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atheter Revision and Mupirocin on Exit Site Infection/Peritonitis in CAPD Patients

복막 투석 환자에서 도관 관련 감염 및 복막염에 대한 Mupirocin과 도관 전환술(Catheter revision)의 효과

  • Park, Jun-Beom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Jung-Mee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Jun-Hyuk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o, Kyu-Hyang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ung, Hang-Jae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Yeung-Jin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 Jun-Yeung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Yoon, Kyung-Woo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박준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정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준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규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항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도준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경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Background: Exit site/tunnel infection causes considerable morbidity and technique failure in CAPD patients. We presently use a unique revisio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ESI/TI in CAPD patients and mupirocin prophylaxis for high risk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39 CAPD patients about the ESI/TI from October 1993 to February 1999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t the beginning of the ESI. we usually started medications with rifampicin and ciprofloxacin and then changed the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test. If the ESI had persisted and there were TI symptoms (purulent discharge, abscess lesion around exit site). we performed catheter revision(external cuff shaving, disinfection around tunnel and new exit site on opposit direction) with a combination of proper antibiotics. We applied local mupirocin ointment at the exit site three times per week to the 34 patients who had the risk of ESI starting from October 1998. Results: The total follow-up was 2401 patient months(pt. mon). ESI occurred on 105 occasions in 36 out of 139 patients, and peritonitis occurred on 112 occasions in 67 out of 139 patients. The total number of incidences of ESI and peritonitis was 1 per 23.0 pt. mon and 1 per 2l.6 pt.mon. The most common organism responsible for ESI was Staphylococcus aureus (26 of 54 isolated cases, 48%), followed by the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MRSA) (13 cases, 24%). Seven patients(5: MRSA. 2: Pseudomonas) had to be treated with a revision to control infection. Three patients experienced ESI relapse after revision. One of them improved with antibiotics, while another needed a second revision and the remaining required catheter removal due to persistent MRSA infection with re-insertion at the same time. But, there was no more ESI in these 3 patients who were received management to relapse (The mean duration: 14.0 months). The rates of ESI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using mupirocin than before(1 per 12.7 vs 34.0 pt.mon, P<0.01). Conclusions: In summary, revision technique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fractory ESI/TI before catheter removal. Also local mupirocin ointmen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ESI.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 및 신 이식과 함께 말기 신 질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성공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서는 복막 투석에 따른 여러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관 출구 감염이나 복막염 등 투석 관련 감염은 여전히 도관 제거로 인한 복막 투석의 중단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영남대학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3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복막 투석을 시행 후 추적 가능한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관 출구 감염과 복막염의 발생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제거의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전환술의 성적, 그리고 mupirocin ointment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도관 출구 감염의 빈도 차이 등을 후향 분석하였다. 복막 투석을 시행한 총 환자-투석기간은 2,401개월이었고 도관 출구 감염은 36명의 환자에서 105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22.8 환자-개월이었고 복막염은 67명의 환자에서 112례 발생하여 그 빈도는 1/21.4 환자-개윌로 나타났다. 대다수 출구 감염의 경우 일반적인 투약에 잘 반응하였으나 치료에 불응하여 도관 전환술을 시행한 7명 중 5명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 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2명은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이었다. revision후 3명에서 감염이 재발하였으나 한 명은 항생제에 바로 치유되었고 또 한 명은 second revision으로 치료하였으며 나머지 한 명은 MRSA에 의한 반복 감염이 지속되어 결국 도관 제거와 동시에 도관 재삽입을 시행하였다. 재발에 대한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 14.0개월 동안 더 이상의 출구 감염은 없었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mupirocin을 국소 도포 한 34명의 환자를 살펴보면, pre-mupirocin 기간의 총 투석기간은 687개월이었고 그 기간동안 도관 출구 감염이 54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12.7 환자-개월로 나타났으나 mupirocin 기간의 경우 총 투석기간 136개월 동안 4례 발생하여 그 빈도가 1/34.0 환자-개월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도관 출구 감염의 72.2%가 SA에 의한 것으로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함으로써 대부분 완치되었고 일부 약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반복 감염되어 도관 탈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도관 전환술을 통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난치성 출구 감염을 치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관 출구 부위에 mupirocin을 간헐적으로 국소 도포 함으로써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출구 감염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관 전환술과 mupirocin의 장기적인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