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토이용 정보체계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improving techniques for watershed water cycle using downscaled climate prediction (상세화 기후전망자료를 활용한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 적용 및 평가)

  • Jang, Cheol Hee;Kim, Hyeon Jun;Cho, Jae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4-334
    • /
    • 2019
  •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가용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지역기후 및 유역특성에 적합한 결과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가 유역의 물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면, 물순환 개선 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유역 물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로부터 발생되는 유출을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를 유지하고 회복하도록 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실무적인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 모형인 CAT3(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3)을 개발하였으며 본 모형은 침투시설, 저류시설, 습지, 빗물저장시설과 같은 물순환 개선시설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상류의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A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통계적 상세화 자료를 활용하여 물순환 개선 기술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적 상세화 자료는 APCC에서 개발된 AIMS(APCC Integrated Modeling Solution) 플랫폼을 이용하였다. AIMS는 다양한 기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관점에서 상세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화 기법은 SDQDM(Spatial Disaggregation Quantile Delta Mapp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세화된 기후자료는 과거자료의 재현성 및 미래 기간에 대한 왜곡도를 평가하기 위해 극한기후지수(Climate Index)를 이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수자원가용량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해 연강수량(PRCPTOT)을 사용하였으며 증발산량의 평가 및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관련 극한기후지수는 평균기온 개념의 DTR(TMAX&TMIN)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상세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HadGEM2-CC, INMCM4, CanESM2 시나리오를 선택하였으며 각 시나리오별 물순환 개선 기술을 적용한 후 미래의 수문학적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 PDF

Accuracy Evaluation and Test of Digital Map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평가 및 검정)

  • Yeu, Bock-Mo;Kwon, Hyun;Pior, Myou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1 s.5
    • /
    • pp.123-137
    • /
    • 1995
  • The digital information of Land is very important as the basis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necessity of it is also increasing. But these days, every other institute that is needing digital map is seperately digitalizing lsnd information. So we need the stadard of accuracy evaluation and the method of hypothesis test for it. In this study, we check the standards of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 and analyze with our country's. After doing it, we suggest the direction for standard of digital map and statistical methods for testing accuracy evaluation about total maps that is digitized. Using hypergeometric distribution for considering consumer risk and producer risk, the statistical test can be for deciding optimal sampling map numbers by the total map and the agreement of contacting parties.

  • PDF

Construction Business Informatization Overview and Development Direction (Construction CALS) (건설CALS 기반의 건설정보화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Seo, Myoung-Bae;Kim, Jin-Uk;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23-24
    • /
    • 2012
  • 국내의 건설산업은 '11년 기준 580억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비약적인 양적성장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질적성장의 발전속도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 전 단계에 발생하는 각종 건설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건설사업비 진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정보화사업(건설CALS)을 추진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 진행중인 건설CALS사업현황을 고찰하고 급변하는 건설정보화 환경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건설CALS가 건설산업의 신성장동력이 될수 있는 향후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Research about sharing of compensation data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for construction CALS improvement (건설CALS 완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보상자료 공유방안 연구)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144-147
    • /
    • 2010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사업정보화(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확장된 건설CALS는 건설공사 전 과정, 즉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며,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개의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다. 이중 용지보상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업무중에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업무는 건설사업 과정 중에서 민원인과 직접대면하는 일이 많고, 액수도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분쟁의 소지가 매우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상업무 수행시 다양한 이해당사간의 각종 보상자료 교환체계 확립을 통한 업무 선진화방안 제시를 통해 업무의 투명성을 최대화하고 민원을 최소화하여, 보상업무 담당자에게는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원인들에게는 국가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상업무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Designation of Impact Fee Zone based on the Parcel Development Permit Information (개발허가필지의 지리정보를 이용한 기반시설 부담구역 지정방안)

  • Choei, N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116-127
    • /
    • 2009
  • One of the criteria provided by the law to spatially determine the zones to levy the so-called development impact fee requires that the increase rate of the development permit should exceed that of the entire locality by more than 20 percent. Since the permits are issued to scattered parcels, however, it renders significant difficulties in accurately figuring out the finite local areas that exceed such legal criteria. This study, in this context, tries to join the development permit time-series data with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so that, with the aid of the landform layer and existing infrastructure layer, it could pinpoint the local area where the development activities are concentrating. Taking a sector in Yangpyong County as the case, the study demonstrates the methods to designate the zone by processing the permit information data.

  • PDF

A Method of Isl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를 이용한 도서(섬)정보관리시스템 구축방안)

  • 박민호;곽성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8 no.2
    • /
    • pp.211-219
    • /
    • 2000
  • In the 21th century, on the level of the limit of national resources,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the development using the marine resource and the marine space, the international diplomacy and the national security, the island development will be more vitalized. Therefore, considering th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becomes diverse and massive quantitatively, it is necessary that we develop an effective system which not only operates the information, but also gives a function of various display using the computer graphic and the multimedia.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d on thesuggestion of the application system model which is necessary for an efficient managemen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our country's island. That is, unlike the previous information system, the IIMS(Isl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odel was developed by the active use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by managing the spatial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simultaneously, and objectively induces the decision of the opinion and the policy for the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island.

  • PDF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Intelligent National Geospatial Data for Review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frastructure in Long-term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재검토를 위한 지능형 국토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 Choi, Seung Yong;Lee, Hyun Jik;Yang, Seung R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4
    • /
    • pp.125-134
    • /
    • 2013
  • Since 2012,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under the recommendations regarding cancellation of local committees directing overly-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have tried to prove validity of such facilities. Factors such as specific standards of cancelation process, will execute policies, diversification of local conditions, connectivity to nearby facilities and possible arise of civil complaints, however, all hinder overly-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from getting revitalized. Considering that these unexecuted facilities that local governments have to manage increase in number every year, the burden continuously increases for the governments due to the difficulty of setting aside budget for performing validity checks on such facilitie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riteria regarding efficient and systematic method on confirming validity of overly-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to establish into several different processes according to defined categories, and to objectify and quantify such standards. Also, using intelligent spatial information such as digital map, LiDAR data and ortho-images,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 suitable for reassessment was chosen and applied to execute validity analysis regarding overly-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Comparison of Drone and Terrestrial LiDAR DEM generation data for Analyzing Estuary Topographic Changes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드론과 지상LiDAR DEM 생성자료의 비교)

  • Lee, Jeong Ho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0-14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재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재해 분석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재해분석결과에 있어 중요하며, 지형촬영방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지형자료 중 하나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고 있고 지도제작에 있어 DEM을 사용하면 지형도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고, 편집 용이, 수작업 인원 감축, 정확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지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생성한 DEM은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접촉식 측량장비에 비하여 누락되는 데이터가 적으며 정밀하게 자료를 수집가능 한 것이 장점이다. 지상LiDAR를 이용한 자료 취득 시식생과 구조물에 의해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 충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여러 위치에서 스캔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드론을 이용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하천, 산지 등의 현장 조사의 경우 LiDAR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구간의 촬영 시 드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LiDAR와 드론을 이용하여 얻은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드론으로 생성된 DEM 자료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역에 지상LiDAR와 드론 촬영을 실시하여 지형자료를 각각 획득한 후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점을 선정한 후 지형 좌표의 편차, 표고의 편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adar QPE Improvement Technique Using Rapid RHI Volume Scan (RHI 볼륨자료를 이용한 레이더 QPE 정확도 향상 기법 연구)

  • Hwang, Seok Hwan;Oh, Byung Hwa;Cho, Hyo Seob;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8-18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수 십분 만에 위험상황에 도달하는 돌발성 도시 집중호우가 빈발하고 이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기존 지상우량계 및 대형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측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빠르고 정확한 도시홍수의 예측 및 예보를 위해서는 대형레이더 관측범위 이하의 빠른 저고도 관측이 필수이다. 이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소형 이중편파 X밴드 레이더를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시작단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레이더의 경우 빠른 운용이 가능하고 집중호우 관측과 같은 특정 목적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도시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충분한 시간해상도의 자료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소형레이더를 이용하여 관측하더라도 고층 아파트나 빌딩이 밀집되어 있는 우리나라 도심 환경에서 관측반경내 전반에 대한 1km 이하 저고도 관측은 물리적으로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로 관측된 다수의 연직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호우의 연직 분포를 3차원으로 재생성한 후 이의 평균 단면 추세를 이용하여 관측고도 이하의 관측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2013년, 2014년 주요 호우 사상에 대해 적용하였고, 검토결과 본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QPE가 기존 관측고도각을 이용한 QPE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Use of National Land (국토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연안통합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Kil Jae;Lee, Joo 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5
    • /
    • pp.99-10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various improved working schemes in determining the definition of non-permissible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lan for regional self-governing authorities In this study, non-permissible activities indicate any activities which should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oastal functions of five different sectors in the regional plan for coastal management. Coastal management plan, a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along the coast to use direction. It prohibited and support matters of another coastal exploitation each area. If you want to set the coastal area, has already been specified in the regional and global based on that region Land use planning and urban planning. When additional area settings in some cases may lead to conflicting results. Analyzes the factors to consider about the range and use areas set of in coastal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trive for deriving a scheme to solve the existing contradiction between the state of the local - area specified problem. With the help of marine spatial planning and pointed out institutional and urban planning system to be utilized in land in the ocean for a more accurate and efficient coastal management, and registered the coastal areas, there is a need to manage. Land -use planning, consideration of another consultation body organization that is able to develop a plan that was comprehensive and marine spatial planning, The contradiction consider to specify the various areas and regions where other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is determined, Setting the range of coastal waters (within 3 nautical mile), I was exploring the coast registration scheme and registration target,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