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제간호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19초

국제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 간호역량과 국제개발협력 이해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by the Course of Global Health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 김희숙;이도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mproving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through the course of global health in nursing. Methods: This study is a design of similar experiments before and afte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o verify the difference in degree between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the course of global health in nursing of nursing students. Results: The degree of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the course of global health in nursing h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nd a total of 30 detailed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ve improved since nursing students took the course of global health in nursing.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curriculum is necessary at a time when the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needs to be improved.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간호역량과 다문화 수용성 (Global Health Nurs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 고정아;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83-39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간호역량과 다문화 수용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145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0년 6월 8부터 6월 19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국제보건간호역량은 2.81±1.11점(4점 척도), 다문화 수용성은 3.84±0.68점(6점 척도)이었다. 국제보건간호역량은 성별, 글로벌 간호사로서 준비 정도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은 성별, 다문화 교육 경험, 글로벌 간호사로서 준비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국제보건간호역량은 다문화 수용성과 정적인 상관(r=.18, p=.027)을 나타냈으며, 다문화 수용성은 국제보건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29, p=.027). 글로벌 간호사로 준비되기 위해서는 다문화 경험에 대한 세계시민적 통찰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간호전문직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 : 국제적인 차원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Nursing Enrichment : The International Scene)

  • 김순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권
    • /
    • pp.20-31
    • /
    • 1996
  • 인류가 추구하는 궁극의 가치는 건강한 삶이며 이는 인간의 기본적인 가치이다. 건강관호전달체계에 주어진 사명은 인간의 기본권을 수호하는데 있다. 건강관호전달체계의 주요 구성요원인 간호전문직은 여러차원의 조직(단체)화된 교류를 통해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자신들을 강화한다. 간호전문직의 국제적인 교류(단체, 채널)는 다양하나 그 대표적인 조직은 1889년에 회원국 간호협회들에 의하여 설립되어 100주년을 맞는 국제간호협의회 즉 비정부 조직(NGO)과 1848년 세계대전의 종식과 더불어 회원국 정부에 의하여 조직된 세계보건기구 즉 정부조직(GO)이다. 본고는 첫째, 이 두 공인된 국제적인 조직의 정관에 명시된 목적을 재조명하고 이를 통한 간호전문직 강화에 이바지하는 역할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둘째로 1999년도에 창립 100주년을 맞는 국제간호협의회가 20세기를 마무리하고 21세기를 맞기 위한 준비로서 이사와 직원 workshop, 여러차례의 이사회 및 회원국대표자회의 (CNR : Council of National Representatives)를 거쳐 'Towards the 21st Century ; ICN's Strategic Plan 1994-1999'를 확정한 과정을 간략하게 논의한다. 셋째로 'Towards the 21st Century ; ICN's Strategic Plan 1994-1999'의 3개의 Global Objectives와 4개의 National Objectives를 통하여 국제간호협의회가 제시하는 간호전문직의 강화의 방향과 각 목적의 성취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논의하였다.

  • PDF

국내 간호대학 국제보건 교과과정 분석 연구: 2015년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Global health curricula in Korean nursing schools: Focusing on the changes since 2015)

  • 이수진;윤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health curricula and characteristics in nursing schools, focusing on the changes since 2015.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202 nursing schools nationwide in Korea. Global health curricul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ed framework developed by the authors. Results: Among 202 nursing schools, 173 (85.6%) schools offer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Of these, 72 (35.6%) schools offer a 'Multiculturalism' course, and 42 (20.8%) schools offer a 'Global Nursing' course. Fifty-nine schools (29.2%) offer both courses. Compared to the study findings in 2015, the number of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and the percentage of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designated as a requirement dramatically increased. An additional analysis of five syllabi of global-health related courses found several differences in the courses' aims,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Conclusions: Due to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nursing schools are more likely to offer global health curricula.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ensus on the core contents and approaches of such curricula, necessitating systematic discussions about the core contents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nursing student competency in global health nur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