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 전해질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s of Electrodeposited Lead Dioxide Structure on the Ozone Evolution (전착이산화납 결정구조가 전해에 의한 오존발생에 미치는 영향)

  • Kim, In Hwan;Lee, Choong Young;Nam, Chong W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7 no.2
    • /
    • pp.280-288
    • /
    • 1996
  • In the ozone evolution using $PbO_2$, which was electrodeposited on Ti plate at various conditions in electrolyte, the effects of lead dioxide structure on the current efficiency and surface structure changes of lead dioxide were investigated. Also the effects of oxygen transfer reaction on the ozone evolution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a $PbO_2$ electrodeposited on the platinum rotating disk electrode. In order to develope an electrode for ozone evolution, durability of lead dioxide and optimum current density were investigated. At the electrodeposited lead dioxide with the larger grain size and higher crystallinity, the efficiency for ozone evolution was higher. Optimum current density to electrodeposite lead dioxide with large grain size and high crystalinity was $50mA/cm^2$. Lead dioxide deposited in the presence of glycerin showed the best advantage of ozone evolution. Also lead dioxide electrodeposited at less than $10mA/cm^2$ or at more than $100mA/cm^2$ has poor performance of ozone evolution and poor adhesive strength to substrate. In the beginning of ozone evolution, surface structure of lead dioxide was changed and this change resulted in good effects on ozone evolution. Lead dioxide doped with other elements was favorable not to ozone evolution but to oxygen evolution, so it is speculated that ozone evolution has not intermediate stage of oxygen evolution and occurs competitively with oxygen evolution. When ozone was evolved at $0.7{\sim}0.8A/cm^2$, the current efficiency was highest.

  • PDF

$CH_4-H_2-N_2 $ 기체계에서 MW-PACVD를 이용한 결정상의 합성

  • 김도근;백영준;성태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54-54
    • /
    • 1999
  • 다이아몬드 합성시 질소 첨가는 Cn 화합물의 합성가능성을 비롯하여 다이아몬드의 질소 도핑, 성장 속도 및 결정성 변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아몬드의 일반적인 합성조건에서 질소를 첨가하여 합성된 막의 형상 및 상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막은 다이아몬드 전처리시킨 Si 기판위에 microwave plasma CVD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유입되는 혼합가스(CH4+H2+N2)에서 N2 첨가량을 0-95%까지 변화시켰다. 이때 CH4 농도는 5%로 고정하였고, 합성온도는 90$0^{\circ}C$-115$0^{\circ}C$까지 변화시켰다. 이와 같이 합성된 막의 표면조직 및 성장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상의 분석은 Raman, XRD 및 TEM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조성분석을 위해 XPS 및 AES를 사용하였다. 질소 첨가량에 따라 합성된 막은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다이아몬드 결정에서 시작하여 질소첨가에 따라 결정면이 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0%, 45%의 경우는 다시 결정면이 나타났다. 다량의 질소가 첨가되었을 때, 다시 결정면을 보이는 다이아몬드가 합성된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한편 질소와 메탄만의 기체하에서는 다시 결정면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상의 구조는 XRD 및 TED 분석을 통해 모두 다이아몬드로 확인되었다. 기체내의 질소의 첨가에 관계없이 고상내에 질소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방법에 의한 CN 화합물의 합성은 힘든 것으로 보여진다. 이들 실험 결과를 근거로 온도 및 조성에 따른 기체의 열역학적 계산을 통하여 합성거동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anode는 매우 높은 충전용량을 갖는데 첫 번째 방전시에 Li2O를 생성하여 비가역적 반응을 나타내고 계속되는 충방전 동안 Li-Sn 합금이 생성되어 2차전지의 가역적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SnO2 는 대기중에서 Li 금속보다 안정하기 때문에 전지의 제작 공정 및 사용 면에서 매우 우수한 물질이지만 아직까지 SnO2 구조적 특성과 전지의 충, 방전 특성에 대한 관계의 규명을 위한 정확한 정설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TFSB anode 물질로써 SnOx박막을 상온에서 여러 전도성 콜렉터 위에 증착하여 그 충, 방전 특성을 보고하였다. 증착된 SnOx박막의 표면은 SEM, AFM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조의 분석은 XR와 Auger electron spectroscope로 하였다. 충, 방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리늄 foil을 대극과 참조 전극으로 하여 EC:DMC=1:1, 1M LiPF6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Half-Cell를 구성하여 100회 이상의 정전류 충, 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Half-Cell test 결과 박막의 구조, 콜렉터의 종류 및 Sn/O비에 따라 서로 다른 충, 방전 거동을 나타내었다.다. 거의 없었다. 5mTorr 일 때가 가장 좋았다.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RNA바이러스의 하나인 BVDV의 viral replicon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포유동물 세포에 유전자 발현벡터로써 사용할 수 있음으로 post-genomics시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기능연구에 맡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

  • PDF

Synthesis of Mesoporous Pt-Au Alloy Electrode by Electrodeposition Method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용 메조포러스 백금-금 합금전극제조)

  • Park, Eun-Kyung;Ahn, Jae-Hoon;Kim, Young-Soo;Kim, Kyung-Hwa;Baeck, Sung-Hye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4
    • /
    • pp.727-731
    • /
    • 2008
  • Mesoporous Pt-Au alloy film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on ITO-coated glass by electrodeposition method using tri-blockcopolymer (P123) as a templating agent. The electrolyte consisted of 10 mM hydrogen hexachloroplatinate ($H_2PtCl_6$), 10 mM hydrogen tetrachloroaurate ($HAuCl_4$), and proper amount of P123. For comparison, control samples were electrodeposited without $HAuCl_4$ and P123. Film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the mesoporous structure was confirmed by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s utilized to examine surface morphology,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addition of P123 affected the particle growth, resulting in the significant change of surface morphology. Methanol oxidation and CO oxidation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electrocatalytic activities of synthesized samples. It was observed that the catalytic activity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film compositions. Compared with nonporous electrode prepared without P123 templating, mesoporous films prepared with P123 templating showed much higher catalytic activities and stability for both methanol oxidation and CO oxidation. These enhanced electrocatalytic activities were due to the high surface area and facilitated charge transfer of mesoporous films.

A Rational Design of Coin-type Lithium-metal Full Cell for Academic Research (차세대 리튬 금속 전지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코인형 전지의 효율적 설계)

  • Lee, Mingyu;Lee, Donghyun;Han, Jaewoong;Jeong, Jinoh;Choi, Hyunbin;Lee, Hyuntae;Lim, Minhong;Lee, Hongkyung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4 no.3
    • /
    • pp.65-75
    • /
    • 2021
  • Coin cell is a basic testing platform for battery research, discovering new materials and concepts, and contributing to fundamental research on next-generation batteries. Li metal batteries (LMBs) are promising since a high energy density (~500 Wh kg-1) is deliverable far beyond Li-ion. However, Li dendrite-triggered volume fluctuation and high surface cause severe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Given that such drawback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cell parameters and structure, such as the amount of electrolyte, Li thickness, and internal pressure, reliable Li metal coin cell testing is challenging. For the LMB-specialized coin cell testing platform,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al coin cell structure that secures performance and reproducibility of LMBs under stringent conditions, such as lean electrolyte, high mass loading of NMC cathode, and thinner Li use. By controlling the cathode/anode (C/A) area ratio closer to 1.0, the inactive space was minimized, mitigating the cell degradation. The quantification and imaging of inner cell pressure elucidated that the uniformity of the pressure is a crucial matter to improving performance reliability. The LMB coin cells exhibit better cycling retention and reproducibility under higher (0.6 MPa → 2.13 MPa) and uniform (standard deviation: 0.43 → 0.16) stack pressure through the changes in internal parts and introducing a flexible polymer (PDMS) film.

pH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거동

  • 최원희;신종호;박민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8-108
    • /
    • 2002
  • 고분자전해질들은 제지공정에서 건조지력제, 습윤지력제, 정착제, 보류제 등으로 널리 사 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전해질들이 보유하고 있는 관능기의 종류와 분자량에 따라 각각의 다른 특성을 발현하게 된다. 이중 관능기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중요한 특성 중 한가지가 전하밀도이며, 이러한 전하밀도는 제지공정에 사용할 때 습부공정에서 매우 중요 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전하밀도는 고분자전해질의 분자구조와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적용 pH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3급 아민과 4급 암모늄을 관능기로 가진 고분자전해질 의 경우 pH에 따른 전하밀도의 변화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3급 아민을 작용기로 가진 양이 온성 고분자전해질은 pH 9에 도달하면 양전하를 완전히 상실하고,4급 암모늄을 작용기로 가진 양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은 pH의 변화에 상관없이 양전하가 변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성과, 양쪽이온성 고분자전해질들 중 Cationic PAM, Amphoteric P PAM, PolyDADMAC, Epoxide polyamide resin, Epi-DMA copolymer 등을 시 료로 사용하였 으며, 양이온성 관능기의 종류가 다른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pH 변화에 따른 전하밀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성 초지공정의 pH 조건은 7.0 - 8.0이며, 이 pH 조건에 서 고분자전해질의 거동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이온 관능기의 종류에 따른 고분자전해질들을 pH 7.8에서 보관시간에 따른 전하밀도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전하밀도가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양이온성 관능기의 분자구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p pH 변화에 따른 전하밀도의 변화 결과로부터 3급 아민을 포함한 양이온성 고분자전해질 뿐만 아니라,4급 암모늄을 포함한 일부의 양이온성 고분자전해질 또한 알카리 조건에서 전하 밀도가 감소하며, 강한 얄차리 조건에서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약 알카리(pH 7.5 - 8.0) 조건 하에서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4 급 암모늄을 포함하는 고분자전해질의 전하밀도가 변화할 것이라 예측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하였다. 알카리 조건에서 전하밀도가 변하지 않는 4급 암모늄 고분자전해질과, 전하밀도가 변하는 4급 암모늄 고분자전해질의 분자구조를 비교해 볼 때, 그 원인은 4급 암모늄 의 관능기가 고분자 연쇄로부터 가수분해 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7Li MAS NMR studies of Li4P2O7 and LiFePO4 materials (LiFePO4와 Li4P2O77Li MAS NMR 특성 연구)

  • Han, Doug-Young;Park, Nam-Sin;Lee, Sang-Hyuk;Lee, Hak-Man;Kim, Chang-Sam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1 no.1
    • /
    • pp.15-20
    • /
    • 2011
  • [ $^7Li$ ]Magic Angle Spinning (MAS) NMR spectroscopy has been used to study the lithium local environments in $Li_4P_2O_7$ and$LiFePO_4$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structure of the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in lithium ion cells composed of $LiFePO_4$ as cathode material. $Li_4P_2O_7$ and $LiFePO_4$ were prepared by a solid-state reaction. The $^7Li$ MAS NM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variable temperatures in order to observe the local structure changes at the temperatures in $Li_4P_2O_7$ system. The $^7Li$ MAS NMR spectra of in $Li_4P_2O_7$ indicate that the lithium local environments in $Li_4P_2O_7$ were not changed in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27^{\circ}C$ and $97^{\circ}C$ Through this work, we confirmed that the small amount of $Li_4P_2O_7$ less than 5.0 wt% in $LiFePO_4$ could be clearly measured by the $^7Li$ MAS NMR spectroscopy at high spinning rate over than 11 kHz.

Application of the Electrical Impedance of Rocks in Characterizing Pore Geometry (암석 내 공극구조의 평가를 위한 전기임피던스의 적용)

  • Choo, Min-Kyoung;Song, In-Sun;Lee, Hi-Kweon;Kim, Tae-Hee;Chang, Chan-D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1 no.4
    • /
    • pp.323-336
    • /
    • 2011
  • The hydro-mechanical behavior of the Earth's crust is strongly dependent on the fractional volume and geometrical structure of effective pore spac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res using electrical impedance. We measured the electric impedance of core samples (diameter, 38-50 mm; length, 70-100 mm) of three types of granite (Hwangdeung, Pocheon, and Yangsan) and two types of sandstone (Boryung and Berea) with different porosities and pore structures, after saturation with saline water of varying salinities. The results show that resistance decreases but capacitance increases with increasing salinity of the pore fluid. For a given salinity, the resistivity and formation factor are reduced with increasing porosity of the rocks, and the capacitance increases. Berea sandstone shows anisotropy in resistance, tortuosity, and cementation factor, with these factors being highest normal to bedding plan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nectivity of pores is weakest normal to bedding. In conclusi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sted samples are related not only to their porosity but also to the pore geometry.

증착온도에 의한 전기적 착색 니켈 산화물 박막의 특성 분석

  • 고경담;양재영;강기혁;김재완;이길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59-159
    • /
    • 1999
  • 니켈 산화물 박막을 전자비임 증착법으로 기판온도는 RT~25$0^{\circ}C$의 범위에서 제작하였다. 제작시 초기 베이스 압력은 2$\times$10-6mbar로 하고 산소주입후 작업진공도를 3$\times$10-4mbar로 유지하여 증착하였다. 제작시 기판온도에 따라 제작된 시료들은 각각 X선회절장치(XRD)로 막의 구조과 그림과 같이 입방체 구조 또는 팔면체구조를 갖음을 알 수 있었으며 막의 표면형상은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여러 기판온도에 따라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의 전기 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전기적인 광학소자로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UV-Vis 광분광기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각 시료에 대한 박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0.5M KOH 전해질 수용액에서 기판온도가 150~20$0^{\circ}C$로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이 다른 온도에서 제작된 시료들보다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광학적 특성에서 착색과 탈색의 순환과정시 분광광도계에서 나타나는 광투과율을 비교해 보면 100~20$0^{\circ}C$에서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이 가역적인 착탈색의 색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광학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 분석으로 인해 막의수명과 전기적착색 물질의 특성면에서 증착시 기판온도가 150~20$0^{\circ}C$에서 제작된 시료가 가장 내구성면에서 막의 이온 누적이 적고 활성적인 광투과율의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니켈산화물 박막제작시 기판온도가 전기적착색물질의 특성과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분석할 수 있었다.electron Microscopy)과 AFM(Atomim Force microscopy)으로 증착박 표면의 topology와 roughness를 관찰하였다. grain의 크기는 10nm에서 150nm이었고 증착막의 roughness는 4.2nm이었다. 그리고 이 산화막에 전극을 형성하여 유전 상수와 손실률 등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plasma를 이용한 3-beam에 의한 증착은 금속의 산화막을 얻는데 유용한 기술로 광학 재료 및 유전 재료의 개발 및 연구에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소분압 조건에서 RuO2의 형성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열역학적인 계산을 통해서 잘 설명할 수 있었다.0$\mu\textrm{m}$, 코일간의 간격은 100$\mu\textrm{m}$였다. 제조된 박막 인덕터는 5MHz에서 1.0$\mu$H의 인덕턴스를 나타내었으며 dc current dervability는 100mA까지 유지되었다. CeO2 박막과 Si 사이의 결함때문이라고 사료된다.phology 관찰결과 Ge 함량이 높은 박막의 입계가 다결정 Si의 입계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동물 세포에 유전자 발현벡터로써 사용할 수 있음으로 post-genomics시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기능연구에 맡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no)화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 기존의 기능성 안료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등을 유도 할 수 있다. 역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특수소재 개발에 있어 최적의 나노 입자 제어기술 개발 및 나노입자를 기능성 소재로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의 제조와 고압 기상 분사기술의 최적

  • PDF

Facile Chemical Growth of Cu(OH)2 Thin Film Electrod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간단한 화학적 합성을 통한 고성능 슈퍼캐패시터용 수산화 구리 전극)

  • Patil, U.M.;Nam, Min Sik;Shinde, N.M.;Jun, Seong Cha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1 no.1
    • /
    • pp.175-180
    • /
    • 2015
  • A facile soft chemical synthesis route is used to grow nano-buds of copper hydroxide [$Cu(OH)_2$] thin films on stainless steel substrate[SS]. Besides different chemical methods for synthesis of $Cu(OH)_2$ nanostructure, the chemical bath deposition (CBD) is attractive for its simplicity and environment friendly condition. The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u(OH)_2$ thin films are studi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cyclic voltammetry (CV)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GCD) measurement techniques. The results showed that, facile chemical synthesis route allows to form the polycrystalline, granular nano-buds of $Cu(OH)_2$ thin film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u(OH)_2$ thin films are studied in an aqueous 1 M KOH electrolyte using cyclic voltammetry. The sample exhibited supercapacitive behavior with $340Fg^{-1}$ specific capacitance. Moreover, electrochemical capacitive measurements of $Cu(OH)_2/SS$ electrode exhibit a high specific energy and power density about ${\sim}83Wh\;kg^{-1}$ and ${\sim}3.1kW\;kg^{-1}$, respectively, at $1mA\;cm^{-2}$ current density. The superi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opper hydroxide ($Cu(OH)_2/SS$) electrode with nano-buds like structure mutually improves pseudocapacitive performance. This work evokes scalable chemical synthesis with the enhanced supercapacitive performance of $Cu(OH)_2/SS$ electrode in energy storage devices.

Surface Treatment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or Increasing Electric Double-layer Capacitanc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특성)

  • Kim, Ji-Il;Kim, Ick-Jun;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4 no.1
    • /
    • pp.93-98
    • /
    • 2010
  • In this work,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urface tre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were studied. Nitrogen and oxygen functional groups of the MWNTs were introduced by urea and acidic treatment, respectively. The surface functional groups of the MWNTs were confirm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measurements and zeta-potential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N_2$ adsorption isotherm at 77 K, specific surface area, and total pore volumes were investigated by BET eqaution, BJH method and t-plot metho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functionalized MWNTs were accumulated by cyclic voltammetry at the scan rates of 50 $mVs^{-1}$ and 100 $mVs^{-1}$ in 1M $H_2SO_4$ as electrolytes. As a result, the functionalized MWNTs led to an increase of capacitance as compared with pristine MWNTs.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capacitance for urea treated MWNTs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density of surface functional groups, resulting in improving the wettability between electrode materials and charg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