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굴참나무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3초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 군락 분석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Analysis on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Mt. Changan, Ch nbuk)

  • 김영식;김창환;길봉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52
    • /
    • 1999
  •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림을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법(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신갈나무림의 분석결과 신갈나무-철쭉꽃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조릿대군락의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CCA에 의하여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신갈나무, 철쭉꽃, 노린재나무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고광나무, 함박꽃나무, 까치박달은 습하고 유기물 함량 및 전질소, C.E.C등의 양료가 양호한 지역에 소나무, 굴참나무, 붉나무, 병꽃나무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 신갈나무림의 분포와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도, 토양습도, 유기물함량, 지형, pH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정밀 디지털 임상도 제작을 위한 객체지향 영상분할 및 분류 (Object-oriented image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for precise digital forest type map)

  • 김소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4-230
    • /
    • 2008
  • 본 연구는 산림 내 임상을 구획하기 위해 고해상도 IKONOS 위성영상을 객체 지향기반으로 분할 및 분류하였다. 영상분할 시 분광정보와 공간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모양이나 분광정보에 있어서 동질한 영역이라고 정의되는 영상객체를 생성하였다. 분할된 영상을 분류계급(class)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NDVI와 경사, 방위, 고도 등 지형인자를 새로운 레이어로 추가시키고, 분류개념을 형성하기 위하여 퍼지 규칙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획득시기가 5월초인 점을 감안하여 NDVI는 0.2, 경사 $^{\circ}5^{\circ}$ 그리고 고도 130m를 기준으로 산림과 비산림지역을 분류할 수 있었고, 지형인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또한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알칼리 처리에 따른 폐골목 및 굴참나무의 효소당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enzymatic hydrolysis characteristics of mushroom culutured waste (MCW) and Cork oak by alkali treatment)

  • 윤수영;성현아;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3호
    • /
    • pp.44-49
    • /
    • 2014
  • The mushroom cultured waste(MCW) from cork oak was evaluated as the raw material for bioethanol production. For enzymatic hydrolysis, cellulase cocktails (Celluclast 1.5L and Novozym 188) was used for polysaccharides to monosaccharides conversion. Compared with sound cork oak woodmeal, woodmeal from MCW showed higher cellulose to glucose conversion. To improve polysaccharides to monosaccharides conversion, pretreatment by sodium hydroxide was applied. Even though more xylan and lignin were removed in woodmeal of MCW than that of cork oak, concentration of glucose was higher from sodium hydroxide treated cork oak woodmeal (51.3 g/L) than treated MCW woodmeal (41.6 g/L).

알칼리 전처리가 굴참나무의 효소 당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lkali Pretreatment to Enzymatic Hydrolysis of Cork Oak (Quercus Variabilis))

  • 윤수영;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6호
    • /
    • pp.1-7
    • /
    • 2014
  • Dissolving part of xylan and lignin in lignocellulosic biomass by base can be used as pretreatment technique. Cork oak was pretreate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the pretreatment effects were evaluated with two critical factors - NaOH concentration and pretreatment temperature. Some of xylan and lignin were removed by base pretreatment. At $90^{\circ}C$ and 13% NaOH pretreatment, 22.0% of lignin and 78.8% of xylan removed by base treatment. Enzymatic hydrolysis of cork oak which was pretreated at higher temperature or concentration was further improved. After pretreatment of cork oak with 13% NaOH at $90^{\circ}C$, the conversion rate of cellulose to fermentable sugars were reached up to 91.3%. At ethanol fermentation with enzymatic hydrolysate from different pretreatment conditions, all enzymatic saccharification liquids were well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국산 굴참나무와 졸참나무의 물리적 성질 - 생재비중 및 섬유장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 Comparison of Green Specific Gravities and Fiber Lengths)

  • 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04
  • Domestic oak trees of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were harvested from several forest sites and their green moisture contents, green specific gravities and fiber lengths were compared. The green specific gravities of Quercus serrata tre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forest sites at 5% significance level while those of Quercus variabilis didn'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green specific gravities of Quercus variabilis gradually increased from pith to bark. There was no discrepancy of the green specific gravities between the sapwood and heartwood of Quercus variabilis. And no difference of fiber length was found between individual trees and tree heights for both species.

  • PDF

굴참나무 낙엽의 Fire Whirl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Whirl Characteristics of Oriental Oak Leaves)

  • 홍기배;이재하;배승용;유홍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21
    • /
    • 2009
  • The fire whirl occurring in the urban and/or wildland fire is generated by the instabilities of atmosphere. The fire whirl is a rare phenomenon, but highly destructive because it has high inhalation and lift force. In this study,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with oriental oak leaves, for investigating of the fire whirl characteristics occurred in wildland fire.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circulation intensity increases as increasing of the induced air velocity, and then the fire whirl occurs. Also, the heat release rate and flame height increase 22% and 18% in highest circulation.

월악산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천이 과정 (Disturbance 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 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0
  • 월악산에 소재하여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소나무림의 숲틈형성과 재생 및 천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악산 소나무림을 이루고 있는 수종들로는 교목층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중층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쇠물푸레 등의 수종이 우점하고 있다. (2) 소나무림의 숲틈형성요인으로서 고사목의 고사유형은 입목고사형이 가장 많았다. (3)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먼저 굴참나무림으로 바뀌다가 다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치수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성된 숲틈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서만 환경적 극상으로서 소나무림이 유지될 가능성을 조여주고 있었다.

  • PDF

경남 진주지역 소나무, 굴참나무 및 굴피나무림의 토양호흡에 관한 연구 (Soil Respiration in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Platycarya strobilacea Stands in Jinju, Gyeongnam Province)

  • 문현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87-92
    • /
    • 2004
  • Soil respiration rate was measured from March to November 2003 using the KOH absorption method in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Platycarya strobilacea stands in Jinju, Gyeongnam Province.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verage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were 16.2$^{\circ}C$, 25.1% for P. densiflora stand, 17.1$^{\circ}C$, 24.3% for Q. variabilis stand, and 17.6$^{\circ}C$, 25.1% for P. strobilacea stand, respectively. The seasonal fluctuations of soil respiration rate increasing in summer and decreasing in winter, which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of soil respiration and soil temperature in all study stand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il moisture and soil respiration. Soil respiration rate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ranged from 0.12 to 0.77 for P. densiflora stand, 0.23 to 1.37 for Q. valiabilis stand, and 0.30 to 1.47 g $CO_2\cdotm^{-2}\cdothr^{ -1}$ for P. strobilacea stand, respectively. Mean soil respiration rates in P. densiflora, Q. variabilis, P. strobilacea stands were 0.43, 0.80, and 0.90 g $CO_2\cdotm^{-2}\cdothr^{ -1}$, respectively. The Q$_{10}$ values were 2.38 for P. densiflora stand, 2.11 for Q. variabilis stand, and 2.07 for P. strobilacea stand. Annual total soil respiration was 24 for P. densiflora stand, 49.3 for Q. variabilis stand, and 55.3 t $CO_2\cdotha^{-1}\cdotyr^{ -1}$ for P. strobilacea stand, respectively.y.

금정산(金井山) 일대(-帶)의 삼림식생분석(森林植生分析)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 윤충원;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31-44
    • /
    • 1995
  •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35^{\circ}$03' ~$35^{\circ}$17', 동경 $129^{\circ}$01'~$129^{\circ}$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times}$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