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공간계획체계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uture-oriented Nation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국토공간계획)

  • 김용범;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1-90
    • /
    • 2004
  • 국토이용정보체계는 국가에서 구축한 DB와 응용시스템, 지자체 보유 DB와 응용시스템은 물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와 도시의 계획적 이용과 관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과 관리의 대상이자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국토공간의 미래지향적 계획 방안에 대해 국토이용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발전을 위한 공간계획의 이론, 핵심 기술 및 응용 시스템 개발측면에서의 향후 기술과 방법론의 발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이를 중심으로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국토이용정보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체계를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핵심이 되며,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개선시키되, 수혜자가 업무 담당자는 물론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Issues of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patial Planning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과제와 해결방안)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31-139
    • /
    • 2007
  •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GIS를 기반으로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행정업무를 위한 자료관리 중심의 정보화에서 공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수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설계 및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가지고 접근했다.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처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력되는 자료와 지식, 분석처리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을 설정했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도구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시스템의 지속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설정했다. 마지막은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의 연구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파트너쉽에 대한 research question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기초적인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대부분 외국의 연구 및 개발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 기반기술인 개발도구에 대한 기술수준이 상당히 미흡하다. 조사결과에서 공개소프트웨어 도입에 대한 필요성 강조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의 성숙, 다양한 사회단체 출현 등으로 국토공간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정도가 질적 양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기법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단편적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국토공간계획 및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토공간계획은 우리나라만의 자연 환경 및 인문환경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개발방법론, 우리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ntegration and linkage of basic information with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system (국토계획체계내 기초정보 통합 및 연계화 방안)

  • 김정훈;채미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65-480
    • /
    • 2003
  • Various basic information is required to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utilize and manage national territory. For this, a variety of informatization projects have on developed from public sectors. Howe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cluding weak linkage between individual information systems and databases and lack of the coordinating function in promoting national territorial informatization projec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on the integration and linkage of basic information with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system. These results will be applied to the planned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friendly management of national territory.

  • PD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4
    • /
    • pp.371-383
    • /
    • 2007
  •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 PDF

Der Entstehungsprozess und das System der Raumordnung und Raumplanung in Deutschland (I)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 : 성립과정과 조직체계)

  • Ahn,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4
    • /
    • pp.481-496
    • /
    • 2007
  • Die Arbeit beschaeftigt sich mit dem Entstehungsprozess und dem Organisationssystem der Raumordnung und Paumplanung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Selbstverstaendlich hat die deutsche Raumplanung eine laengere Geschichte und eine besondere Tradition, entstand die heutige einheitliche Raumordnungspolitik erst im Jahr 1965. Im Grunde hat die Raumplanung immer eine ausgewogene Raumentwicklung aufgesucht und ist in den infolge des foederativen Systems gerade komplizierten Verwaltungsaufbau integriert.

  • PDF

A Study on Analysis and user-friendly Improvement Plan for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수요자 중심의 도시계획정보체계 개선방안)

  • Lee, Se-won;Kang, Ji-Hun;Kim, Heung-Cheo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2
    • /
    • pp.153-1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by analyzing the status of system and user in order to activate the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UPIS). The UPIS has been distributed to all local governments through pilot and expansion projects since 2003 to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planning and administration. The original purpose was to use GIS to support planning and to support scientific decision making, but now the main task is to designate and manage zoning districts related to land use. Therefore, the UPIS i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preparation procedure) and management of the local district information for use in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which is an upper concept defined by the law, but it is evaluated that its identity is ambiguous and utilization rate is low.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ur aspects (business process, database, system, citizen service) of UPIS, and suggest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To summarize, each individual system exists in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but they all share similar data and have a linked work flow. Therefore, we suggested that the DB curr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to redefine the business process around the UPIS.

Development Axis and the Programs of Spatial and Regional Planning in Germany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I: 역사적 전개와 주요 계획프로그램)

  • Ahn,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3
    • /
    • pp.381-394
    • /
    • 2015
  • The German spatial planning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to show how the development of spatial planning programs has developed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the last 50 years. However, the aim of this paper is not just to trace certain trends in planning practices, but to investigate their origin including the visions, directions, and purposes according to the each period. The national-level spatial planning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first Federal Regional Planning Act (ROG): The heyday of regional planning (1965-1975), the skepticism and crisis (1975-1990), new challenges by German unification and European integration since 1990. After 1965 the federal government has set up a number of frame-setting programs at the federal level to cope with the changing conditions and new challenges.

  • PDF

To Analysis the Laws and Information Systems for Spatial Planning Support System (도시공간계획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법제도 실태연구)

  • Choi, B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396-403
    • /
    • 2011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most effective were high hopes that a plan is in the area have. Planning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forecasts necessary, because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logical reasoning and objectivity of the plan to increase the variety of efforts have been made at an early age. This research try to offer a found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Firstly, land use information systems and related legal issues and sought to review the status. Second, the information system of land use and spatial plann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 wa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system. This desirabl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zation. Finally, the purpose and the information derived legal system's ability to exert maximum legal system of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is to pro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