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환경정책

Search Result 1,33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BUSINESS GUIDE_경영상식/세무, 노무, 환경 - 녹생성장과 중소기업(1)

  •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196
    • /
    • pp.48-53
    • /
    • 2010
  •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와 자원위기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국가경제의 미래와 기업 생존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부각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정보 기술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녹색성장 방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중소기업의 녹색성장 정책 현황 및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한다.

  • PDF

BUSINESS GUIDE_경영상식/세무, 노무, 환경 - 녹색성장과 중소기업(3)

  •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198
    • /
    • pp.48-55
    • /
    • 2010
  •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와 자원위기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국가경제의 미래와 기업 생존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부각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업들은 정보 기술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녹생성장 방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중소기업의 녹생성장 정책 현황 및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한다.

  • PDF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습지보전.관리를 위한 국가 중장기 계획 소개)

  • Kim, Taesung;Jeong, Jiwoong;Moon, Sangkyun;Yang, Heesun;Yang, Byeonggu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19-527
    • /
    • 2013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t up 'the $2^{nd}$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to facilitate systematic surveys and management of various national wetlands and to promot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f those wetlands. The mid-term fundamental pla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5 of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which spans 5 years from 2013 to 2017 and covers national wetlands including inland wetlands and coastal wetlands stated in the Act. The fundamental plan aims to promote the wise use of wetlands through establishing polici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based on the assessment of implementation of the $1^{st}$ Fundamental Plan, setting up a scientific framework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wetland policies by improving wetland survey systems and enhancing basis wetland data, improving the ecological health of wetlands and secur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wetlands by strengthen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wetlands, and through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diversify education and promotion tools. The main objectives of the $2^{nd}$ Fundamental Plan is to revise the entire Wetland Conservation Act, to create a new monitoring system of national inland wetlands, to upgrade the national wetlands inventory, to reflect the 'Ecological Map' for promoting precautionary management of wetlands, to improve the 'Wetland Resto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o build wetlands resilience, and to systematize the wise use of wetlands that benefits local people.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ns to establish its other master plan for wetland conservation based on the $2^{nd}$ Fundamental Plan, this document introduces the $2^{nd}$ Fundamental Plan to stakeholder and wetland professions.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 President's Influence for Policy towar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process of 'Special Zone of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West Sea' policy making (대북정책 결정의 정치적 환경과 대통령의 영향력 :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정책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 Kim, Yoon Young;Choi, Sun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24 no.1
    • /
    • pp.31-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factors and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influence of the president is limited in South Korea's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lthough the president has the highest decision-making power over policy toward North Korea as a head of state, the president's influence is not always absolute. Many reasons, such as bureaucratic government through the separation of power, the political environment such as divided government or the remaining term of the president,and the specificity of policy act as factors limiting the president's influence on policy toward Nor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Special Zone for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West Sea' which was planned by the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in 2007,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resident, limited b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political conditions in the process.

식품산업육성정책

  • 김영찬
    • Food Industry
    • /
    • s.179
    • /
    • pp.10-73
    • /
    • 2004
  •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은 2002년도에 약 36조3천8백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여, 국내총생산(GDP)의 $5.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총생산액의 $20.3\%$를 차지하여 국내제조업의 견인차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제조업별 부가가치 순위는 전자, 화학, 자동차산업에 이어 4위를 점하고 있으며, 고용유발계수도 평균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모든 소비재 중 생존을 위해 없어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식품산업은 약 18,000업소가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종업원 10인 이하 사업장이 $78.1\%$를 차지하며, 상위 47개 사업장이 식품산업 총 매출액의 $52\%$를 점유하고 있는 영세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측면에서 보면 그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중심의 행정에 치우쳐 산업진흥을 위한 특별한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품산업의 구조적 영세성은 식품산업이 갖는 경제적 측면 이외에 특별한 위치 즉, 국민보건분야에 있어서의 중대성과 함께 산업으로서의 발전을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이와 함께 식품산업은 BT분야에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고, 성공확률이 높아 국가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배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장에서는 식품산업의 생산$\cdot$수출입현황, 식품산업의 경제적 위치를 분석하여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국내외 식품산업지원정책의 파악을 위하여 식품안전관련 법령의 소개와 산업지원을 위한 산자부 등 관련부처의 지원정책을 제시하였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가의 바이오 기능식품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BT 지원정책을 소개하였다. 이와함께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유럽, 일본의 식품산업의 중점 연구개발동향을 소개하였다. 상기의 식품산업분석, 지원정책, 외국의 BT지원 사례 등을 참조하여 우리 식품산업의 환경분석과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전망을 분석하였다. 식품산업 정책의 개선방향으로서 제도의 개선, 위해평가 수행체계의 도입, 식품유통의 효율화 기반조성 및 지원, 산업지원을 위한 추진정책, BT산업으로서 식품산업의 진흥책 강구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Global Data Law & Policy and its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European Union (국내외 데이터법·정책 분석 및 시사점: 미국, 영국, EU의 사례를 중심으로)

  • Yoon, Sang-Pil;Kwon, Hun-Yeo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8 no.2
    • /
    • pp.98-113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of the Global Data Law & Policy by comparing national data strategies, data regulations and policies, and governance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European Un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biggest difference is in data governance,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and coordination of policies at the pan-government level and data ethic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presidential special committee on data policy or the creation of a 'National Digital Innovation Office' at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s a national CDO for the governance of data policies.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a)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the Development of Data Industry' that can regulate data practices in the private sector, b) to institutionalize the data-centric security and data protection, c) to settle the public ethics and personnel management based on data expertise and professional ethics, including explainability and responsibility, and d)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Evaluation of Life Cycle Carbon Dioxide Emission of Rain-water Collecting System for 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을 위한 빗물 집수시스템의 전과정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평가)

  • Kim, Young Woon;Kim, Yong In;Kim, Chang Hyun;Gong, Yun Jung;Yang,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6-516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하여, 홍수, 사막화, 엘니뇨 등의 자연재해가 이전보다 더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이슈 중 하나가 물 순환이다. 각 국가에서는 물 순환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이라는 물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이 각 국가별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1년에 국토해양부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발표하고, 환경부에서는 2013년에 LID기술요소 가이드라인과 환경영향평가 시 적용 가능한 저영향개발 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LID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LID기술 중 하나가 빗물 집수시스템이며, 이 빗물집수시스템은 주거지역에서 빗물을 배수하고, 집수하여 빗물을 이용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빗물 집수시스템은 측구 집수시스템과 원형 집수시스템이 있으며, 최근에는 수로형 집수시스템이 적용되는 지역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이용하여 빗물 집수시스템의 환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녹색건축물인증, 탄소성적 표지인증, 환경성적 표지인증 등 LCA를 이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측면에서 LCA를 적용하여 이산화탄소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빗물집수시스템 30m로 가정하였으며, 측구 집수시스템, 원형 집수시스템 및 수로형 집수시스템의 건설, 운영 및 유지관리, 해체 및 폐기단계의 전 과정이다. 각 빗물 집수시스템에 대해 각 단계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수로형 집수시스템은 $2.82\;ton\;CO_2\;eq./set$이며, 원형 집수시스템은 $27.65\;ton\;CO_2\;eq./set$, 측구 집수시스템은 $21.54\;ton\;CO_2\;eq./set$이 배출되었다. 이산화탄소배출량 측면에서는 수로형 집수시스템이 나머지 두집수시스템보다 87~90%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영향개발에 대응하는 동시에 기후변화를 대응한다는 측면에서 빗물 집수시스템 정책에 활용되고, 설계시에도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적으로 이산화탄소뿐 만 아니라, 다른 환경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PDF

Limits and improvements of the river master plan with the change of public water management system (물관리 체계 개편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한계 및 개선방안)

  • Lee, Du H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
    • /
    • 2020
  • 하천관리정책은 국가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각 나라에 맞는 고유한 방향으로 정착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수와 개발이 중심이 있는 되는 일본식 하천관리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왔으며 개별 하천의 관리에 기본이 되는 하천기본계획체계는 일본의 신하천법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관리체계는 2019년 6월에 시행된 물관리기본법에 의해 수량과 수질 통합관리 체계로 크게 개편되었다. 현행 물관리체계에서는 수질과 수량은 관리주체가 통합되었으나 하천관리는 하천시설물과 하천수의 관리주체가 분리되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선진국은 하천관리에서 치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하천의 치수관리에 대한 정책적 중요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기본계획은 개별 하천에 대한 치수, 이수, 환경의 유일한 종합적 계획으로 광범위한 조사/분석/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타계획과의 연관성이나 활용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하천관리정책 수립, 일관성 있는 치수, 이수, 환경 계획의 수립, 정부의 효율적인 하천관리 실행 등의 관점에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한계를 살펴보고 변화하는 기후 및 사회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하천관리체계를 검토하고 도로, 상하수도 등 유사 분야의 계획 체계와 하천계획 체계를 비교하였다. 물관리 체계 개편을 고려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 현행 법체계와 사회환경을 고려하여 하천기본계획이 실질적인 하천에 대한 종합적 계획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체계 개편 방안과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장단기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a Roadmap for National Research Data Management Govern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United Kingdom's Case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 제안 - 영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 Shim,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9 no.4
    • /
    • pp.355-378
    • /
    • 2015
  • In recent years, countries such as USA,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have begun to implement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share research data produced through publicly funded research. However, Korea as of yet does not have a coordinated research data policy. The lack of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the sharing and preserving research data results in the poor management and loss of valuable data produced from significant national R&D investments. The need for research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sharing goes beyond the outcome assessment of national research: it facilitates the diffusion of research impact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data sharing is an essential element of research ethic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evant research data policies and methods of governance at the national level using a case study analysis. United Kingdom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arget as it shows a wide variety of policy examples and instrument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K's national legal framework for research data sharing, analyzes the RCUK (Research Councils UK)'s data policies, activities at the seven research councils under RCUK as well as several supporting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es, this research offers a national roadmap for better managing and sharing of research data in Korea.

National Accoun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Korea's NAMEA-air (국민계정과 온실가스 배출: 한국의 NAMEA-air 편제)

  • Kim, Jong-Ho;Kim, Hose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4
    • /
    • pp.963-1001
    • /
    • 2010
  • The national accounting matrix including environmental accounts(NAMEA) includes informations on environmental pressures in relation to economic activities as developed in the national accounts. In the NAMEA, conventional national accounts tables have been extended with accounts in physical units.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for work carried out on environmental accounts in Korea and explains how the NAMEA-air is developed. The Korea's NAMEA-air provided here serves several purposes; (1) a consistent and systemic featur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2) a basis for environmental economic analysis; and (3) the vital information for climate and air policy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