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적 수업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 박새록;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26-83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2020년 1학기에 진행된 실시간 쌍방향 강좌를 수강한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사회적 실재감, 학습 몰입,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 몰입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사회적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 몰입은 자기조절학습과 지각된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학습 몰입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중등 과학 수업의 참여구조 사례 연구: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의 형성 가능성 탐색 (Case Studies of the Participation Structures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Exploring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Space for Hybrid Meaning Making')

  • 유은정;이선경;오필석;신명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03-6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바탕으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어떻게 의사소통하고 의미를 창출하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10학년 과학 수업 4개분이며, 수업 녹화물과 전사본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등 과학 수업에서 발견되는 참여구조와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의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확인된 참여구조들은 대체로 교사 주도적이었으며, 새로운 의미 창출을 위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담화를 선도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하지만, 몇 가지 참여구조들은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다소간 내포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교육적 담화와 장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Reexamin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cale and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in P·E Class)

  • 최헌혁;허진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5호
    • /
    • pp.229-241
    • /
    • 2012
  •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의 상황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행동활성화와 행동억제척도(최헌혁, 허진영, 2010)를 재검증하고, 이것이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소재 고등학생 65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첫째, 행동활성화의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교사행동, 정서전환, 긍정적수업태도가 높을 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억제의 하위요인인 획일적수업구조, 부정적교사태도, 처벌, 유능감부족은 낮을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행동활성화와 억제요인이 앞으로 체육수업 수업상황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적용연구의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유지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55-281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 이희숙;허서정;김창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3-126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수업의 특징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의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전사하였으며, 이를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의 발언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의 학습활동과 교사의 발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둘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중심의 지배적, 전제적, 제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지시적 경향의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 중심의 통합적, 민주적, 포괄적, 허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비지시적 경향의 수업이다. 셋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강의 중심의 지식 내용 전달을 강조하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지식 내용 전달은 줄이고 학생의 활동과 발언을 강조하는 수업이다. 넷째, 전통적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의 강의와 질문에 학생이 단순 반응을 하는 단방향적인 의사소통이 주로 이루어지고 플립러닝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을 칭찬하거나 격려하고 학생의 생각을 수용하거나 사용하는 상호작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Inquiry Teaching Using Concept Sketches on Conceptual Changes about Plate Tectonic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 권영신;김정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7-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성시 소재 K 고등학교 2학년 2개 반이다. 수업 처치 전에, 판구조론에 대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 검사가 실시되었다. 비교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험 집단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을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이 끝난 후에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과학 관련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TOSRA)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처치에 따른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는 비교 집단보다 실험 집단에서 개념 이해도가 더 높게 향상되어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올바른 개념 변화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과학 관련 태도는 실험 집단의 경우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의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원격 PBL 수업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몰입의 관계 탐색 : 흥미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Flow in Distant PBL Clas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vel of Interest)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5-405
    • /
    • 2021
  • 본 연구는 원격 PBL 수업에서 몰입수준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흥미 수준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몰입과 관련된 학습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구조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론적으로 구성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사범학부 5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원격으로 PBL 수업을 수행한 이후 몰입,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흥미수준을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몰입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 흥미수준의 영향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여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는 경로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원격 PBL수업을 운영할 때, 학습자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을 고려하여 흥미수준을 조절한다면 몰입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ystem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eaching Evaluation)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4-50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현행 과학과 수업평가(장학)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과 그 개선 방안(지향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과학교사들이 경험한 수업평가의 유형, 현행 수업평가 결과의 활용 사례, 교사들이 진단한 현행 수업평가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현장 교사들은 관리자 중심의 관료적인 수업평가, 보여주기위한 공개 수업용의 수업 평가, 수업이 교사의 개인적인 영역이라는 교사들의 인식, 교사평가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업평가, 평가자의 비전문성,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평가들의 부재 등을 현행 수업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형성평가로서의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수업평가의 유형, 주체, 대상 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나아갈 길은 행정적 상부구조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 스스로 신뢰할만한 전문직으로서 자신들의 활동을 점검할 기초가 되는 교수활동 기준 개발 및 전문적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비대면수업에서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Class)

  • 서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57-164
    • /
    • 2020
  • COVID-19 (Corona Virus Desease-19)로 인해 2020년에는 국내 모든 대학이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대면 수업하에서 특히 실습수업이 중요한 공과대학생들의 경우 어떤 요인들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D대학의 공과대학생들 대상의 학습성취도 관련 설문문항을 이용하여 회귀 모델과 경로 분석을 결합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적용하고 본 연구에서 정의한 통계적 연구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지속화 되고 있는 비대면 수업에서, 특히 공과대학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한다. 조방정식의 최적의 모형 결과 학습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질의 및 피드백 그리고 이러닝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두 요인은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학업 성취도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층구조방정식의 적용 (Exploring Effects of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on Mathematics Achievement :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황성환;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75-1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와 수학성취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TIMSS 2015 한국자료를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수준에서 학생이 평가한 수학수업의 질은 학생의 수학 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학흥미는 수학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수업의 질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수학흥미의 매개를 통한 총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 평균적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은 학생의 수학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학교의 평균적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수학수업의 질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수학흥미의 매개 효과를 통해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