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매 시 기대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정보원천이 고객만족과 인터넷쇼핑몰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패러다임 적용

  • 김재전;박경자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583-588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만족과 지속사용의도를 예측하기 위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매의사 결정 시 이용한 정보에 대한 사후 만족 측정을 통해 정보원천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와 관련된 기대형성에 정보원천이 미치는 영향과 전통적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하에서 기대불일치와 만족간의 관계를 온라인 환경에서는 정보만족이 매개함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정보원천 중 자신의 구매경험이 기각되었으며 반면 다른 소비자의 소비경험인 온라인 구전정보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적인 기대불일치이론과 달리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전반적 만족에 대한 정보만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만족에 대해 정보만족이 직접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결정 유용성은 전반적인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의 중요성을 실증한 것으로 정보를 통한 기대관리, 정보만족을 기반으로 한 고객만족과 지속사용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스마트폰 앱 선택요인과 구매요인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Smartphone Application Selection Factors and Purchase Factors)

  • 오선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9-144
    • /
    • 2013
  • 본 연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앱 선택과 구매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앱 사용이 많은 사용자 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앱 다운로드 선택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유희성 앱과 유용성 앱 등 유형별 앱 구매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앱 선택 요인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109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앱 선택 요인과 구매요인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선택시 구전, 유용성, 호환성, 기능, 편리성, 디자인, 경험 등이 영향을 미쳤다. 선택, 구매시 모두 과거의 앱 사용 경험이 강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시에는 앱의 유형에 따라 구매 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용성 앱의 경우, 유용성, 비용, 기능을 중요시하였으며 유희성 앱의 경우, 즐거움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앱 선택을 구매 결정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앱 설계와 마케팅시에 영향 요인들을 반영하여 소비자들의 구매를 증진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현대패션을 통한 감정경험과 감성의 관계연구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erience and Sensibility in Fashion)

  • 김유진;이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8-352
    • /
    • 2002
  • 본 연구는 18개의 감정어휘와 25쌍의 감성어휘를 사용하여 부산71역 거주 남녀 970명을 대상으로 현대패션에 대한 감정과 감성을 평가하여 구성요인과 의미의 차원을 밝히고, 감정경험과 감성과의 관계를 의복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구매행동과 구매욕구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정경험에 대한 실증적 자료로서 의의가 있으며 디자인 기획시 그 활용도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저염 표시가 포크커틀릿 소스의 짠맛 인식과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low-sodium label on acceptability and perceived saltiness intensity of a dipping sauce for fried pork cutlets)

  • 김민지;강백원;김종욱;이미영;정서진;홍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2-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일반 포크커틀릿 소스와 나트륨 함량을 반으로 줄인 저염 포크커틀릿 소스제품을 대상으로 식품의 저염 여부 표시가 소비자 기호도, 구매의사, 짠맛과 다른 특성의 강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테스트 환경과 정보가 주어진 환경 각각에서 시료를 평가하게 하여 정보에 의해 소스의 짠맛과 맛 품질에 어떠한 기대가 형성되었는지 파악하고, 실제 소스를 맛보았을 때 형성된 기대가 충족되는지를 규명하였다. 정보에 의해 소비자가 가지게 되는 기대 수준과 실제 제품간의 차이는 짠맛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저염 표기는 짠맛의 기대를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저염 표기는 저염 제품에서 동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실제보다 정보의 방향(저염=낮은 짠맛)에 가깝게 평가하게 하였다. 반면 저염 정보는 기호도와 구매의사에 대한 기대 수준을 높였으나, 실제 섭취시 기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소비자들이 주어진 정보에 상응하는 감각 특성의 변화를 뚜렷이 감지하지 않는 이상 정보에 의해 기호도가 영향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저염 식품의 상품화에 적용하면, 저염 정보 자체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유발함으로써 제품 구매 동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트륨을 저감하지 않은 식품과 유사한 감각 특성을 가지도록 저염 식품을 제조할 경우 저염이 아닌 식품과 유사한 기호도를 가지게 되어 재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된다. 동반 식품의 제공은 전반적인 기호도, 시료의 구매 의향, 향미의 조화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맛 특성의 경우, 동반 식품과 함께 평가 시 소스만을 평가할 때와 다르게 감지되었는데 소스 제품의 경우 동반 식품을 제공하면 실제 섭취 상황에서 소비자가 어떻게 제품의 특성을 인지하는지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구매 전 품질평가와 제품 사용 및 구매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Quality Assessment Before Purchase, Attitudes towards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전상민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0
    • /
    • 2012
  • 소비자는 건강식품을 구매할 때, 건강관련 식품표시 뿐 아니라, 제품의 맛과 가격을 함께 고려하고, 과거구매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적 행동이론의 모형에 맛, 건강 기대도와 가격수용도 등의 구매 전 품질평가 변수와 제품사용태도,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추가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제품 선택 시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유기가공표시, 영양강조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구성하였고, 자녀용으로 슬라이스 치즈를 월 1회이상 구입하는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품질평가 없이 제품사용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에, 과거구매경험은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구매태도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맛, 가격 등 구매 전 품질평가와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포함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와 제품선택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신발 디자인 특성에 따른 정형 신발 구매 시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in Purchasing Orthopedic Shoes According to Shoe Design Characteristics - For patients with mild foot disease -)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1-412
    • /
    • 2022
  • 최근 들어 잘못된 보행 습관과 신발 착용으로 족부 질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신발의 발달과 생활환경으로 누구나 족부질환으로부터 안심할 수 없다. 족부질환 환자가 정형 신발 구매시 신발디자인 특성이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신발 디자인 특성은 기능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구성하였다. 사회활동 참여 빈도, 착용 목적, 족부 질환별 상태와 특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정형 경증 족부질환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착용할 수 있는 정형 신발 디자인 개발과 현실적인 활용과 만족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PDF

웹디자인 개발전략 수립을 위한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고은주;목보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4권
    • /
    • pp.111-131
    • /
    • 1999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시이트의 웹디지인 구성형식에 띠른 소비자의 쇼핑 프로세스의 차이점을 밝히고,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와 그 차원을 규명하고, 인터넷 편의성, 만족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조사법과 관찰법을 이용히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로, 남여 대학생 101명을 편의추출히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paired t-test,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사용과 인터넷 쇼핑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으며, 인터넷 정보의 질은 소비자들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정보 제공 시 사진과 설명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상품 홈페이지 구성의 중요도 중 속도와 정보의 질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의 관찰 결과 처음 쇼핑을 시도할 경우 인석하기 쉬운 기능키나 단어로 된 메뉴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쇼핑 과정은 대부분 10번의 클릭으로 이루어졌고, 쇼핑과정 동안 쇼핑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마음에 들지 않거나 선호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 쇼핑을 중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매장구성은 텍스트보다는 그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요소 중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는 것'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상품의 구색이나 가격, 유통업자 및 상품의 신뢰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만족/불만족 요인으로는 주문처리의 정확성/다양성, 인터넷 쇼핑의 편의성,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주문 방법의 편의/경제성, 쇼핑 방법의 용이성의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편의성은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쇼핑의 만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은 전형적인 의복구매행동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롤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보지 못하고 구매해야 한다는 데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많이 나타내고 쇼핑 시 즐거움에 대한 중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 PDF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보안요구사항 정의 방법론 연구 (A Study on Requirements Definition Methodology for Network Products)

  • 성윤기;김태훈;이은경;노병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248-250
    • /
    • 2003
  • 국제표준인 Common Criteria가 2002년에 국내표준으로 제정됨으로써, 앞으로 국내에서도 정보보호시스템에 대한 공통평가기준의 활용이 기대된다. 특히 국내는 조직의 내부 인프라 보호를 위해 네트워크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침입차단시스템, 침입탐지시스템 등 네트워크 솔루션에 대한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을 소비하는 대부분의 기업 및 조직에서 제품 구매 시 활용될 수 있는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정의한 보호프로파일을 개발한 경험이 없다. 앞으로는 공통평가기준을 활용하여 자체 보안요구사항을 정의할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공통평가기준은 운영체제와 같은 단일 호스트 및 시스템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므로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보호프로파일을 개발 시 새로운 접근방법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이나 조직에서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보호프로파일 및 보안목표명세서를 개발시, 공통평가기준과 보호프로파일 및 보안목표명세서 작성법을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신발디자인 특성에 따른 경증 족부질환 환자의 정형 신발 구매의 의도와 만족도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tention and Satisfaction on the Purchase of Orthopedic Shoes in Patients with Mild Foot Disea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hoe Design)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019-1025
    • /
    • 2022
  • 최근 들어 잘못된 보행 습관과 생활환경으로 인한 족부 질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신발디자인 특성에 따른 경증 족부질환 환자가 정형 신발 구매시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신발 디자인 특성은 기능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구성하였다. 심미성이 정형 신발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과 편의성의 요소가 영향이 적더라도 심미성이 높다면 구매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경증 족부질환별 사회활동 참여 빈도와 착용 목적에 따라 디자인 또한 다양한 요소들이 요구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아본 정형 신발디자인 특성 요인을 더욱 보완하여 경증 족부질환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형 신발 디자인 개발과 현실적인 활용과 만족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추천기법별 고객 선호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전자제품과 의류군에 대한 비교연구 (An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s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and Influencing Factors: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Goods and Apparel Products)

  • 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9-77
    • /
    • 2016
  •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점차 다양한 추천기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고객 관점에서 이에 대한 사용의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베스트셀러 추천, MD(Merchandiser)추천, 내용기반 추천, 협업필터링 추천, 그리고 지인추천 등의 다섯 가지 추천기법들에 대한 고객의 사용의도를, 전자제품군 구매 시와 의류군 구매 시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떠한 요소들이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추천서비스 사용경험이 있는 전자상거래 사용자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추천기법에 따른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군 구매 시에는 베스트셀러 추천기법이, 의류군 구매 시에는 내용기반의 추천기법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의 인물특성, 성격요인, 구매성향, 구매하려는 제품에 대한 인식 및 추천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이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영향요소들은 추천기법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들에게 제품군 및 개인의 성향에 적합한 기법을 채택하여 추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