross-sectional view, the most common shape was round in type I, flat in type II, and oval in type III. In apical root canal diameters at cross-sectional view,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diameter in all types (p<0.05). The maximum diameter was 0.331 mm in type I, 0.519 mm in type II, and 0.310 mm in type II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ype I, III and type II (p<0.05). Conclusion: The morphology and diameter of apical root canal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ot canal system. Therefore,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apical file size in view of the apical root canal shape according to the root canal system.

  • PDF

치아형태이상을 가진 터너 증후군 환자의 치과적 관리 (Dental Management in a Patient with Turner Syndrome with Dental Anomalies : A Case Report)

  • 이한이;신세영;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86-392
    • /
    • 2018
  • 터너 증후군이란 한 개의 X 염색체와 전부 혹은 부분이 결여된 X 염색체를 나타내는 염색체 이상 질환이다. 치근 형태 이상이 터너 증후군 환자에서 정상에서보다 호발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치근의 이러한 특징은 근관치료를 까다롭게 만들고, 특수한 처치를 요하기도 한다. 또한 터너 증후군 환자들은 종종 심장 또는 신장의 기형과 같은 전신적인 문제를 동반하기도 하므로, 임상의는 터너 증후군의 특징적인 구내 소견을 인지하고, 사전에 구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들이 정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10세 때에 터너증후군 진단을 받은 12세 여자 환자가 하악 양측 소구치 부위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했다. 특징적으로 하악의 모든소구치에서 우상치와 치외치가 관찰되었다. 하악 양측 제1소구치는 세 개의 치근을, 근단부 병소를 보이는 하악 양측 제2소구치는 두 개의 치근을 가지고 있었다. 근관의 복잡한 해부학적 특징 때문에 치과 현미경을 이용한 적절한 시야를 확보하여 근관치료를 마무리 했다. 2년간의 정기적인 관찰 결과 해당치아와 관련된 임상적 징후나 증상, 치근단 병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증례 보고를 통해 터너 증후군 환자의 구강내 특징과 이의 치과적 관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레진계 근관실러와 AH Plus Jet의 물성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a new resin-based root canal sealer in comparison with AH Plus Jet)

  • ;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80-87
    • /
    • 2017
  • 목적: 이 연구는 새로운 레진계 근관실러인 Any-Seal의 여러 물성을 AH Plus Jet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흐름성, 방사선 불투과성, 압축 강도를 ISO 6876/2001기준에 의해 측정하였다. 흐름성은 실러 0.05 mL를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놓고 100 g의 무게로 눌러 측정했다. 실러 혼합 10분 뒤 무게를 제거하고 눌려진 실러의 지름을 측정했다. 방사선 불투과성은 각 근관실러를 지름 10 mm, 높이 1 mm의 디스크형 시편으로 만들어 aluminum step wedge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여 분석했다. 압축 강도는 각 실러를 4 mm 지름과 6 mm 높이의 실린더 형태로 만든 다음 24시간 후와 1주일 후에 측정했다. 결과: 두 근관실러의 흐름성과 방사선 불투과성 값은 ISO 6876/2001조건에 맞았다. 흐름성은 AH Plus Jet와 Any-Seal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AH Plus Jet가 방사선 불투과성 값을 나타냈다(P < 0.05). 24시간 후와 1주일 후 모두에서 AH Plus Jet가 더 높은 압축 강도를 보였다(P < 0.05). 결론: Any-Seal이 낮은 압축 강도를 보였으므로 다른 물리적, 생물적 특성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임상적 활용 전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치내치를 동반한 상악 전치의 근관치료 (Root canal therapy of anterior teeth with dens invaginatus)

  • 김지수;배꽃별;황윤찬;오원만;이빈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1호
    • /
    • pp.31-38
    • /
    • 2024
  • 치내치(dens in dente)는 치아 조직이 석회화되기 전에 발생하는 발달 이상이다. 치내치의 치수 조직은 구강에 직접 노출되거나 함입 부위의 법랑질 및 상아질 결함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치내치는 치수 괴사와 그에 따른 치근단 치주염의 가능성이 높아 진다. 치내치가 있는 치아의 치료는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내치의 해부학적 변이에 대한 세부적인 파악은 적절한 치료계획을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본 증례보고는 Oehler의 제 2형과 제 3형 치내치(dens invaginatus)에 대해 다룬다. 2형 치내치는 함입이 백악-법랑 경계 하방으로 연장되어 치근 내로 함입되어 있으나, 치주인대와 교통하지 않으며, 3형 치내치는 함입부가 치관에서 백악법랑경계(CEJ)를 넘어 연장된다. 함입부를 통한 세균 침입은 치수 및 치근 주위 조직의 염증을 쉽게 일으킬 수 있다. 본 증례보고는 CBCT를 이용한 제 2형 및 제 3형 치내치의 근관 치료 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 증례보고 (DENS INVAGINATUS AND TALON CUSP CO-OCCURING: REPORT OF THREE CASES)

  • 임성옥;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8-496
    • /
    • 2010
  • 치외치는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서, 치아발육 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설면에도 원추형으로 돌출된 결절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탈론 교두(talon cusp)라 한다.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 설측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가 형성된 형태로서 크기나 전체적인 모양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경부의 법랑질 일부가 함입되어 함입강을 형성하고 그 기저부는 치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수와 개통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탈론 교두(talon cusp)와 치내치는 비교적 흔한 형태 이상이지만, 한 치아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환자에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되거나, 교두 사이 열구가 우식에 이환되어 치수치료가 시행 될 때, 치내치의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합조정, 치면열구전색술 등의 예방적 처치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고, 치수치료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통한 치내치의 근관 형태 파악이 필요하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0세 남아(하악 좌측 중절치)와 8세 여아(상악 우측 중절치) 그리고 7세 남아(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관찰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9세 남아와 8세 여아는 치수 병변으로 인해 치수 치료 중이고, 7세 남아는 병적 소견 없이 교합조정 후 관찰 중이다.

대구치-절치 형태이상 환자의 임상적 치료 및 단기 예후: 증례 보고 (Clinical Management and Short-term Prognosis of Molar-Incisor Malformation Affected Patients: Case Reports)

  • 김효진;임수민;김진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21-130
    • /
    • 2022
  • 대구치-절치 형태이상(MIM)은 비교적 최근에 보고되고 있는 치아의 형태 이상으로, 주로 제1대구치의 치근, 제2유구치의 치근, 상악 중절치의 치관에 형태이상이 나타난다. MIM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나, 공통적으로, 조산을 포함한 생 후 1 - 2년 이내에 발생한 의학적 병력을 가진다. MIM에 영향을 받은 제1대구치는 임상적으로 정상적인 치관 형태를 가지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방사선학적 검사가 꼭 필요하다. 주로 대구치 부위의 극심한 통증과 붓기를 주소로 내원하여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염증이 심하지 않고, 치근의 형태 이상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는 근관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치근주위 염증이 상당히 진행되어 광범위한 치조골 소실이 관찰되는 경우 발치가 불가피하다.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발치 시기와 제3대구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해야 하며, 추후 안정적인 교합을 위해서 적절한 공간 관리와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MIM 환자들은 혼합치열기에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시기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번 증례에서는 두 명의 MIM 어린이의 치료과정과 치료 후 2년의 경과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