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룹 동의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6초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 온병훈;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23-3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골증대술과 동반된 이식된 골의 3차원적인 형태를 평가하고 골이식 재료 및 임플란트의 종류, 수술 방법과 골흡수 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 골증대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골이식재의 부피 및 부위의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잔존 골 이식재의 비율로 측정된 부피 재생은 이식 재료의 형태 및 수술 방법과 연관성이 있었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병원에서 15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과 동반하여 53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촬영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P<0.05). 그리고 수술 방법에 따른 골흡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 비해 지연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이식재의 부피 변화율을 보였다.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 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또한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서 지연 식립한 그룹보다 더 낮은 흡수율을 보여주었다.

Parasympathetic Modulation Plays a Key Role in Initiation of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 Lee, Won-Jae;Shin, Dong-Gu;Hong, Geu-Ru;Park, Jong-Sun;Kim, Young-J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16-231
    • /
    • 2007
  • 배경 : 자율 신경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심박동의 가속 또는 감속은 발작성 심방세동의 시작전 관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방세동 시작 전에 선행하는 두 다른 형태의 심박동의 변화가 자율 신경에 상호작용하는 차이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 발작성 심방 세동이 기록된 105개의 홀터 결과 중에 5분 이상의 발작성 심방세동이 발생하기 전에 최소 한 시간 이상동안 정상 동율동을 보인 55개의 홀터 결과를 선택하여 심박동의 다양성에 대한 시간-우선 및 빈도-우선 분석을 시행하였다. 55개의 홀터 결과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발작성 심방 세동이 발생하기 전 마지막 2분 동안 심박동의 가속이 있었던 결과들을 그룹 A(n=30)로 분류하였고, 심박동의 감소가 있었던 결과들은 그룹 B(n=25)로 분류하였다. 결과 : 그룹 A에서 저명하게 비교적 균일한 평균 RR 간격의 감소($924{\pm}30$ to $835{\pm}28ms$, $P$=0.001)가 관찰되었고, 그룹 B에서는 평균 RR 간격의 증가($831{\pm}32$ to $866{\pm}31ms$, $P$=0.046)가 관찰되었다. 그룹 A는 빈도-우선 분석에서 LF/HF 비가 점진적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증가하였다($P$=0.005). 그룹 A에서 HF normalized units ($HF_{nu}$)값은 $30.8{\pm}4.0$에서 $16.1{\pm}1.8$으로 감소하였고($P$=0.003), natural logarithm-transformed HF ($In$HF) 값은 $4.49{\pm}0.25$에서 $4.07{\pm}0.22$로 감소하였다($P$=0.001). 그룹 A와는 정반대로 그룹 B에서 $HF_{nu}$ 값은 $22.6{\pm}3.2$에서 $30.2{\pm}4.0$으로 증가하였고 ($P$=0.005), $In$HF 값도 $4.27{\pm}0.27$에서 $4.75{\pm}0.33$으로 증가하였다($P$=0.001). LF/HF 비도 그룹 B에서 결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 LF 구성요소의 저명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발작성 심방세동이 시작되기 전에 선행하는 심박동의 가속과 감속을 유발하는 자율신경의 구동은 부교감 신경의 가감조절 때문이다. 부교감 신경의 가감조절이 발작성 심방세동의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산란기 및 성장패턴(allometric growth pattern)과 비만도(body condition)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pawning Season, and Factors Influencing Allometric Growth Pattern and Body Condition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Middle East Sea, Korea)

  • 이충일;한문희;정해근;박현제;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1-149
    • /
    • 2019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산란기, 체장-체중 관계(weight-length relationships, WLRs), 비만도(condition factor)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gonadosomatic index, GSI))의 월변화를 통하여 추정한 명태의 산란기는 12월에서 3월이었다. 전반적인 체장-체중 관계식의 지수값 b는 2.806이었고, 2.778 (암컷)에서 2.980 (미성숙 그룹)의 범위를 나타냈다. b값은 암수 사이에서 유사하였으나, 미성숙 그룹과 비산란기 동안 성숙 그룹 또는 산란기 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만도는 미성숙 그룹에서 성숙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산란기와 비산란기, 암컷과 수컷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XML 메타데이터 엔진 설계 (An XML-based Metadata Engine Design for Effective Retrieval in Video Recording System)

  • 신은영;박성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2-20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검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XML .메타데이터 엔진을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XML 메타데이터를 프래그먼트 단위로 저장하면서, 메타데이터에의 접속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메타데이터의 내용과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계층적 인덱스 스키마을 구성한다. 계층적 인덱스 스키마는 메타데이터의 내용적 특성을 기반으로 검색에 자주 사용되는 상위 레벨의 메타데이터를 구별하고 그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검색을 위한 노드 인덱스와 구조적 특성을 갖는 그룹 테이블을 기반으로 고급 검색을 위한 그룹 인덱스를 구성한다. 이 접근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전체 인덱스 수를 줄이고, 그룹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반환 시간을 향상시킨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엔진이 기존 메타데이터 엔진보다 향상된 검색시간을 보여준다.

운동 형태에 따른 노인 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The changes of health-related fitness for the elderly women depend on the types of exercise)

  • 윤병곤;박찬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28-1737
    • /
    • 2020
  • 본 연구는 운동 형태에 따른 여성 노인들의 건강관련체력 변화를 규명하여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상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운동을 선택하는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B 광역시에 거주하는 72-78세의 노인여성을 통제그룹 10명, 유산소 운동그룹 10명, 저항 운동그룹 10명, 복합 운동그룹 10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주 3회, 50분/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모든 운동그룹에 동일하게 RPE 11-13으로 설정하였다. 하지근력, 동적평형성, 정적평형성, 그리고 민첩성은 모든 운동 그룹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심폐지구력은 유산소 운동 그룹과 복합운동그룹에서만 운동 후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 노인들에게 운동 강도가 같다면 어떠한 운동 형태든지 일상생활과 관련된 체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복합 운동이 노인들에게 보다 적합한 운동 형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Health Literacy on Patients, Perceived by Nurses in Hospital :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 Approach)

  • 안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83-590
    • /
    • 2020
  • 본 연구는 현직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서울과 부산의 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총 1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 동의 하에 녹음 후 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사들은 환자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 기저질환, 정서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건강문해력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간호사가 건강문해력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고 환자의 건강문해력 수준을 면밀히 파악하여 의사소통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며, 건강문해력이 취약한 환자를 지원하는 보건의료시스템의 변화가 요구된다.

의료기관에서 간호사와 환자의 전자동의서 사용 경험: 질적 연구 (Nurse and Patient's Experiences Regarding the Use of Electronic Informed Consent in Hospital: A Qualitative Study)

  • 김선희;강희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19-62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에서 간호사와 환자의 전자동의서 작성 경험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는 간호사 30명과 환자 27명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자동의서 사용 경험과 관련된 주요 주제는 '전자 동의서 사용에 대한 유용성', '전자동의서 태블릿 PC 사용과 관련된 불편함', '전자동의서 기능향상에 대한 바람'이었다. 참여자들은 전자동의서는 간편하고 편리하며, 자원과 공간이 절약되고, 향상된 전자시스템의 기능이 있어 만족하나, 예기치 못한 기계의 오작동이 생기거가 충전 펜과 고정형 모니터를 사용할 때 또는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불편하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추후 점차 사용이 확대되고, 친필과 유사한 필체, 화면 확대 조정 및 시청각 보조 기능이 지원되기를 원했다. 전자동의서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만족도를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동해 연안해역 표면수온의 장기 시계열변화 (Long-Term Variation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상우;임진욱;윤병선;정희동;장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1-6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동해 연안정지관측 8개 지점(감포, 울기, 장기갑, 포항, 죽변, 동해(묵호), 주문진, 속초)에서 43년(1971-2013)간 조사한 표층수온을 이용하여 지역별 수온의 유사도에 따른 군집분석과 수온의 장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온의 유사도에 의한 군집분석결과, 본 연구지역은 크게 그룹 A(동해, 주문진, 속초)와 그룹 B(감포, 울기, 장기갑, 포항, 죽변)로 구분되었다. 여기서 A 그룹의 속초와 B 그룹의 죽변, 포항, 감포를 중심으로 한 수온과 수온편차의 장기 변화에서 수온은 10년 규모의 변동을 보였다. 각 지역별 수온은 43년간 증가 경향을 보였고, 1988년을 기준으로 고수온기와 저수온기로 구분되었다. 각 지역에서 43년간 수온은 속초가 $2.26^{\circ}C$, 죽변이 $1.99^{\circ}C$, 포항이 $1.11^{\circ}C$, 감포는 $0.89^{\circ}C$ 각각 증가하였고, 지역적으로는 동해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수온의 증가 속도가 크게 나타났다. 계절별 수온의 증가는 추계와 동계의 경우 속초>죽변>포항>감포의 순이었고, 춘계와 하계는 죽변>속초>포항>감포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내용기반 검색을 위한 고차원 벡터 데이터 색인 구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igh-Dimensional Index Structure for Vector Data in Content-Based Video Retrieval)

  • 이현조;장재우;박순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11-214
    • /
    • 2007
  • 최근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UCC를 중심으로 동영상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검색만을 지원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동영상의 내용(이미지, 색, 모양 등)을 고차원의 특징 벡터 데이터로 표현하여 유사한 동영상을 검색하는 내용-기반 검색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검색을 위해 제안된 기존의 고차원 벡터 데이터 색인 구조를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며, 이를 통해 동영상 내용-기반 검색에 가장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시한다.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내용-기반 검색을 위한, 근사 k-NN 질의 탐색 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TV 동영상에서의 광고 검색기법 (A Retriveal Technique of the Commercials in TV Video)

  • 이용연;김우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413-415
    • /
    • 1999
  •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자사 광고가 방송국에서 편성한 시간대에 맞게, 또한 요구한 광고시간 길이에 맞게 방송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 TV 방송으로부터 찾으려는 광고와 일치하는 동영상 그룹을 자동으로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찾으려는 광고의 요약 정보를 먼저 구한 후, 이후 TV 동영상의 프레임들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검색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