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매유형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3초

막걸리 구매 및 음용 동기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선택속성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kgeolli Consumers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s)

  • 전현모;문옥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9-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최근 6개월 이내 막걸려 구매 및 음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음용 및 구매 동기에 따라 소비자의 유형을 세분화하고 유형별로 막걸리 선택속성 중요도차이와 고객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막걸려 제조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매 및 음용 통기는 마케팅, 건강상 효능, 자기 욕구, 외부환경 등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소비자는 의존형, 애호형, 무관심형 등 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그리고 막걸리 선택속성은 건강 특성, 시각적 요소1 브랜드 특성, 음용 특성, 구매 특성 등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막걸리 애호형 소비자군은 모든 막걸리 선택속성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존형 소비자군은 애호형 소비자군보다 건강 특성과 시각적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약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관심형 소비자군은 모든 막걸리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가장 약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걸리 선택속성 중에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응용 특성과 구매 특성으로 나타났다.

  • PDF

B to C EC에서의 제품유형별 구매요인 (A Study on the Purchase Factor with Goods Type in the B to C EC)

  • 백탁선;최흥섭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2호
    • /
    • pp.145-165
    • /
    • 1999
  • 본 연구는 B to EC에서의 쇼핑시 나타나는 소비자의 구매행태를 Physical Goods(물리적 상)와 Digital Goods(디지털 상품)로 구분하여 구매결정 및 지연 요인을 실증분석하여 B to C EC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B to C EC에서의 구매를 결정하는 요인과 구매를 지연(기피)하는 요인 다섯가지 중 제1순위 요인과 구매한 제품유형과의 교차분석 결과, 어떠한 제품유형을 구매하느냐에 따라 구매결정 요인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등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B to C EC에서의 행동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Cyber-marketing을 구축하는데 시장세분화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Cyber-marketing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상품서비스의 개선전략과 고객 시장세분화전략 수립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상품서비스 개선 전략의 측면에서는 상품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는 기능적 측면 즉 성능, 기술, 품질 등에 대해서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쇼핑행동상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위험지각이 정보탐색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지식수준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Consumer's Perceived Risk on the Level of Information Search)

  • 신봉섭;박주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43-167
    • /
    • 2006
  • 최근 인터넷을 통한 제품구매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오프라인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탐색과 구매 선호도가 높은 제품유형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품구매 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라인으로 구분되는 정보탐색유형을 통한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특히, 제품유형을 탐색-경험-신뢰재로 구분하여 제품에 대한 위험지각과 정보탐색 사이의 관계가 제품에 대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경험재와 신뢰재에서 위험지각이 높아질수록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많은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탐색재에서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온라인을 통해 많은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제품관련 업체는 물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국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한국 라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네오포비아와 한국 식품안전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EInfluence Food-related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Ramen - Moderatoring Effects of Food Neophobia and Korean Attitude to Food Safety -)

  • 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2-107
    • /
    • 2016
  • 본 연구는 Baron &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식품 안전에 태도의 중재자 효과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중국소비자의 식품탐구형이나 편의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높아지지만, 건강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졌다. 둘째, 중국 소비자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강할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억제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한국 식품안전태도에 긍정적으로 인지할일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상승시키고, 식품탐구형과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들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유통경로 유형별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의 관계 (Relationships of Parent Brand Attitude and the Evaluation Level of Brand Extension by Distribution Channel Types)

  • 윤성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49-359
    • /
    • 2009
  •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 평가에 대한 범주화 평가과정 모델(categorical evaluation processes model)을 참고하여 유통경로 유형별 광고태도(Aad), 점포태도, 브랜드태도(Ab), 브랜드확장 평가도, 확장제품 구매의도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경로 유형 모 브랜드태도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여섯 가지 가설 중에서 점포태도와 브랜드태도와의 관계,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의 관계,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와의 각 이론변수간의 관계에서만 각 유통경로 유형별로 영향력이 다르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경로 유형별 브랜드확장평가는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평가도와의 관계를 소비자관점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하여야 하며 이는 브랜드확장 제품 유통경로구조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브랜드확장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브랜드 가치 유형과 카피 유형에 따른 광고제작 전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Ad Production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Value and Copy Type: Focusing on Cosmetic Brands)

  • 유승엽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23
  •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광고 카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브랜드가치)×3(카피유형) 요인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독백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권유형 카피가 가장 광고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매스 브랜드의 경우 대화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카피를 유형을 차별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화장품 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카피 전략에 활용될 것이다.

음식관광 체험유형이 상품구매의도와 방문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음식문화박람회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Impact of Types of Food Tourism Experience on Purchase Inten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Focused on Participants at Dae-gu Food Tour Expo)

  • 박장수;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1-2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관광 체험유형이 상품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상품구매의도가 방문만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을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음식관광박람회를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 2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음식관광 체험유형 하위변수 중 미식추구형, 지식추구형, 힐링추구형은 상품구매의도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계추구형은 종속변수인 상품구매의도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품구매의도는 방문만족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음식관광객들은 음식관광 체험을 하면서 미식이라는 기본적 부분과 지식과 힐링 부분을 신경쓰면서 음식 관광을 한다. 또한 음식관광객들은 관계추구형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는 음식관광객들을 위해 지역을 방문 시 프로그램이나 제도 등을 갖추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속해서 개발하고 개선해서 재방문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가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Self-Expression Desire on Veg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

  • 김정인;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217-240
    • /
    • 2023
  • 최근 기초화장품 트렌드로 클린화장품, 비건화장품 등이 새롭게 다양한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장 내 성장하고 있다. 한동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기능성화장품, 코스메슈티컬화장품, 더마화장품이 신뢰를 얻고 인기가 있던 가운데, 효능 외의 요소를 소구하는 비건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사회적가치의 영향관계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분석하고, ESG가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 클린 또는 비건화장품의 소비가 일종의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로써의 관계가 있을지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가 사회적가치를 매개하여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외모지향형, 건강지향형, 유행추구형으로 구분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화장품 소비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2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6.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매개변수가 하나인 단일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외모지향형을 제외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인 건강지향형 및 유행추구형과 자기표현욕구는 사회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가치는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지향형, 건강지향형 및 유행추구형의 모든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는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가치는 외모지향형을 제외한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자기표현욕구와 구매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지향 소비자는 사회적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 지향적인 소비자의 경우 비건화장품 구매 동기가 해당 제품과 관련된 사회적가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표준화계수를 이용한 상대적 영향력 크기 비교에서는 사회적가치를 매개할 때 자기표현욕구가 가장 크게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지향형이 가장 작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학문적 함의로는 틈새 소비자 세그먼트, 중재 메커니즘 및 지속 가능성 고려 사항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연구에 기여하고 있고 마케팅 전략과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관행을 형성하는 화장품 산업 및 그 이상에 대한 추가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디지털 매체 기술과 제품 구매 태스크의 적합성 탐색 (Exploring the Technology Fit of Digital Media on Product Shopping Task)

  • 한현수;정석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3-2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태스크-기술 적합 이론에 기반하여 TV홈쇼핑, 인터넷 쇼핑, 브로드밴드 응용(IPTV) 등 3개의 가상 쇼핑 채널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적합요인을 탐색하였다. 적합 요인 탐색은 오프라인 대비 웹에서 제품 구매 시 불확실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품질 파악 관점에서의 제품 분류 유형인 quasi-commodity, look and feel 제품, 그리고 look and feel with variable quality 제품 등 3개의 제품군 별로 차별화하였다. 이론적으로 도출한, 3개의 가상 쇼핑 환경에서 3개의 유형별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채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적합 속성에 대한 검증은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해 단계별 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ANOVA와 Duncan 사후 분석을 통하여 3개의 가상 채널과 제품 유형 별로 적합 속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개의 가상 쇼핑 채널이 기반하고 있는 미디어 기술과 다양한 제품 구매 태스크의 적절한 매칭을 위한 4가지 주요 적합 속성과 상대적 차별성이 파악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융합 기반 쇼핑 채널 설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가구유형별 수요에 대한 고찰 (Demand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by Household Type)

  • 김원석;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933-94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 수요에 대해 가구의 유형 및 차량 보유별로 그룹을 분류하고 개인의 특성과 가구차량보유구조 및 구매의향이 있는 경우 등에 따른 차량 구매 선택요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요예측모형을 구축하고 탄력성을 분석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인 연령은 증가할수록 전기자동차 구매의향이 높아졌으나 성별은 구매에 있어서 유의미함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주택유형 또한 아파트의 경우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차량이 있는 가구의 경우 전기자동차 구입의 중요 요인으로는 연료비와 충전시간, 주행가능거리 등과 같은 실제 사용에 있어 편의성과 관련된 요인이 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량이 없는 가구의 경우에는 차량구매가격이 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향후 전기자동차 수요예측과 보급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