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소도포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2초

새로운 캅사이신유도체 DA-5018의 피하주사 및 국소도포시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DA-5018, a New Capsaicin Derivative,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and Topical Application)

  • 김희기;배은주;신명수;손문호;김순희;김원배;양중익;공재양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2호
    • /
    • pp.117-124
    • /
    • 1997
  • The analgesic effects of DA-5018, a new caosaucin derivative, were evaluated in various experimental pain models. Drugs wer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or topically. When drugs wer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1) the $ED_{50}$ of DA-5018, morphine . HCI, capsaicin and acetaminophen were 0.091-2.0, 0.3-4.3, 1.4-26.5 and 45.4-643 mg/kg, respectively in various pain or inflammatory models including acetic acid writhing, formalin, tail flick, Randall-Selitto, hot plate and crouton oil-induced ear edema test, 2) the AD2 values (the dose for doubling of pain threshold of vehicle control) of DA-5018, capsaicin and ketoprpgin were 1.07 $\pm$ 0. 18, 23.47$\pm$4.46 and 2.97$\pm$0.43 mg/kg in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induced arthritic pain model. And by topical application, 1) neither DA-5018 0.3% cream nor Zostrix-HP (capsaicin 0.075%) were effective in formalin test, 2) although DA-5018 0.3% crea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roton oil-induced ear edema being better than Zostrix-HP and Kenofen (ketoprofen 3%). 3) In FCA model, DA-5018 0.3% cream reversed the decreased pain threshold of arthritic rat from 136.4 g (day 0) to 289.0 g (day 5) and 250.1 g (day 10), which was similar to Zostrix-H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5018 administered subcutaneously has a potent and broad analgesic spectrum tha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gainst acute and chronic pain, and by topical application it exerts comparable analgesic and antiinglammaatory effects to capsaicin cream.

  • PDF

미세바늘을 이용한 헤파린의 국소 도포가 피부 피판 생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Heparin with Microneedling on Skin Flap Survival)

  • 양은정;김석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254-261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parin effect for a viability of random - pattern dorsal flap in hairless mouse. Methods: A caudally - based random dorsal flap, measuring $1.5{\times}5cm$, was designed and heparin was applied topically after microneeding. Twenty five male hairless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1, n=5); received only microneedling (Group 2, n=5), only heparin(Group3, n=5), microneedling with saline(Group 4, n=5), and microneedling with heparin group(group5,n=5) to the flap during 7 days. The number of the capillar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neovascularization after heparin application using imaging analysis program under hematoxylin - eosin stain. The capillary blood flow was measu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After seven days each animal was evaluated for the percentage area of the flap survival. Mann - Whitnety U test and Kruskal - Wallis statistical analysis of survival relationships was performed. Results: It can be observed increased number of the blood vessels in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lood flow of the haparin with microneedling group maintained higher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Treated microneeding and heparin mice were significantly better flap viability than in controls (flap survival 67% and $54.4mm^2$ respectively; p<.01).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flap survival rate and laser Doppler flux value only at first day after surgery. Conclusion: Heparin has a beneficial effect on capillary flow and improve peripheral circulatory disturbances in random pattern flaps.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전암병소 및 악성종양 치료를 위한 광역학 요법의 이용 (PHOTODYNAMIC THERAPY OF PREMALIGNANT AND MALIGNANT LESION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오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3호
    • /
    • pp.234-238
    • /
    • 2002
  •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전암병소와 종양의 치료를 위하여 국소적으로 ALA, 전신적으로 Forscan의 광감각제를 도포하거나 주입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직 장기적인 추적조사가 요구되지만 광역학 요법은 기존의 수술법, 항암요법, 방사선치료와 함께 종양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택적 Cyclooxygenase-2 저해제 국소 도포가 토끼 귀의 창상반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Topical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on Skin-Wound Scarring of the Rabbit Ear)

  • 김도엽;박진형;천봉권;한예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351-358
    • /
    • 2011
  • Purpose: The inflammatory phase is considered an integral part of adult wound healing, but fetal wound healing studies have shown scarless healing results in the absence of the inflammation process. The COX-2 pathwa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topical selective COX-2 inhibitor on inflammation in rabbit skin wound healing and scarring. Methods: Full-thickness wounds were made on 6 New Zealand rabbits' ears. Topical 5% celecoxib + vehicle (experimental tissue) and vehicle only (controlled tissue) were applied daily for 14d on each side of the ears. Scar samples were harvested at 2 wks, 4 wks, and 8 wks after the wounding. Each sample wa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the Masson's trichrome stain to evaluate inflammation and scar formation. Results: Histological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inflammation, neovascularization, and scar elevation in the experimental tissue as compared to the control. Additionally, experimental tissue exhibited faster improvement of collagen organization similar to that of normal tissu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selective COX-2 inhibitor on a rabbit ear wound resulted in decreased inflamma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car formation.

괴사성 치주질환 환자에서 비외과적 치주치료의 임상적 미생물학적 효과: 증례 보고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effect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in necrotizing periodontal disease: case report)

  • 김상민;이재민;강대영;신현승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294-300
    • /
    • 2021
  • 치태세균에 의해 야기되는 괴사성 치주질환은 감염부위에서 위막과 치간사이의 연조직 괴사 및 출혈, 촉진시 통증과 치은 출혈이 관찰된다. 환자들의 구내 세균을 조사해보면 방추균과 나선균이 혼합하여 존재하는 방추스피로헤타 세균총을 가지고 있다. 본 증례는 괴사성 치주질환으로 잠정 진단된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비외과적 치주치료, 3% 과산화수소를 적신 면봉을 이용한 드레싱 후 국소전달항생제를 도포하였고, 치료 전과 초기 치료 3 - 5일 후 치은열구액을 채득하여 실시간 연쇄중합반응법을 이용한 정량분석으로 구강내 미생물수를 측정하였다. 비외과적 치주치료 후 감염부위 치은이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7종 이상 검출되던 치주질환 관련 미생물도 1종만 검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비외과적 치주치료를 통해 괴사성 치주질환 환자들의 치주 조직을 정상으로 회복하였다.

복막 투석 환자에서 도관 관련 감염 및 복막염에 대한 Mupirocin과 도관 전환술(Catheter revision)의 효과 (The Effects of Catheter Revision and Mupirocin on Exit Site Infection/Peritonitis in CAPD Patients)

  • 박준범;김정미;최준혁;조규향;정항재;김영진;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47-356
    • /
    • 1999
  •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 및 신 이식과 함께 말기 신 질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성공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서는 복막 투석에 따른 여러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관 출구 감염이나 복막염 등 투석 관련 감염은 여전히 도관 제거로 인한 복막 투석의 중단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영남대학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3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복막 투석을 시행 후 추적 가능한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관 출구 감염과 복막염의 발생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제거의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전환술의 성적, 그리고 mupirocin ointment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도관 출구 감염의 빈도 차이 등을 후향 분석하였다. 복막 투석을 시행한 총 환자-투석기간은 2,401개월이었고 도관 출구 감염은 36명의 환자에서 105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22.8 환자-개월이었고 복막염은 67명의 환자에서 112례 발생하여 그 빈도는 1/21.4 환자-개윌로 나타났다. 대다수 출구 감염의 경우 일반적인 투약에 잘 반응하였으나 치료에 불응하여 도관 전환술을 시행한 7명 중 5명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 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2명은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이었다. revision후 3명에서 감염이 재발하였으나 한 명은 항생제에 바로 치유되었고 또 한 명은 second revision으로 치료하였으며 나머지 한 명은 MRSA에 의한 반복 감염이 지속되어 결국 도관 제거와 동시에 도관 재삽입을 시행하였다. 재발에 대한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 14.0개월 동안 더 이상의 출구 감염은 없었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mupirocin을 국소 도포 한 34명의 환자를 살펴보면, pre-mupirocin 기간의 총 투석기간은 687개월이었고 그 기간동안 도관 출구 감염이 54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12.7 환자-개월로 나타났으나 mupirocin 기간의 경우 총 투석기간 136개월 동안 4례 발생하여 그 빈도가 1/34.0 환자-개월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도관 출구 감염의 72.2%가 SA에 의한 것으로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함으로써 대부분 완치되었고 일부 약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반복 감염되어 도관 탈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도관 전환술을 통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난치성 출구 감염을 치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관 출구 부위에 mupirocin을 간헐적으로 국소 도포 함으로써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출구 감염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관 전환술과 mupirocin의 장기적인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에서 트라넥삼산의 출혈 및 수혈 감소 효과 (Tranexamic Acid Reduces Postoperative Blood Loss in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박기영;김인보;김은열;이광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91-397
    • /
    • 2021
  • 목적: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은 하지 수술에서 출혈과 수혈 빈도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에 출혈 및 수혈 요구에 대한 TXA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평가하였다. 수술 중 정맥로와 관절강 내 도포를 시행한 군은 TXA 사용군, 시행하지 않은 군은 TXA 미사용군으로 분류하였다. 술 후 출혈량을 나타내는 배액관 배액량과 수혈 여부, 술 후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TXA 사용군과 TXA 미사용군 간 연령(72.0±7.0 vs. 71.5±5.8, p=0.656) 및 남, 녀 성별 비율(28:65 vs. 23:61, p=0.689)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두 질환 모두를 가진 환자의 유병률(36:3:13 vs. 32:3:8, p=0.806)은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혈 기준에 따라 수혈을 시행한 수혈 환자 수(0 vs. 9, p=0.001)는 TXA 사용군에서 없었으며 TXA 미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수술 1일째(98.8±61.2 ml vs. 162.7±98.8 ml, p<0.001) 및 제거 당시 배액관 배액량(73.8±48.4 ml vs. 91.5±54.5 ml, p=0.024)은 둘 다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 수술 전 측정한 혈색소 수치(13.2±1.4 vs. 13.3±1.5, p=0.374)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39.5±3.9 vs. 39.6±4.7, p=0.946)에서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1일째(11.7±1.2 g/dl vs. 11.2±1.4 g/dl, p=0.048), 3일째(10.9±1.2 g/dl vs. 10.2±1.2 g/dl, p<0.001), 6일째 혈색소(11.2±1.3 g/dl vs. 10.7±1.3 g/dl, p=0.020)는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1일째(35.0%±3.6% vs. 32.5%±3.8%, p=0.001), 3일째(32.3% ±5.0% vs. 29.8%±3.6%, p<0.001), 6일째 적혈구 용적률 수치(33.5%±3.8% vs. 31.5%±3.7%, p<0.001)에서도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정맥로와 관절강 내 국소도포를 이용한 TXA의 사용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줄일 수 있다.

마그네슘 풍부 해양미네랄 용액이 hairless 마우스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gnesium Rich Sea Mineral Water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Hairless Mice)

  • 김동희;이규재;최주봉;이영미;윤양숙;김정례;장병수;양용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167-174
    • /
    • 2008
  • 아토피성 피부염은 주로 천식과 비염 등을 동반하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유전학적, 환경적, 면역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발병한다. 해수에 포함된 마그녜슘염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장벽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그에 대한 면역학적인 연구와 조직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부염을 인위적으로 일으키는 hapten 형성물질인 DNCB를 hairless mice에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로 만든 후,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된 해양 미네랄수를 처리한 후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DNCB로 피부염을 유발한 hairless mice에 해양미네랄수를 국소적으로 도포하였을 때 유의한 피부수분함량이 증가와 경피수분손실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p<0.01). 피부측정에서 피부거칠기(skin roughness, p<0.05)와 스케일생성(skin scaliness, p<0.01)은 실험군에서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피부손상지수의 유의한 감소(p<0.01)와 비만세포와(p<0.01) 호산구의 감소(p<0.05) 소견을 보였고 또한 혈청 IgE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1). 이상과 같이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된 해양 미네랄수 도포는 피부장벽의 손상을 줄이고 피부수분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유발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아토피성 피부염의 관리를 위하여 세라마이드나 식물성 오일의 보습제가 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가적인 피부장벽의 보호를 위하여 탈염 해양 미네랄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대체, 혹은 보조적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소적인 불소도포제재와 불소유리 치면열구전색재의 내산성 효과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 RELEASED FROM SEALANT COMPARED TO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METHODS)

  • 박기태;손홍규;최병재;박광균;손동수;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8-172
    • /
    • 1997
  • Sixty human premolar teeth were used for this in vitro study. After each tooth was sectioned mesiodistally, one half was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for the control. Three groups were made for each fluoride applying method and twenthy teeth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en teeth were used for evaluating total fluoride amount and the other ten were used for firmly-bound fluoride. Fluorshield was used for fluoride-releasing sealant and 1.23% APF, 0.05% NaF were used for topical application fluorides. Each tooth was cleaned with a tooth brush using nonfluoride containing pumice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sealant group, fluoroshield was applied to the enamel surface without etching procedure and stored in $37^{\circ}C$ saline for 30 days. After 30 days, sealant was removed with explorer without scratching the enamel surface and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dried. In the APF group, each tooth was immersed in 1.23% APF for 30 min then washed and dried in the same manner. In the NaF group, each tooth was immersed in 0.05% NaF for 24 hours then washed and dried as described above. After each fluoride regimen was applied, ten teeth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group and immersed in 1M KOH solution for 24 hours to remove loosely-bound fluoride possibly deposited by the three different fluorides applied. In each group, total fluoride amount deposited and the amount of enamel removed by acid biopsy were calculated. After loosely-bound fluoride was removed, firmly-bound fluoride deposited and the amount of enamel removed by acid biopsy were also calculated. Total fluoride amount deposi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PF and NaF groups, but not in the sealant group. Amount of enamel removed by acid-biopsy was also significantly diminished in the APF and NaF groups, but not in the sealant groups. After loosely-bound fluoride was removed from each groups,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mount of firmly-bound fluoride in any groups. Also no effect of firmly-bound fluoride on enamel dissolution was shown in any groups after loosely-bound fluoride was removed from each group. In conclusion, topical application method of APF or NaF is more effective than fluoride-releasing sealant application to make $CaF_2$ coating on enamel surface and $CaF_2$ coating is the main source for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 However, longterm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releasing sealant should be further evaluated.

  • PDF

방사선 보호제(Diethone)의 랫드 피부반응에 대한 수식작용 (Skin Radioprotector (Diethone) Modifying Dermal Response of Radiation on Rats)

  • 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15-22
    • /
    • 1989
  • Diethone의 피부에 대한 방사선 보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Wistar계 랫드에 단일 X-선(20, 30, 40 Gy) 조사 후 시간경과와 선량변화에 따른 급성 피부반응을 연구하였다. 40Gy 선량에서 Diethone군의 피부반응기간은 24.7일로 대조군(29.8일)과 바셀린(29.2일) 투여군에 비하여 약$17\%$의 피부반응 기간이 뚜렷이 감소되었다. 피부반응이 최고도에 달한 10일 동안의 평균치는 Diethone군(2.43)이 대조군(2.91)과 바셀린(2.81)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피부반응 Score 2.5에서 구한 등가효과 선량의 반응감소 계수(DRF)는 1.41로 피부보호효과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로 보아 방사선 피부보호제를 국소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일반적인 치료선량보다 많은 방사선량을 거대하고 방사선내성이 있는 종양에 조사함으로로써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