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

검색결과 19,192건 처리시간 0.04초

감마선, 전자선에 의한 멸균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f Sterilization by Gamma-ray and Electron-Beam)

  • 정경환;박창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37-543
    • /
    • 2020
  • 현대사회의 노인 인구는 첨단 의료기술과 최소 침습 수술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기 때문에 병원성 감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현대 의학의 최우선 목표는 감염예방이다. 최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이식술이 늘고 있다. 대표적 재료로 이용되는 것이 수산화인회석이다. 현재 HA 디스크 멸균을 위한 흡수선량 기준이 없으므로, HA 디스크 표면에 오염된 대장균과 충치균을 감마선 코발트와 선형 가속기를 이용하여 각 흡수선량 0, 0.5, 1.0, 3.0, 5.0 kGy로 조사 후, 십진 희석법으로 검체에서 균 수를 측정하였다. 멸균 후 대장균, 충치균의 생존 비교분석을 위해 비모수 검정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대장균은 1 kGy 이상, 충치균은 3 kGy 이상에서 멸균되었다. 방사선 멸균 흡수선량 권고사항보다 낮은 수치에서 멸균을 시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탄저균 pagA 유전자의 분자적 다양성 (Molecular Diversity of pagA Gene from Baciilus anthracis)

  • 김성주;조기승;최영길;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5
    • /
    • 2001
  • 탄저(anthrax)는 그람양성이고 포자형성 세균인 탄저균(Bacillus anthracis)으로부터 발명되어진다. 탄저독소는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어항원(PA)은 숙주세포 표면에서 탄저 독소단백질 및 이종단백질을 세포질 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PA의 분자적 다양성과 국내에서 탄저균의 진화를 이해하고 확인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견된 탄저균 4 균주와 기존에 보고된 탄저균 26 균주로부터 2,294 bp의 PA유전자(pagA)의 DNA 염기서열을 분식하였다. 탄저균 30 균주으로부터 P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식한 결과, 8개 부위에서 돌연변이를 확인 하였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부위에 따라서 탄저균을 10종류의 PA 유전자형과 4 종류의 PA 표현형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경주에서 분류된 B. anthracis BAK는 600번째 아미노산 alanine이 valine으로 바뀌어서 B. anthracis ATCC 14185 보다 LF와 PA의 결합 위치를 근접하게 하였다. 탄저균의 Pag의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학적인 분석 결과는 염색체상에서의 분류와 일치하여 탄저균사이에서 pXO1 플라스미드의 수평적인 이동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

쌀막걸리의 미생물학적 연구 (제1보) 분리균주 M-80의 쌀막걸리 제국용으로서의 이용성 (Microbiological Studies on the Rice Makkulli (Part 1) Utilization of Rice Makkulli Koji with the Isolated Strain M-80)

  • 조용학;성낙계;정덕화;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17-223
    • /
    • 1979
  • 자연계에서 분리한 곰팡이 중 전분을 잘 당화하며 산생성력이 강한 한 균주를 선별하여 현재 막걸리 제국용 균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과 비교하여 각종 성분을 경시적으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균중 당화력 및 액화력이 비교적 강한 M-80을 공시균으로 선별하였다. 2) 백국균과 분리균의 $\alpha$-amylase 역가는 140W. V.로 비슷하였으나 $\beta$-amylase 역가는 54 A. U. 로 분리균이 높았다. 3) acid protease 역가는 분리균이, alkaline pro-tease 역가는 백국균이 높았다. 4) 총산, ethanol, fusel oil의 생성량은 분리균이 약간 높았으며 methanol 함량은 비슷하였다. 5) 술덧중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분리균이 백국균보다 약 10%정도 높았으며, 15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확인되었다.

  • PDF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 (Changes in Pathogen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Neonatal Sepsis)

  • 김경남;박호진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54-60
    • /
    • 2008
  • 목 적 :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극소 저출생 체중아 및 미숙아의 이환율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패혈증에 대하여 가능한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을지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패혈증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에 대해 조사하여 시기별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164명 중 균이 증명된 환아는 19명(11.6%)이었다. 균이 증명된 19명의 환아에서 총 26례의 패혈증 발생을 보였으며, 후기 지발형 패혈증의 발생빈도가 제일 높았다. K. pneumoniae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였으며, 그 뒤로 Streptococcus spp., CNS, Enterobacter spp.의 순으로 배양되었고, 대부분이 경험적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 과거 연구나 타 의료기관에서 증명된 흔한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의존하여 광범위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기보다는 주기적으로 원인균 및 항균제 감수성의 변화를 파악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신생아 패혈증의 치료의 효과뿐만 아니라,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과 분해균이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genic amine forming and degrading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임은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75-3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발효 기간 동안 멸치 액젓과 새우젓으로 담근 배추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된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BA) 생성 유산균 단독 스타터 혹은 BA 분해 유산균과의 혼합 스타터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새우젓 보다 멸치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에서 유산균수, 산도 및 BA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BA의 종류 및 생성량은 균종 보다는 균주에 의존적이었다. 분리 균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카다베린, 히스타민, 푸트레신 및 티라민은 각각 Leuconostoc mesenteroides MBK32, Lactobacillus brevis MBK34, Lactobacillus curvatus MBK31 및 Enterococcus faecalis SBK31로부터 생산되었다. BA 생성능과 분해능이 있는 스타터는 김치 내 유산균의 증식 속도와 산 생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BA 생성균 단독 스타터에 의해 증가된 김치의 BA 함량은 BA 분해균과의 혼합 스타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

결핵균의 유전자 분석법으로 증명된 가족 내 결핵 전파 1예 (Use of Molecular Identification Analysis in a Case of Intra-familial Transmission of Tuberculosis)

  • 박의주;김양기;복진현;이영목;김기업;어수택;박영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512-516
    • /
    • 2008
  • 결핵균은 공기를 매개로 전파되고 결핵균에 노출된 시간과 최초의 노출 정도가 전파의 위험을 증가 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 내에서 감염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는 결핵균에 노출되는 기회 및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식적인 접촉자 조사만으로는 흔히 결핵 발생률을 과소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자 조사와 결핵균의 유전형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감염의 위험이 높은 집단을 선별해내고 발생빈도 및 전염경로를 밝히는 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접촉자 조사와 결핵균의 유전형 조사를 통해 가족 내 결핵균 전파를 증명한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EV Li-Ion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모니터링 IC를 사용한 전하 균일 장치 (Charge Equalizer Using Battery Monitoring IC for Li-Ion Battery Strings in an Electric Vehicle)

  • 김철호;김문영;김준호;문건우;임재환;양정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0-21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전하 균일 장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회로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얻어오는 모니터링 IC를 셀 정보 측정뿐 아니라 전하 균일 회로 제어에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전하 균일 장치의 제어 및 전하 균일을 위한 배터리 상태 측정 회로가 간단해 지며, 다수의 직렬 연결 배터리에서도 부피가 작고 가격이 저렴한 전하 균일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88개의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위한 제안하는 전하 균일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실험을 보여준다. 이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장치는 간단한 제어 방법을 통해 우수한 전하 균일 특성을 나타냄을 증명한다.

  • PDF

곰솔(Pinus thunbergii)의 침엽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분자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Needle Leaves of Pinus thunbergii)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3-186
    • /
    • 2012
  • 곰솔(Pinus thunbergii Parl.)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남 보령의 해안가에 서식하는 곰솔에서 잎을 채취하여 총 19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을 ITS 지역과 LSU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Anthostomella sepelibilis, Beltrania sp., Cladosporium sp., Coniochaeta velutina, Entonaema pallida, Lophodermium sp., Nigrospora sphaerica 등 총 7개 분류군의 내생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Beltrania sp.에 속하는 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내생균의 서식 환경이 곰솔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장균(大腸菌)의 항균제내성(抗菌劑耐性) 및 전달성(傳達性) Plasmid (Antimicrobial Drug Resistance and Transferable Resistance Plasmid in Escherichia coli)

  • 조동택;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34
    • /
    • 1982
  • 각종질환(各種疾患)으로 입원(入院)하여 항균제투여(抗菌劑投與)를 받은 환자(患者)와 최근(最近) 1개월간(個月間) 항균제(抗菌劑)를 투여(投與)받지 않은 학생(學生) 각(各) 60명(名)의 대변(大便)을 배양(培養)하여 각각(各各) 121주(株), 합계(合計) 242주(株)의 대장균(大腸菌)을 얻어 12종(種)의 항균제(抗菌제劑)에 대한 내성양상(耐性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내성빈도(耐性頻度)를 보면 tetracycline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이 68.2%로 가장 많았고 streptomycin(Sm) 61.2%, sulfisomidine(Su) 50%, chtoramphenicol(Cm) 40.9%, ampicillin(Ap) 40.1%, carbenicillin(Cb), 39.3%의 순(順)으로 내성균(耐性菌)의 비율(比率)이 낮아졌고 kanafnycin(Km) cephaleridine(Cr) 및 trimethoprim(Tp)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약(約) 1/4이었고 nalidixicacid, gentamicin 및 amikacin에는 4주(株)씩 만이 내성(耐性)이고 rifampicin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없었다.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과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Cm, Ap, Km, Cr 또는 Cb 내성(耐性)은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보다 월등(越等)히 많았으며 Sm, Su 또는 Tp 내성균(耐性菌)도 다소(多少) 많았으나 기타(其他)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에서는 차이(差異)를 볼 수 없었다. 내성균(耐性菌)과 감수성균(感受性菌)에 대(對)한 각(各) 항균제(抗菌劑)의 최소(最少) 발육저지농도(發育阻止濃度)에는 큰 차이(差異)가 있어서 이들 내성(耐性)이 주(主)로 R plasmid에 유래(由來)함을 시사(示唆)하였다. 공시균(供試菌)의 76%가 $1{\sim}10$제(劑)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이었는데 4제(劑) 이상(以上)의 항균제(抗菌劑)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에서 보다 많았으며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일수록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많았다. 2제(劑) 이상(以上)의 항균제(抗菌劑)에 내성(耐性)인 균(菌)에 접합(接合)에 의한 내성전달(耐性傳達)을 145주중(株中) 98주(株)(67.5%)가 내성(耐性)을 전달(傳達)하였으며 7제(劑) 이상(以上)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1주(株)를 제외(除外)한 전부(全部)(73주(株))가 그 내성(耐性)을 피전달균(被博達菌)에 전달(傳達)시켰고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의 약제수(藥劑數)가 적을수록 전달성내성(傳達性耐性)을 가진 균(菌)이 적었다. 전달(傳達)되는 내성양상(耐性樣相)은 내성균주(耐性菌株)에 따라 다르며 피전달균(被博達菌)에 따라서도 달랐다. 임의(任意)로 선택(選擇)한 P13균주(菌株)의 R plasmid의 비적합성군(非適合性群)을 보았던바, 이 plasmid는 F II군(群)에 속(屬)함이 판명(判明)되었다. 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대장균(大腸菌) R plasmid DNA의 형광대(螢光帶)를 증명(證明)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