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외배출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f modeling using linkage of Watershed Model and river water quality model (유역 모형과 하천 수질 모형의 연계 적용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HwangBo, Hyun;Kim, Dong-Il;Kim,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74-1078
    • /
    • 2010
  • 도시화, 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되고 대지, 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 호소의 수질영향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낙동강유역에서의 오염원관리, 특히 비점오염원의 정량화는 삭감시설의 삭감량 평가 및 배출오염원 평가에 더욱 절실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삭감시설의 삭감량 평가 시에는 실험실 규모로 이상적인 유량 상태를 가정하여 삭감효율을 산정하고 있으나 자연강우에 의하여 나타나는 삭감효율 평가는 이상적인 유량 평가 해석시 와는 사뭇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유역 말단 지점에서의 3년 평균 수질이 목표수질을 상회하였을 경우 오염총량 기본계획 지역에서 오염총량 이행평가 지역으로 포함시켜 오염부하량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부하량과 수질의 연계가 쉽지 않고, 그 원인이 되는 지역 및 시기를 찾아 특별 관리하는 것이 난해하여 하천 수질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최근 비점오염원 영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으며, 점오염원의 관리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두 오염원 형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각의 오염원에 의한 수질 영향에 관심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최근까지 유역 모델과 수질 모형을 이용해 각각의 유역이나 하천에 적용하고, 수행한 예는 국내와 국외에 많이 있다. 하지만 수량과 수질을 함께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한 연구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최근 들어 수질의 통합하천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각의 모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형들을 연계하는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수질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오염원의 발생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통해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유역 내 수질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QUALKO 모형과 연계하여 하천 수질 모델링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역 내 하천 수질 영향도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제고에 활용될 것이며, 모니터링 기법 및 GIS기반 유역관리모델 개발, 4대강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end of Nitrogen Oxide Reduction Technologies in Cement Industry (시멘트 산업에서의 질소산화물 저감 기술 동향)

  • Seo, JunHyung;Kim, YoungJin;Cho, KyeHong;Cho, JinSang;Han, KyungHo;Yoon, DoYoung
    • Resources Recycling
    • /
    • v.29 no.6
    • /
    • pp.114-124
    • /
    • 2020
  • In the cement industry, NOx emiss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oblem, and NOx reduction technologies can be divided into process change, staged combustion, low NOx burne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method. The operation of the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method, which is the most used in the cement industry, is expected to make it difficult to meet the emission standards to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equipment such as SCR and secure technologies. Recently, we are developing technologies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of SNCR and SCR, dust and denitrification filter technology, and removal technology using NO oxidation.

Current Status of China's Environmental Problem and Environmental Policy Issues (중국의 환경오염 현황과 정책과제)

  • Kim, Jeong-I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1
    • /
    • pp.155-182
    • /
    • 1999
  •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서 에너지의 소비량이 급증하였으며 이는 석탄의 급증을 동시에 유발하였다 이러한 석탄 사용의 증가는 국내적으로는 대기오염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국외적으로는 산성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수질오염도 심각하며 주원인으로는 도시폐기물이 약 40%, 산업폐기물로 인한 수질오염이 60% (1981 - 1995)을 차지하고 있으며 폐수처리물은 산업폐수가 77%이나 도시의 폐수처리는 7%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총 사회적 비용은 1995년도의 경우 GDP의 8%로 추정되고 있으나 중국의 경제 성장이 현재와 같이 지속되고 청정생산, 에너지 효율 향상이 되면 2020년에 '95년의 사회적 비용의 75% 수준까지 저감시킬 것으로 세계은행은 예상하고 있다. (세계은행, 1998) 중국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에너지 효율 향상과 에너지 공급원의 다양화를 추진하는 것이며, 산업 보일러와 로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에 대한 저감에 대해서 노력해야 한다. 특히 수질오염의 방지를 위해서도 거의 무방지 지대인 중소기업에 대한 폐수처리 시설의 확충도 시급한 실정이며 자동차와 관련한 대기오염의 방지도 중요하다. 특히 시장 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공기업에게도 철저한 환경규제를 적용시켜야 하며, 환경비용의 내부화를 기하기 위해서 가격제도의 도입과 국제 무역의 자유화를 조기에 추진함으로서 환경기반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며 최소한 GDP의 1% 정도 되는 환경투자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hips at Incheon Port and the Effects of Eco-Friendly Policies (인천항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친환경 정책 효과에 대한 연구)

  • Lee, Jungwook;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1
    • /
    • pp.129-142
    • /
    • 2022
  • In the past, interest in air pollution was concentrated on greenhouse gases, but in recent years, interest in fine dust has been increasing. The media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continue to emphasize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The awareness of fine dust is increasing, and air pollution generated at ports is analyzed to be serious as a domestic factor excluding foreign inflows. Recognizing this, in order to reduce air pollution generated at ports, special laws on improving air quality, such as port areas, have been enacted in Korea, and attempts are being made to curb air pollution caused by ports. In this law, it is a policy that regulates air pollutants generated not only by ships but also throughout ports such as vehicles and unloading machines, and representative are ECA, VSR, and AMP.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eco-friendly policies at Incheon Port. First of all, a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emissions assuming that there was no policy, analyze each policy, and finally calculate and compare actual emissions reflecting all policies. The methodology presented by the Europea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 used, and pollutants to be analyzed were analyzed for sulfur oxides (SOX), carbon monoxide (CO), nitrogen oxides (NOX), total floating substances (TSP),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PM10, PM2.5) and ammonia (NH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actual emission reflecting all policies was about 4,097 tons/year, which had an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about 760 tons/year compared to about 4,857 tons/year when the policy was not reflected. When the effects of each policy were analyzed individually, it was found that ECA 4,111 tons/year, VSR 4,854 tons/year, and AMP 4,843 tons of air pollutant emissions occu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and evidence for policy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t Incheon Port.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M10 Variation over South Korea from 2010 to 2014 using WRF-CMAQ: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기상-대기질 모델을 활용한 2010~2014년 우리나라 PM10 변동 특성 분석: 기상 요인을 중심으로)

  • Nam, Ki-Pyo;Lee, Dae-Gyun;Park, Ji-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5
    • /
    • pp.509-520
    • /
    • 2018
  •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condition on surface $PM_{10}$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was quantitatively simulated from 2010 to 2014 using WRF (ver.3.8.1) and CMAQ (5.0.2)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seasonal standard deviations of PM10 induced by change of weather conditions were $4.8{\mu}g/m^3$, $1.7{\mu}g/m^3$, $1.7{\mu}g/m^3$, $4.2{\mu}g/m^3$ for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compared to 2010, respectively, with the annual mean standard deviation of about $2.6{\mu}g/m^3$. The results of 18 regions in South Korea showed standard deviation of more than $1{\mu}g/m^3$ in all regions and more than $2{\mu}g/m^3$ in Seoul, Northern Gyeonggi, Southern Southern Gyeonggi, Western Gangwon and Northern Chungcheong in South Korea.

Analysis of PM2.5 Concentration and Contribution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Seasonal Weather Patternsin East Asia: Focusing on the Intensive Measurement Periodsin 2015 (동아시아 지역의 계절별 기상패턴에 따른 우리나라 PM2.5 농도 및 기여도 특성 분석: 2015년 집중측정 기간을 중심으로)

  • Nam, Ki-Pyo;Lee, Dae-Gyun;Jang, Lim-S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3
    • /
    • pp.183-200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PM_{2.5}$ behavior in South Korea and other Northeast Asian regions were analyzed by using the $PM_{2.5}$ ground measurement data, weather data, WRF and CMAQ models. Analysis of seasonal $PM_{2.5}$ behavior in Northeast Asia showed that $PM_{2.5}$ concentration at 6 IMS sites in South Korea was increased by long-distance transport and atmospheric congestion, or decreased by clean air inflow due to seasonal weathe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sis by applying BFM to air quality model, the contribution from foreign countries dominantly influenced the $PM_{2.5}$ concentrations of Baengnyeongdo due to the low self-emission and geographical location. In the case of urban areas with high self-emissions such as Seoul and Ulsan, the $PM_{2.5}$ contribution from oversea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bu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ason was relatively high.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air pollutant phenomen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M_{2.5}$ behavior in Northeast Asia according to the seasonal weather condition chang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air quality policy in the future, knowing that the contribution of $PM_{2.5}$ concentration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al emission characteristics.

호소의 부영양화 및 관리

  • 공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4.05a
    • /
    • pp.51-53
    • /
    • 1994
  • 담수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물과 관련되지 않고서는 생활할 수 없다. 지구 표면의 약 70%가 물로서 덮여 있다고는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담수(지표수)는 전체 물의 용적의 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서 세계 연평균 강수량인 970mm보다 많은 편이나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3으로서 세계 평균인 34,000m3의 11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자원총량중 지하침투와 증발에 의해 손실되는 양을 제외한 하천유출량은 전체의 55%인 697억m3으로서 이것이 곧 가용수자원량이다. 그러나 하절기 강우집중도가 높은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가용수자뭔량중 수자원총량의 37%가 홍수시 유출되고 실제 이용량은 수자원총량의 18%인 230억m3에 불과하여 인구증가와 함께 수자원의 가치가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지하수 이용량은 19억m3에 불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실제 이응수자 원량의 90% 이상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가 호소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자원 이용효율의 취약성으로 인해 제한된 수자원 용량과 생활 및 농공용수의 과수요에 따른 불균형으로 근래 많은 하천이 갈수기나 평수기시 친천화되어 가고 있어 수중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산업발달과 함께 수질오염원은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증가일로에 있어 기존의 유기 및 중금속 오염물질을 포함해 수많은 신생 유기화합물질이 수계에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질소 및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물질의 유입과다로 국내 대다수의 호수가 부영양화의 새로운 위협에 직 면해 있다. 우리나라에는 적은 유입유량에 큰 저수용량 및 긴 체류시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자연호는 없으며, 대부분이 매단위 강을 막아 형성된 체류시간 1년 이하의 인공호로서 그 중 안동호, 충주호, 대청호 등은 비교적 체류시간이 긴 호소형 인공호로, 팔당호나 기타 대부분의 호수는 체류시간이 짧은 하천형 인공호로 대별된다(Table 1). 이처럼 국내 호소는 국외의 자연 호와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부영양화 특성 역시 매우 상이하고, 호소형 인공호와 하천형 인공호간의 차이 역시 현저하여 일률적인 관리대책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각 호수의 유역특성이 상이함에 따라 호수별로 유역 오염원의 오염부하율이 현저히 달라(Table 2) 호수에 따른 특성적인 유역관리(Lake-specific management)가 요구되고 있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닌 국내 호소에 대해 국외 자연호의 인단순모델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다소 무리한 점이 따르나, 평균적인 개념으로 OECD의 유역부하량 및 호소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판정모델을 적용한다면, 국내 주요 호수는 모두 부영양 수준에 있다. 또 각 호수별로 부영양화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인의 삭감부하량은 상당량이 되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이미 어려운 실정에 와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발생으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폐해는 각종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이취미 발생이나 유해조류에 의한 독성물질의 배출, 정수처리 과정의 THM 발생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호수의 구조적 특성별 부영양화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향 및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 차후 수질관리를 위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납조류로 대표되는 유해조류의 독성영향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에 있다.

  • PDF

Assessment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Soil Contamina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s (국내.외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체계 비교분석을 통한 우선순위 토양오염물질 선정을 위한 평가인자 도출)

  • An, Youn-Joo;Jeong, Seung-Woo;Kim, Tae-Seung;Lee, Woo-Mi;Nam, Sun-Hwa;Baek, Yong-Woo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62-71
    • /
    • 2008
  • Soil quality standards (SQS) are necessary to protect the human health and soil biota from the exposure to soil pollutants. The current SQS in Korea contain only sixteen substances, and it is scheduled to expand the number of substances.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system is very effective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for the future SQS in terms of their toxicity and exposure potential. In this study, several CRS systems were extensively compar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that required for the screening of soil pollutants The CRS system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HEMS-1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SCRAM (Scoring and Ranking Assessment Model), EURAM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ARET (Accelerated Reduction/Elimination of Toxics), CRSKorea, and other systems. The additional assessment factors of CRS suitable for soil pollutants were suggested. We suggest soil adsorption factor as an appropriate factor of CRS system to consider chemical transport from soil to groundwater. Other factors such as soil emission rate and cases of accident of soil pollutants were included. These results were reflected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in Korea, as a part of the project entitled ‘Setting the Priority of Soil Contaminants'.

Approaches for Developing a Forest Carbon and Nitrogen Model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Models (국내외 모델 분석을 통한 산림 탄소 및 질소 결합 모델 개발방안 연구)

  • Kim, Hyungsub;Lee, Jongyeol;Han, Seung Hyun;Kim, Seongjun;Son, Yow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2
    • /
    • pp.140-150
    • /
    • 2018
  • For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dynamics in forests, it is useful to use a model which simulates both carbon (C) and nitrogen (N) cycle simultaneously. A forest C model, called FBDC,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Korea. However, studies on development of forest N model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development process of a forest C and N model. We analyzed the general features, structures, ecological processes, input data, output data, and methods of integrating C and N cycles of the VISIT, Biome-BGC, Forest-DNDC, and O-CN.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the FBDC were also analyzed. The VISIT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forest C model with a N cycle module, and the new model also could be designed by combining the FBDC with a N cycle module. The VISIT and Forest-DNDC could estimate soil $N_2O$ emissions, and the integrated model should include the processes shared by these models. Especially, the overseas models linked C and N cycles based on N absorption, C absorption, and decomposition of dead organic matter. Therefore, the integration of the FBDC with N cycle module should apply this linkage of structures between C and N cycles. Climate, soil texture, and species distribution data, which are essential for the model development, were available in Korea. However, parameter data associated with N cycle and validation data for soil $N_2O$ emissions need to be obtained by field studies.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with a Focus on I/O Ratio Observat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Various Environments and Observations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Pyeongtaek, South Korea (실내 외 농도 비(I/O ratio)에 기반한 주변환경과 실내 미세먼지 농도분포 특성: 선행연구 리뷰와 여름철 부산과 평택 초등학교에서의 측정 결과를 중심으로)

  • Kang, Jiwon;An, ChanJung;Choi, Wonsi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3
    • /
    • pp.1691-1710
    • /
    • 2020
  • We measured PM2.5 and PM10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 ㎛ and 10 ㎛ in diameter, respectively) simultaneously at 16 locations around an elementary school and classrooms in Busan and Pyeongtaek,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field intensive with those in the literature (144 cases of 30 studies), focusing on I/O (Indoor/Outdoor) ratios. We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ategorizing them into related sub-categories for indoor-activities, seasons, building-us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 conclude that indoor PM10 is affected more by indoor-sources (e.g., physical activities) than PM2.5 in the absence of combustion sources like smoking and cooking. Additionally, PM10 and PM2.5 likely have different indoor-outdoor infiltration efficiencies. Conclusively, PM10 in classrooms can be more sensitively affected by both indoor activities and ambient concentrations, and mechanical ventilation can be more efficient in reducing PM concentrations than natural venti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